[수입] 모차르트 : 교향곡 34-41번 [2CD] - DG Originals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작곡, 칼 뵘 (Karl Bohm) / DG / 1998년 5월
평점 :
품절


 칼뵘의 모차르트 해석은 이미 낡은 것이 되 버렸다. 아르농쿠르 이후의 모차르트 해석은 더욱 다양해졌고 음악적 혁신을 추구하지만 칼뵘의 이 정직한 연주는 요즘 연주에 비해 따분한 것이 사실이다. 브루노 발터의 제자로서 빈필의 자랑이였던 이 착한 지휘자의 연주가 이렇게 홀대 받는 것은 시대를 고려해 보면 수긍할 수 있지만 심적으로는 수긍할 수 없다. 우선 칼뵘은 이 연주에서 가장 규범적인 모차르트를 보여준다. 다소 딱딱한 질감이 느껴지지만 그만이 연출해 낼 수 있는 긴밀함과 안정감. 그리고 빈필이 내뿜는 그 아름다운 오케스트라의 선율과 더불어 곡 자체가 갖고 있는 아름다움 만으로도 이 앨범은 충분히 소장가치가 있다. 게다가 가격도 2 for 1이니 여간 저렴하지 않은가. 이 앨범을 듣지 않고 아르농쿠르를 듣는다면 두개의 다른 연주의 진정한 참맛을 느낄 수 없다. 스탠리 큐브릭이 샤이닝이라는 영화에서 보여줬던 손으로 들고 뛰는 카메라 기법은 공포의 극대를 느끼게 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대부분의 영화가 그정도 기법은 차용하고 있기에 지금 그 샤이닝이란 영화를 보면 조금 시시하게 느껴진다. 재미가 없다는 거다. 하지만 잭 니콜슨의 광기를 최대로 이끌어내는 큐브릭의 능력과 곳곳에 숨겨진 추리적 요소의 기법은 지금의 감독들도 범접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즉 뵘이 보여준 지휘가 지금은 구식처럼 보이지만 그 구식에서 지금의 해석에서는 볼 수 없는 구조적 긴밀성과 모차르트적 심미적 아름다움이 잘 드러나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뵘의 연주를 폄훼해서는 안된다. 모든 예술이 진보를 향해 나아가지만 진보만으로는 달성 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 뵘의 음악에는 있다. 그래서 이 음반은 명반이 될 자격이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