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알약 - 증보판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프레데릭 페테르스 글.그림, 유영 옮김 / 세미콜론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이라는 것을 지독히도 싫어했던 내가 이 책을 집어들을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흔히 생각해오던 만화책의 이미지와는 조금 다른 느낌의 책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화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은 완화되어 그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열린 사고가 작용했기 때문일까. 또 하나는 이 책이 담고 있는 에이즈에 대한 메세지가 크게 다가왔기 때문일 것이다.

카티와 페테르스. 우연히 알게 된 두 남녀는 사랑에 빠지게 되고 카티는 이혼녀이다. 그리고 아들이 하나 있지만 그녀와 그 아들 모두 에이즈라는 병을 가지고 있다.
에이즈. 듣기만 해도 으스스 떨렸던 그런 기억은 이미 지났다. 물론 내 앞에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에이즈라는 병에 걸렸다면 나역시 당황은 하겠지만 흔히 생각하는 에이즈라는 병에 대한 배척의 수준은 지났다는 말이다. 감기처럼 공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도 아니고 혈액으로 감염이 되는 것이며, 불치병이라고 알고 있지만 개중에는 치료를 통해서 완치가 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하지만 현실앞에서는 다른 모습인 우리들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며 나를 나무란다. 그저 감염되지 않을 것이라고 머릿속으로는 알고 있지만 실제로 내 앞에 에이즈라는 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게 된다면, 나 역시 머리와는 다르게 행동할 것이라는 나만의 추측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푸른 알약을 집어 삼키는 그들을 보면서 나의 인식의 힘은 종전과는 조금 다르게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래서 결국은 이러한 만화가 필요했던 게 아닐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매체를 통해 쉽게 다가오지는 않는 사회적 인식을 조금은 다른 방향으로 틀어버릴 수 있었을 테니까. 

병에 대한 장황한 지식을 늘어놓기에는 나 또한 많이 아는 것이 없다. 언제나 많이 안다고 해서 그대로 행동할 수는 없는 것과 반대로, 많이 알지 못한다고 해서 잘못된 방향으로만 간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정확한 인식과 정보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만 있다면 그렇게 하고 싶다. 에이즈에 대해 많이 알아 나가고, 불치병이라는 사회적인 통념 또한 없애버리고 싶은 게 우리의 모든 바램일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하나의 사고에는 찬반이 엇갈리게 마련이고, 서로 반대 입장의 두 주장 또한 각자의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런 모든 것을 조금은 잠재울 수 있는 건 아무래도 에이즈라는 병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그 약자의 입장을 가장 잘 대변하고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최선이기 때문이다. 그 바탕에 깔려진 원인과 결과적인 모습을 완벽하게 다 제외할 수는 없겠지만 힘든 과정을 살아나가고 있는 그들에 대한 차별과, 다른 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색안경을 조금은 벗어버릴 수 있지 않을까. 조금은 더 투명하게 그들을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라고 되묻고 싶어진다. 

미화시킨 것이라면 조금은 더 현실적으로, 현실적으로 다가온다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지금은 성인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어른들을 위해 이러한 만화가 더 쉽게 다가오면 우리는 그들을 전보다는 더 가까이 대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러스가 몸 속에 아예 존재하지 않을 그 날을 위해, 푸른 알약을 삼키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