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한 때 껍데기를 추종했다. 그냥 이래저래 그럭저럭한 껍데기가 아닌 누구나 한 번만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다시 고개를 획 돌려 쳐다보게 만들만큼 멋들어진 껍데기를 간절히 앙망했다. 내면의 미가 가장 참되고 어쩌고 하는 소리는 다 개수작 헛소리라고, 떠들고 다니지는 못했지만 속으로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 다 가식적이라 여겼다.

누구나 그렇듯 인간에게는 단점과 장점이 공존한다. 평범한 인간인 나도 그냥 보이는 무수한 단점들과 함께 분명한 장점을 몇 개쯤은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련만 사람들은 어쩔 수 없다는 듯 첫 대면에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시각적 효과로만 나라는 인간을 판단한다. 그리고 울퉁불퉁한 내 모습 안에 아몬드가 들었는지 땅콩이 들었는지 알고 싶지도 않아 하며 그저 내게 등을 보인다. 무수한 그런 순간들이 닥칠 때마다 매번 무슨 용가리 통뼈처럼 우하하하 웃으면서 그래 잘 가라 사라져라 안녕안녕, 그럴 수가 있었을까, 아니 그렇게 했다면 스스로의 정신건강에 매우 이로운 결과가 기어코 도래했을 것인가.
혼자서 죽어넘어지는 그 순간을 향해, 내내 혼자 달려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므로 누군가의 등짝 프레임은 내 심장에 와 꽂히는 칼날이 된다.

나는 훌륭한 껍데기가 갖고 싶었다. 동성들의 시기를 한 몸에 받으며 이성들이 개떼처럼 덤벼드는, 그런 것이라면 좋았다. 실로 나는 내 주변에 가끔 외계공주인양 등장하는 아름다운 동성들의 자태에 경도되었다. 그 향기롭고 말간 얼굴에서 뿜어져 나오는 화사한 빛 조각들은 늘상 순식간에 나를 매혹시켰고 내 마음을 훔쳐 갔다. 그러는 동시에 열등감의 덩어리들이 내 온 몸에 두엄처럼 뿌려졌다. 어쩌면 내가 화사한 껍데기를 원했던 것은 같잖게도 오로지 일종의 보복을 위해서였는지도 모른다. 무수히 내 눈에 와 박혔던 그 차가운 등짝들을 다시 돌려세운 뒤 나의 허망한 껍데기로 그 가련한 눈들을 홀려 버리고 싶은 마음, 미미하게나마 존재하는 내 장점의 ㅈ 하나도 그려질 순간을 제공하지 않았던 그 대단한 매정함에 꽂고 싶은 우스꽝스런 비수, 뭐 그런 어이 없는 상상.

 

내가 왜 갑자기 이런 글을 쓰는지, 겁나게 이유를 모르겠다.
확실한 것은 내가 그리 쉽게 변하지 않을 거라는 무시무시한 사실과 언제였는지 모르게 껍데기에 대한 욕망은 귀찮음으로 인해 희미해져 버렸다는 것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디에도 2004-09-23 0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쥴님. 저는 아무래도 반어법으로 말하는 게 가장 익숙한 인간인가봐요.
쥴님 오시지 말라 해놓고 막상 오시니, 왜 이리 좋을까요.
제가 토해낸 이상한 글은 우습고 쥴님이 써주신 댓글은 저를 또다시 은근히 웃게 만들어 주시는데요. 낯설어서 더 다행이라면 좋겠어요. 가끔 낯선 곳이, 오히려 더 좋듯이, 말이에요.

hanicare 2004-09-23 0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간이 지나도 희미해지지 않는 건 뭘까요.시간이 지나니 허영의 거품은 간수할 능력부족으로 많이 꺼졌고(전부는 아닙니다.) 절대절명의 존재 '나'라는 것의 테두리도 조금씩 바래집니다. 그것이 슬프진 않아요. 가끔은 주목받는 생이고 싶다 어쩌고 슈발리에 구두광고카피에 오규원의 시집제목이지만 지금은 그 문구도 그다지 울리지 않습니다. 나는 살아있고 내가 너를 주목해줄지 말지 결정하겠어. 나이먹어서 대뇌피질의 성능과 가죽부대의 형상이 질저하되곤 있지만 나이먹는 게 좋습니다. 유쾌한 할머니가 될 때까지. 할머니가 되면 소일거리로 알라딘이 제격일까요. 그전에 뜨개질이라도 배워야하나?

chika 2004-09-23 0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 이 수준높은 대화들에 끼어든 나의 한마디... "껍데기는 가라아~!!!'
이러고 휭~ 도망가버리면 모두 황당하겠지요? ^^;;;
- 전 '껍데기는 가라'는 말을 엄청 좋아했었어요. 역시.. 열등감때문에요. 나를 좀 더 알게 되면 모두들 나를 좋아해주리라, 는 생각이 강했었나봐요. ㅋ
엉뚱한 치카... 그냥 갑니당~ ^^

urblue 2004-09-23 0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미녀는 괴로워,가 생각났다는 블루입니다. 하긴 그 만화에서도 결국 중요한 건 초절정 미녀라는 껍데기가 아니라 주인공의 순박한 내면이긴 했습니다만.

어디에도 2004-09-23 16: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 대략 괴롭습니다.
저 글은 제가 쓴 것이 아닌 것 같아요. 첫 문장을 쓰고보니 스르륵 나도 모르게
마구잡이로 글이 그려진 것 같아요. 무슨 말을 한 것인지, 내 속에 저런 생각들이 저렇게 꾸역꾸역 들어 차 있었던 것인지... 거짓말을 한 것 같기도 하고...
흐흐흐, 난감해서 그냥 도망갑니다.
님들의 댓글은 고이 접어서 마음에다 넣어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