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는 매거진이다
유정미 지음 / 효형출판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잡지의 사회적 의미와 디자인적인 측면 두 가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물론 비중은 후자쪽에 더 실려있지만 전자에 대한 언급도 중요했다고 생각한다. 사실 잡지라는 의미 자체를 아주 잡다하고도 가벼운 것들이 모인 책이라는 것에 의의를 제기 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 더구나 우리는 잡지를 책이라는 분류안에 잘 집어넣지 않는다. 뭔가 책 하면 드는 고상한 느낌이 잡지에는 없기 때문이다. 차라리 신문을 읽는다고 하면 했지 잡지를 열심히 읽는다고 자랑하는 이는 아무도 보지 못했다.

우선 잡지에 관해 가지고 있는 편견중 가장 큰 것은 나이가 적지않은 여성들이 보는 이른바 두터운 여성지 일 것이다. 앞에 여성자가 붙으며 뒤에는 출판사의 이름이 붙는 그 잡지들은 그야말로 무기의 수준을 방불케 하도록 두터우며 광고의 질 만큼이나 내용도 아주 시시콜콜한 것들이다. 잡지 하면 가장 먼저 그런 책들이 떠오르는 것은 아마도 많이 팔리고 그나마 짧은 잡지 역사계에 비교적 망하지 않고 오래오래 버티기 때문 일 것이다. 이제는 은행이나 동네 미장원에서나 볼 수 있지만 과거에 별로 읽을꺼리가 없던 시절에는 아줌마들의 필독서였더랬다. 그 다음. 바로 제 보다 젯밥에 관심있는 이들을 위하여 사은품을 마구 풀어제끼는 하이틴 여성지 일 것이다.

요즘 잡지들은 대부분 이 과에 속하며 주는 사은품은 화장품에서 가방까지 다양하다. 이게 우리들이 잡지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이다. 그러나 조금만 더 생각해 보면 이게 전부가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지오그라픽 비슷한 (실제로 이름도 비슷하다)잡지도 있고 사이언스지 비슷한 잡지들도 또 인테리어에 관련된 잡지, 영화잡지등도 무수하게 많다.

물론 이 책은 잡지의 사회적 기능보다 앞서 말 했듯이 디자인적인 측면을 더 깊게 말하고 있다. 하지만 나에게는 앞부분에서 조금 언급한 잡지의 사회적 의미가 더 마음에 와 닿았다. 평소 잡지를 좋아하긴 하지만 잡지라는 말에서 느껴지는 뉘앙스가 그리 좋지만은 않았고 나 역시 어디가서 잡지를 참 열심히 본다고 말 하지는 않으니까..

잡지. 책의 저자에 의하면 매거진은 시대의 흐름을 가장 빠르게 편승한다. 신문처럼 하루살이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잡지는 한달을 주기로 폐기된다. 그렇다고 해서 책 처럼 길이길이 남을 얘기를 담지는 않는다. 잡지는 가장 적당한 속도로 시대의 미학과 관심거리를 다루고 있으며 잡지 디자인은 시각 디자인의 현 주소를 가장 쉽고 빠르게 보여주고 있다.

이제 이 책을 읽고나면 우리가 잡지에 관해 가졌던 조금은 가볍고 저급한 시선을 접을 수 있을것이다. 그리고 잡지를 매거진이라 부를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제발 여자들도 사은품으로 잡지를 사는게 아니라 매거진을 좀 읽었으면 싶다. (물론 일년에 한번정도 진정한 의미의 독자 사은품을 반대하는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