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더 깨끗이 난 책읽기가 좋아
강무홍 글, 정순희 그림 / 비룡소 / 1999년 5월
평점 :
절판


<창>-정아 이야기 

<좀 더 깨끗이>-용이 이야기 

<기적>-봉주 이야기 

세 개의 단편이 들어있다. 정아의 창이야기. 창호지 바른 물에 작은 유리로 만든 뙤창. 난 알겠는데 우리 아이들은 좀 고개를 갸웃거릴것 같다. 먼데 일 다니는 아빠와 놀고 싶은 아이. 한 겨울 창호지 바른 문에 뜨개질에 바쁜 엄마, 뜨뜻한 방바닥, 시린 얼굴, 바람소리, 발자국 소리, 옛날엔 그렇게 안과 밖의 구분이 덜했던 듯 싶다. 그래서 마음도 더 열렸으려나? 창호지 바른 문이 달린 방에 바람소리, 발자국 소리 귀 기울여 가며, 지글지글 방바닥에 이불 뒤집어 쓰고 뒹굴뒹굴 해 본적이 있는 어른들이 도 좋아라 할 것 같은 이야기다.  

 용이 이야기는 아무래도 (요즘) 아이들이 제일 공감할 듯 하다. '좀 더 깨끗이' 때문에 좌절하는 용이. 난 아무 설명 없이 글씨가 아니라 그림 때문이라고 이야기 해 주지 않은 선생님 때문에 분노한다. 그 이야기 하기가 그렇게 힘들었을까? 모든 사람들은 다 나름의 이유가 있다. 이유만 알면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 선생님, 다음 부터는 꼭 이야기를 들려 주세요. 왜 그랬는지. 

봉주 이야기는 고개가 갸웃 거려 진다. 물건이 너무 흔한 요즘 아이들이 옥스포드 천으로 엄마가 만들어준 방석이 그리도 귀하고 자랑스러운지 공감할 수 있을까? 뙤창처럼 경험과 좀 동떨어진 이야기가 아닐까. 경험을 하지 않았더라도 맥락상 충분히 이해가 간다면 공감도 되겠지만..... 봉주 성격으로 본다면 대 놓고 자랑도 못하는 누군가 그저 먼저 알아 주길 바라는 소극적인 성격이다. 소극적인 봉주가 바깥조회시간에 모두가 다 보는 앞에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들어가며 방석을 들고 서 있을 때, 봉봉봉, 기쁨이 퍼져 나갔을까? 좀 더 양가적이었을 것 같다. 마냥 기쁘기보다는 부끄러우면서도 살짜기 기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