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가의 집을 찾아서 ㅣ 한젬마의 한반도 미술 창고 뒤지기 2
한젬마 지음 / 샘터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살다보면 잘 알지 못하면서, 편견을 갖고 접하게 되는 경우가 참 많다. 나는 이 책이 우리가 갖고 있는 그런 편견을 깨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 편견이라는 것이 하나는, 저자가 서문에서 말하고 있듯 '한국화'에 대한 편견이며, 또 하나는 글쓴이 한젬마에 대한 편견일 것이다(한젬마 개인에 대한 편견의 일화는 책 속에 작가K와의 일화를 통해 충분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서양화가들이나 서양미술사 관련 자료들은 넘쳐나지만, 정작 한국화(동양화가 절대 아니다)나 한국미술사 관련 자료들은 찾아보기 힘든 그런 상황, 그리고 대부분 한국화란 고루한 동양화(사군자나 산수화 류의)라고 생각하고 마는 그런 현실을 애통해한 저자는 우리 화가들의 발자취를 찾아 여행을 떠난다. 우리의 미술에도 역사와 전통, 그리고 변혁이 담긴 작품과 작가들이 많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이 책의 취지는 누구나 공감할 만한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잘 기획된 책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도 지적하고 있지만, 서양미술 일색의 대형 기획전이 넘쳐나고 서양미술사 책을 달달 외우게 된 현실에는 일견 출판계의 잘못도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이 더 반갑다고나 할까.
해외여행을 다니거나, 해외다큐멘터리를 보다보면, 늘 아쉬운 게 전통과 역사의 보존이다. 급격한 근대화, 도시화 탓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우리는 '역사'는 과거의 것이고, 현재는 늘 현재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우리의 현대가 언젠가 '역사'가 될 것이라는 생각을 아무도 하지 않는 것이다. 과거란 그저 묻고 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혹은 과거란 늘 청산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회 전체적인 시각 탓에 우리의 현재는 늘 사라지고 만다. 불과 몇 년 전의 것들도 자료 찾기가 힘들고 몇 년 전 있던 멀쩡히 있던 건물도 없어지는 현실은 그런 사회 전체적인 시각에 의함일 것이다. 이는 식민지 이후, 생겨난 어쩔 수 없는 사회 현실이겠지만 이제 더 이상 우리 사회가 이런 시각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제 국민소득도 1만 6천불 시대가 되어가고 있는데, 언제까지 성장과 개발이 우선이 될 수 없다고도 생각한다. 100년 뒤, 지금의 역사가 기록될 역사책에는 거대한 아파트촌으로 전락한 서울만이 남아 있을 것 같은 게 요즘이니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한국미술사를 뒤돌아보는 측면도 있겠지만, 한편으론 우리의 '과거 인식'에 대해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이 책 곳곳에 나오는 작가의 화실, 생가 등의 흔적의 소재가 개발의 논리 또는 이러저러한 논리로 없어지고 공개되지 않는 것들이 그저 안타까움으로 남는 게 아니라 이런 인식에 대한 근본적 물음에까지 다다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이런 질문이 역사학이나 사회학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같은 미술계에서 나왔다는 그래서 대중들에게 더 어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는 한젬마의 이 책에 많은 점수를 주고 싶다. 내가 어떻게어떻게 해서 알고 있는 한국화계의 현실에서 이러한 시각을 간직한 채, 발로 뛴 저자의 노력은 드문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한국미술(사)’라는 한 주제에 관한 여러 겹의 편견(필자에 대한 것 포함해서)을 편안하고, 쉽고, 공감할 만한 수준으로 잘 서술한 유용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덧붙이자면, 내가 주로 읽는 역사 분야에만 역사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게 아니라, 요즘은 음악이나 여러 분야에서도 이러한 전문(가적 식견을 가진 사람들까지 포함) 필자들이 생겨나는 것 같아 더 반가웠다고나 할까. 앞으로 한젬마의 또 다른 책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