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세의 눈물 - 세 개의 조국을 가진 이 남자가 사는 법
정대세 지음, 한영 옮김 / 르네상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유학생모임에서 만든 동영상을 본 적이 있다. 일본에서 태어나 자라고 남한 국적을 가지고 북한 대표팀에서 뛰는 정대세 선수의 눈물이 평화라는 주제를 가진 동영상에 나왔다. 서경식 선생이 말한 디아스포라, 경계인에 이렇게 딱 맞는 사람이 있을까?

일본 영화 ‘GO’를 보고, 원작 작가인 재일조선인 가네시로 가즈키의 소설들을 읽고 서경식 선생님의 책을 보고, ‘맨발의 겐을 번역하신 김송이 선생님을 뵙고, ‘우리학교라는 다큐멘터리를 보고, 그에 관련한 사진집, 책들을 보고 야끼니꾸 드래곤이라는 연극을 봤다. 이것들은 모두 재일조선인을 다룬 것들인데, 이런 것을 통해 나는 재일조선인의 삶을 조금은 알고 있다고 생각했나보다.

하지만 난 여전히 현실적인 많은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경계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선택하는 것, 지금은 없는 나라 조선에 매이는 것 역시 국가주의가 아닐까 생각했다.

그러나 <정대세의 눈물>을 보다보니 이런 문장이 나온다.

 

이도 저도 아닌 느낌이지만, 제 홈이 어디냐고 한다면 역시 재일입니다. 재일이라는 입장도 복잡해서, 일본인도 아니고 완벽한 조선 사람도 아니고 한국 사람도 아닙니다. 그럼 어디 사람이냐고 묻는다면, 대답이 궁해집니다. 재일 사람이란 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히려 실체를 나타내는 이름이 없기 때문에 더더욱 우리 존재를 지워서는 안 되고, 뿌리를 소중하게 지켜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세계의 자이니치를 목표로 하는 보람이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은 선택이 아니고, 그냥 존재하는 것이다. 그냥 재일, 자이니치가 그 정체성인 것이다. 이 존재를 모두가 인정하는 말이 없다고 해도 계속해서 말해야 하는 이름인 것이다.

축구에 도통 관심이 없는데, <정대세의 눈물> 대부분 내용은 축구 이야기다. 그러나 축구 이야기를 하든, 어머니 이야기를 하든, 장난꾸러기인 어린 시절 이야기를 하든 솔직하고 눈물많고 진지한 정대세의 모습이 보인다. 자기가 이해한 만큼 자기 자리에서 자신의 이야기로 자기 정체성, 재일의 정체성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정대세의 현재를 보여주는 책이다. 그리고 정대세의 미래가 궁금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