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의 방비엔에는 '리버사이드'라는 게스트하우스가 있어. 이름 그대로 강가에 있는 게스트하우스야. 거기서 일하는 남자가 하나 있는데 매일 그가 하는 일은 안내데스트에 앉아 강을 바라보는 일이야. 그게 전부야! 만약 손님한테 문제가 있으면 가서 해결해주고 돌아와 다시 강을 봐. 하루종일 말이야. 이런 완벽한 인생이 또 있을가? 물론 내 말은 이렇게 사는 게 모든 사람들에게 어울린다는 건 아니야. <자메이카의 트레이시 버튼 27세>

  사실 나는 가끔 세상을 바꾸려고 애를 쓰기는 했지만, 생각해보면 나의 정치적 견해로 미셸 같은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한 경우는 너무 많았던 반면 나를 바꾸려고 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나는 남의 잘못을 꾸짖으면 내가 고결해진다고 착각하고 있었다. 생각해보니 나는 정치적인 의사를 표시하거나 생활방식을 양보하는 일은 거의 없이 슬그머니 지나가버리면서도, 그 정도도 안 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우쭐거리는 데 남은 에너지를 쏟아붓는, 그런 진보주의자가 되어 있었다. <소제목; 나처럼 어리석은 인간이 이와 같은 허세에 말려든 사연 중>
  
 
- 가로수 관리를 하는 공무원이 있었어.
- 재미있는 이야기야?
- 들어봐.
- 차가 가로수를 들이박으면 이 공무원은 가로수를 다시 심거나 보수해야해. 차주인이 밝혀지면 모르겠지만 가로수를 들이박는 사람 중엔 뺑소니가 많아. 그럼 이 사람은 사고 경위 및 경찰 신고를 한 공문서를 작성해.
- 잡힐리가 없잖아.
- 그렇지 그건 그냥 형식적인 절차야. 그리고 예산을 받아서 가로수를 고치는거야. 차가 가로수에 받을 때마다 이 사람은 이 모든 형식적이고 번거로운 일들을 계속 해야만해.
- 그 얘기를 왜 하는거야?
- 글쎄.
<몇달 전 전주 샤브샤브 집에서 친구랑 한 얘기인줄 알았는데 '위풍당당 개청춘'에 나온 내용>

 
 자본주의는 사람들을 불행, 두려움, 근심, 짜증 속으로 몰아넣어 반쯤 넋을 놓고 살게끔 설계되어 있다. 그러지 않고서는 소비하고, 소비하고, 또 소비하도록 할 방법이 없다. 물건을 사도 행복해지지 않는 마당에 고객서비스가 무슨 수로 행복을 주겠는가! 자본주의는 이렇게 말한다. “직장을 구하고, 일을 해라. 일하면 자유를 얻는다. 자유는 쇼핑이다. 하나님도 일하지 않는 사람은 먹지도 말라고 했다. 일하지 않으면 돈이 없고, 돈이 없으면 죽는다. 죽으면 끝이다.”
<영화 속 신랄함과 유머만 못했지만 가끔 낄낄거리게 만들었던 마이클 무어의 책>


- 뭐가 힘든지 말해봐.
- 웃을거잖아.
- 장담은 못하지.
- 사람들이랑 어울리는게 힘들어. 알아서 눈치보고, 알아서 처신하라는 것도 싫고, 어쩌고 저쩌고.
- 아치야, 직장은 직장이잖아. 적어도 내 할일만 하면 자존감 무너지는 말은 안 듣잖아. 나는 결혼이 현실이라는걸 근 몇년간 뼈저리게 느끼고 있어. 그건 불가항력 같은거야.
 <결혼한 친구의 이야기>

 <다시, 카오산 로드.>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여행서>라는 영화의 한 장면이 생각나는데, 그 영화에 등장하는 아빠와 그의 가족들은 모두 정답을 찾으려 노력해. 어느 날 정답을 아는 사람이 찾아와 '정답은 42'라고 말하는데 모두들 그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지. 질문이 뭔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답을 알고 있다고 해도 아무런 소용이 없잖아. 무언가를 열심히 찾고 있지만 찾는 게 무엇인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행위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것 같아. <이스라엘 여행자 카렌>
- 그래서?
- 그래서는 무슨. 네가 좋아하는 것, 만족할 수 있는 것들을 찾는 것만큼 지금 네 현실에 충실하라는거지. 잊지마, 행복은 구해서 얻는게 아니라 어떤 마음의 상태라는걸. 그리고 자꾸 징징대면 얼굴에 주름 생긴다! <카렌의 대답을 상상해본 아치>


댓글(8)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1-03-26 2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샤브샤브집에서 나누었다는 대화 한 자락이요, `위풍당당 개청춘'에서 가로수 담당 공무원의 이야기에 거의 비슷하게 등장했어요. 전 처음 글 첫단락을 읽을 때 그 책의 부분발췌인가, 생각했지 뭡니까. 이런 기묘한 겹침이 참 재미있어요.(슬프게도 그 책은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노 임팩트맨을 읽으셨다면, 굿바이 쇼핑도 읽어보시기를. 그 책은 권하고 싶어요. 아치 님이라면 제대로 읽어주실 것 같습니다.

Arch 2011-03-27 09:10   좋아요 0 | URL
쥬드님 말 들으니까요. 위풍당당 개청춘에서 저도 읽은 것 같아요. 뭐지?
위풍당당 개청춘이 맞는거 같아요. 그런데 난 이걸 왜 친구가 해준 말로 생각했을까. 재인씨와는 일면식도 없는데. 흠, 좀 야릇해요.

아직 안 읽었어요. 읽고 있는데 생각보다 재미있어서 기분이 좋아요. '굿바이 쇼핑!' 네!

다락방 2011-03-26 2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치에겐 어울리나요? 게스트하우스에서 하루종일 강을 바라보는 일.
나에겐 어울릴까요?

Arch 2011-03-27 09:12   좋아요 0 | URL
나는 곧 싫증내겠죠. 나는 무엇에든 어떤식으로든 쉽게 싫증내는 사람이니까. 이렇게 말하는데도 여전히 일 하는거 보면 나는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쉽게 싫증내는건 아닌가란 생각도 들고.

nada 2011-04-01 1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노임팩트 맨의 저자가 허세에 말려든 사연이 무척 궁금해지는데요.
아치님은 도대체 어디서 저런 책들을 발견하시는 거예욧!!
저는 들어본 적도 없는 책이라는.(슬푸다ㅠㅠㅠ)
근데 보니까 제가 좋아하는 번역가 분이 번역하셨네요.
꼭 읽어봐야겠어요.

굿바이 쇼핑은 좀 장황해서 지루했는데, 그 중에 아주 마음에 드는 몇몇 부분이 있었어요.
쇼핑과 굿바이하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이 이미 알뜰한 당신에게는 불필요한 책일지도 몰라요.
:)

Arch 2011-04-01 13:25   좋아요 0 | URL
노임팩트, 그러니까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프로젝트를 시작한걸 저자는 허세로 생각하더라구요. 이 책은 도서관에서 발견했어요. 영화는 자막이 없어서 못보고 있었는데 마침 잘 됐다 싶더라구요. 번역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매끄럽고 잘 읽히게 번역된 것만은 분명해요. 옮긴이에 대해서 찾아봤는데 청소년 문학 책을 번역하셨더라구요.

그런데 꽃양배추님은 제가 알뜰한지 어떻게 알아요? ^^

책에서 본 책을 보기도 하고, 신간이 나오면 도서관에 신간이 아직 없으니까 그 작가의 구간을 읽어봐요. 그러다 또 책지도를 그려보고 그래요.

nada 2011-04-01 13:57   좋아요 0 | URL
ㅋㅋ 아닌가요?
우린 재활용을 좋아하잖아요! ^^


Arch 2011-04-01 14:37   좋아요 0 | URL
전 회의가 들어요. 녹차 티백도 많이 버리고, 재활용할 수 없는 것까지 쓰레기 봉투에 버리기 싫어서 재활용 쓰레기로 분리하고.

그렇지만 재활용하는건 좋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