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수업 - 인공 지능 시대의 필수 교양
존 조던 지음, 장진호.최원일.황치옥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로봇이라는 것도 이젠 인공지능에 비하면 다소 떨어진 옛날의 유행으로 느껴진다. 사실 그 이유는 무척 단순하다고 본다. 그만큼 로봇은 임팩트 있는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  

재작년에 있었던 인공지능과 인간의 세기의 바둑대결에서, 알파고는 이세돌을 이겼다. 바둑은 수가 너무 많은 스포츠이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기려면 멀었다는 전망이 무색하게 알파고는 이세돌을 압승했다. 새삼 인공지능이 피부로 느껴졌었다. 이젠 그 인공지능을 일상 속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다. AI 스피커따위로 말이다. 



반면 로봇은 아직도 멀게 느껴진다. 공산품을 생산하는 공장의 로봇팔 같은 거야 오래 전부터 있었고, 애완용 동물 로봇은 로봇보다는 인공지능에 더 관심이 집중된다. 그 이유는 로봇의 하드웨어적 발전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인간을 흉내내 걷는 로봇은 존재하지만, 그 기능은 인간에 비해 터무니없이 부족하다. 몇 걸음을 힘겹게 내딛다가 쓰러지곤 한다. 그런 점들이 일반인들에게 큰 임팩트를 주지 못하는 것이다. 



<로봇 수업>은 현재 로봇 기술이 어디 쯤에 와 있으며, 그 로봇들로 인해 우리 사회가 어떻게 바뀔지를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는 책이다. 물론 과학 기술의 발전은 하루 하루가 다를 정도로 빠르며 급격하다. 그래서 이러한 책들이 발간되고 난 얼마 뒤의 상황은, 그 책들과 전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런 책들이 의미를 잃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이 발간되며 '현재' 시대를 기록한다는 것의 의미를 갖는다. 지금 기술력이 어느 정도고 어떠한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지 시대 정신을 담아내기에 의미가 있다.  

로봇이 어떠한 작동 원리로 움직이며 개발하고 있고, 현재 어떠한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고, 당장 가지고 있는 문제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 책은 말하고 있다. 그리고 로봇에 대한 끊이지 않는 질문 '과연 인간의 일자리를 뺏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역자가 셋이며 셋 모두 관련 분야에 깊이 있는 공부를 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번역 상 생길 수 있는 오류가 줄어들 것 같다는 믿음을 주고 있다. 로봇에 대해 궁금하거나 현재와 미래의 로봇이 어떻게 변할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