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루소의 개 - 18세기 계몽주의 살롱의 은밀한 스캔들
데이비드 에드먼즈 & 존 에이디노 지음, 임현경 옮김 / 난장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일단 책은 재미있다.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름과 당시에는 ‘품위 있는’ 표현이었는지 모르지만 요즘 읽기엔 다소 민망하고 오글거리는 편지 문구들을 견뎌낼 수 있다면, 루소와 흄이라는 세계적으로 걸출한 두 사상가 사이에서 벌어진 그리고 그 둘을 둘러싸고 있는 인물들 사이에서 벌어진 일련의 에피소드들을 흥미롭게 읽어나갈 수 있다. 또한 꼼꼼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충실하게 18세기 유럽 사회의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의 풍속이나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좋은 읽을거리가 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그리 적지 않은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읽힐 정도로 재미있게 서술하고 있는 저자들 그리고 역자의 뛰어난 능력도 돋보인다.
그러나 이 책에서 그 이상의 무엇을 찾을 수 있을까. 출판사는 이 책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철학사의 또 다른 ‘결정적인 한 장면’을 마치 한 편의 추리 소설처럼 엮어낸 <루소의 개>는 철학적 재미뿐만 아니라 독자들의 인문학적 호기심까지 두루 충족시켜주며, 계몽주의라는 철학사의 위대한 조류를 더없이 쉽고 명쾌하게 설명해줄 것이다.”
이 책에서 보여주고 있는 루소와 흄의 갈등이 철학사의 ‘결정적인 한 장면’이 될 수 있을까.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유명한 사상가들이라는 점에서 두 사람의 다툼을 그렇게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철학사적으로 유명한 두 사람이 싸웠다더라 정도를 ‘철학사의 결정적인 한 장면’으로 부르는 것은 과도하다고 생각된다. 적어도 둘이 가진 사상의 차이로 인해 심각한 철학적 논쟁이 벌어졌거나, 두 사람의 갈등이 각자의 사고에 영향을 미쳐 독창적 사상을 정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을 때에라야 ‘결정적인 한 장면’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성격상 흄의 사고방식은 대담하지 않고 온화한 반면, 루소는 타고난 반골이었다. 흄이 낙관론자라면 루소는 비관론자였고, 흄이 사교적이라면 루소는 고독을 즐겼다. 흄은 타협하기를 좋아했고, 루소는 대결하기를 좋아했다. 스타일을 보면 루소는 역설을 즐겼고, 흄은 명확함을 숭배했다. 루소의 언어가 화려하고 감정적이었다면, 흄의 언어는 직설적이며 침착했다. 게다가 두 사람 모두 추상적인 사유를 갈망하고 표현할 수 있는 힘을 지닌 철학자였지만, 각자의 철학적 세계는 서로 달랐다. 의견이 다르다는 것이 아니라, 서로 관계 맺을 가능성조차 없었다는 뜻이다.”(196~197)
저자들은 둘이 매우 상반된 인물이었고 이러한 차이가 둘 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는 의도를 언뜻 내비친다. 그러나 이 차이가 두 사람간의 철학적 차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두 사람 간의 갈등은 바로 흄의 ‘질투’ 혹은 ‘허영’과 루소의 ‘의심’이라는 개인적 인성의 충돌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둘이 서로 처음 만났을 당시는 각자가 자신의 대표작들을 출간한 이후이다. 즉 각자의 사상이 이미 널리 알려진 후임에도 불구하고, 둘은 서로의 사상에 대해 철학적 논쟁을 벌이지도 않았다. 그러므로 이 만남이 철학사적으로 결정적인 어떤 장면이 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물론 철학자의 사상과 그의 인성을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철학적 재미”를 느낄 수도 있고, 당시 유럽의 풍습이나 살롱 문화, 편지 왕래 등을 통해 “인문학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철학자의 사상에 대한 소개는 한 장(11장)에만 국한되어 있고, 사상과 인성의 관계가 책 전반에 걸쳐 유의미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볼테르나 디드로, 달랑베르와 같은 주요 인물들이 주변 인물로 처리되고 있기에 “계몽주의라는 철학사의 위대한 조류를 더없이 쉽고 명쾌하게 설명해”주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결국 역사적으로 유명한 위인들의 에피소드를 재밌게 다루고 있는 역사서 이상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책을 가십사(Gossip史)라고 부를 수 있을까. 가십은 재미있다. ‘그 사람이 그랬다더라.’ 이는 오늘날과 같은 스타의 시대에 완전무결할 것 같은 위인의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혹은 그들의 결점을 폭로하여, 대단해 보이던 그들도 결국 나와 다르지 않음을 혹은 나보다 더 천박한 존재임을 내비침으로써 소시민적 자기위안에 봉사한다. ‘대단한 줄 알았더니 별 거 아니네.’와 같은 일종의 뒷담화. 술자리의 한담으로 가십만큼 재미있는 것도 없다.
문제는 이러한 에피소드가 그 밖의 모든 것을 규정해버리는 도구로 변하기 쉽다는 데 있다. 그 사람의 말, 사상, 논리는 사라져버리고 결국 그 사람은 그런 행동을 한 인간 따위의 규정이 모든 것을 대체해 버리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루소의 사회계약론이나 흄의 회의주의와 같은 그들의 사상에 대한 고민이 기억에 남을까 아니면 ‘의심증 환자인 루소’와 ‘허영에 들뜬 흄’이 기억에 남을까. 아무래도 후자가 더 유력하지 않을까. 결국 이 책은 루소와 흄에 정통한 이들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가 될 수 있겠지만, 나와 같은 초심자에게는 출판사의 소개와 같은 만족을 주긴 어려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