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뿌리 깊은 나무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처음으로 읽은 소설, <뿌리 깊은 나무>는 <다빈치 코드>의 열풍 이후 쏟아지던 각종 '팩션'류 소설의 열풍을 잠재울 만한 충분한 매력이 넘치는 한국 소설이다.
이 책의 재미는 우리가 '다 아는 것 같지만' 정작 자세히는 몰랐던 세종대왕, 집현전, 훈민정음 창제를 둘러싼 이야기를 멋지게 버무려냈다는 것이다. <다빈치 코드> 같은 경우는 금기시 된 것을 밝혀내는 재미가 있었다면, 이 책은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것을 한번 더 생각하게 하는 재미를 준다. 그리고 과거를 가지고 지금의 현실에서도 늘 고민하고 화두가 될 만한 '개혁과 보수(여기서의 보수는 수구꼴통의 의미가 아님)'의 문제라든가 중국과의 역사 문제 등을 다시 한번 생각케 하는 시간도 갖게 한다.
또 사건의 전개 속도라든가 등장하는 인물들을 형상화하는 것은 작가가 드라마나 영화를 염두에 두고 최근의 경향에 맞추어 잘 구성했다는 생각이다. 최근 사극의 추세는 기존의 익숙한 인물들(역사책 속 인물들) 사이에 주인공으로 그동안 몰랐던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일반인들을 드러내어 우리 역사의 이미지를 풍성하게 한다. 이 책의 등장인물인 반인 가리온이나, 세자빈, 벙어리 항아 소이, 겸사복장 정별감, 겸사복 채윤 등등은 중요 등장인물이면서도 그동안 역사책이나 사극에 전혀 주인공으로 등장하지 않았던 인물군이다. 이런 점에서 개인적으로 나는 <다모>, <대장금> , <상도>, <허준> 같은 사극이 생활사나 미시사의 열풍과 맞물리면서 독자들에게 새로운 역사적 지평을 넓혀준 공로가 있다고 본다.
다만, 너무 상세한 목차와 장 시작 중에 내용 요약 같은 것은 책을 읽으면서 독서의 흐름을 끊어버리는 단점이 있으며(그래도 추리소설인데 너무 친절하다), 거대한 음모의 해결과정과 그 이후의 주인공의 모습은 너무 맥없이(소설 속 현실이 그럴 수밖에 없었으니 어쩔 수 없었겠지만) 끝나는 것들은 책을 읽고 난 뒤, 허탈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살다보면 늘 새로운 것, 그리고 미래 지향적인 것, 내게 발전적인 도움을 줄 만한 것을 추구하고 찾아내어 항상 발전시키는 그런 삶이 얼마나 어렵고, 고단한 것인지 깨닫게 된다. 가정에서도 회사에서도 이미 몸에 익숙하고 내가 진리라고 믿어왔던 것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는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리라. 나는 이 책의 주인공들의 반대편(?)에 선 최만리 같은 사람들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비판을 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는 자신의 신념으로 세상을 고치려고 나름대로 노력한 캐릭터다. 그런 점에서 나름 애정이 가기도 한다. 물론 그 길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원하는 바가 아니더라도, 그런 사람과 성삼문/세종 같은 사람들이 부딪혀야 또 새로운 미래와 만날 수 있을테니까. 단 그 신념을 단지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서만 사용하는 캐릭터들(누군지 말하면 스포일러가 된다)까지 옹호할 맘은 없다. 그런 캐릭터들은 당시에도 지금도, 아니 역사 이래 늘 있어온 골칫거리일 테니까.
역사적으로, 이 책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것들이 실제 그러할 수도 있는 개연성이 매우 크다고 느껴지고(정말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이에 독자가 분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이 소설이 매우 잘 쓰인 것이라는 반증이라 하겠다. 마치 이덕일의 <조선 왕 독살사건>을 읽는 것처럼 재미있는 역사책 처럼 느껴지기도, 이인화의 <영원한 제국>처럼 멋진 소설처럼,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너무 잘나서 지겨운) 세종이나 집현전 학사들의 일화 그런 것이 오히려 친근하고 생생하게 느껴졌다. 지금까지는 조선 후기 혹은 일제 때의 우리 역사의 불운기에 관심이 많았는데(왜 그렇게 되었는가를 생각해보기 위해서), 어쩌면 이 책처럼 르네상스기였다는 세종조(조선 초)의 이야기를 통해 오히려 흥할 때 무엇을 놓친 것이 문제인가를 생각하면서 배울 것도 많겠다고 여겨졌다. 사실 조선 초기에 관련된 책은 생각보다 별로 드문데 그런 책들이 많이 나와주어 이 책을 읽고 흥미를 느낀 독자들이 또 다른 역사 속 재미를 찾을 수 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