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실격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세 장의 사진이 있다. 모두 웃고는 있지만 그 안에 차갑게 내리앉은 사회에 대한 불신이라든지 지나칠만큼 소름끼칠 위선의 모습이라든지. 어렸을 때, 조금 자라 학생이 되었을 때, 그리고 늙었을 때. 모두 같은 표정을 짓고 있지만 그 같은 섬뜩함은 약간의 다름을 표현하고 있다.
다자이 오사무의 삶을 거의 그대로 압축시켜 놓은 이 책 속의 인물, 요조를 보면서 삶이란 누군가에게는 이렇게 특별할 수도 있구나, 라는 생각이 스친다. 하지만 조금만 더 깊게 생각해보면 살아가는 그 누군가 자신의 삶은 특별하고 그 중 나와 너무 다름이 느껴지는 것일 뿐이지 않을까. 하지만 그런 개별성을 염두에 둔다고 하더라도 요조는 아니다. 적어도 요조는 다르다. 지나치게 거슬러 올라가는 느낌이니까.
어려서부터 대가족의 집안에서 자라나 배고픔이라는 느낌을 한 번도 겪어보지 못했다는 요조. 누군가에게 위선을 떨고 있지만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는다. 실제 내가 행동하고 말하는 그 모든 것이 사실일지 아닐지를 알 수 있는 건 오롯이 나라는 존재밖에 없으니까. 그리고 그 겉으로 표현해내는 모든 것이 가짜로서의 진짜 내가 될 수 있으니까. 하지만 같은 반 학생에게 그걸 들키게 되고 그때부터 조금은 삐걱대는 요조의 인생.
왜 죽고 싶어했을까. 살아가면서 힘든 일이나 겪을 수 조차 없는 이상한 일들이 나를 괴롭힐 때에도 적어도 죽고 싶어하진 않을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남들로는 이해받을 수 없는 일들에 나 혼자 아파하고 절망감을 느낄 수는 있다. 남들은 나와 다른 사람을 지칭하는 일반명사로서도 칭해질 수 있으니까. 누군가에게 나의 생각을 강요하고 나와 같은 삶을 살길 바란다는 것은 가장 심각한 모순이다. 그러기에 요조가 겪었던, 그 이전에 다자이 오사무가 겪었던 자신에 대한 삶의 방식과 그 결과로서의 일들은 내가 이해할 수도 없고 이해하려 하면 할수록 더 저 멀리 가버릴 뿐이었다.
이 책을 읽기 전, 누군가는 나에게 읽지 말라고 했다. 정말 제목 그대로의 인간실격이라는 단어가 그대로 가슴에 꽂히기 때문에 우울해진다고. 하지만 그 사람과 내가 다르듯, 다자이 오사무와 내가 다르듯 느껴지는 바도 판이했다. 사실, 우울해지지 않았다고는 말하지 못하겠다. 하지만 읽는 내내 아, 이렇게도 살아갈 수 있구나. 똑같은 일을 받아들이는 우리네의 모습은 정말 다르다 못해 정반대의 바닥으로 치닫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었던 건, 그리고 인간실격으로서의 다자이 오사무, 요조의 삶이 더욱더 치명적이라고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서슴없이 써내려간, 그야말로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속으로는 다른 생각을 하는 위선의 말투 때문이었던 듯 하다. 자신의 감정 그대로를 글로써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자신의 행동으로서만 사건을 풀어가고 나열해나가는 요조의 마음을 그대로 읽다보니 더없이 측은한 생각과 우울함이 묻어났던 것이다.
인생, 그 길고도 험난한 과정이라는 것을 요조는 자신의 삶을 그대로 투영해 보여준다. 자기처럼 살지 말라는 뜻에서의 기록인지, 아니면 이렇게도 살아갈 수 있다는 다양성을 보여주려 했는지 그 의도는 나로서 명확하게 느껴지지 않지만 적어도 이것 하나만을 느낄 수 있다. 인간실격, 그건 나와 다른 사람의 어쩌면 내가 될 수도 있는, 하지만 그건 기준의 문제라고. 기준이 어디 달려있는지에 따른 나의 욕망이 빚어낸 결과라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