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5 - 로마 세계의 종언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5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마지막 권이다. 긴 숙제를 마친 느낌이다. 사실 숙제라기보다는 축제였다. 적어도 내게는 이 책을 읽는 동안 다른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 ‘영화같다’고 까지 할 수는 없지만, 어설픈 소설보다는 나았다. 재미도 있고, 생각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동양인의 시각에서 바라보았기에, 서양인들은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들을 오히려 역사적, 문화적 관점에서 알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서양인들이 생각하는 법 개념은 약속이나 계약에 가깝다는 것, 기독교는 동양적 특성(중동의 일신교)이 오히려 서구화하여 완성되었다는 점 등이다.

무엇보다 진짜 1년에 한권씩 책을 낸 지은이를 다시 보게 되었다. 처음으로 로마인 이야기를 읽을 때, 정말 15년 동안 작가가 계속 책을 쓸 것인지 의심스럽기도 하였지만, 이제는 정말 작가의 노력(작가의 관점은 논외로 하자)에 경의를 표할 수 밖에 없다. 대단하다.

더불어 번역자에게도 감사하다. 당연히 지은이의 글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번역서는 재창조자인 번역자의 글이 어쩌면 더 중요하다. 번역 글치고는 제법 매끄럽다. 어쩌다 몇 군데에서 다시 문장을 읽어야 했던 적은 있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훌륭하다. 적어도 내 수준에서는.

가만히 다시 읽어보니 시리즈 전체에 대한 내 생각을 너무 길게 썼다. 15권으로 돌아가자. 로마가 멸망하고, 이후 동로마에 대한 내용을 조금씩 다루었다. 이제 지은이도 더 이상 로마에 대하여 기대를 하지 않는다(이미 역사적 사실이므로 너무나 당연하지만, 적어도 14권에서는 안타까움이 많이 묻어났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냥 그렇게 가게 놔 눈다. 어쩌면 ‘당해도 싸다’라는 식인지 모른다. 이미 14권에서 기독교가 승리한 후로, 시오노 나나미의 눈으로 보자면 이제 더 이상 예전 로마로 갈 수 없고, 사실상 로마가 끝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15권은 마치 유관장은 물론 제갈량까지 죽은 이후에 삼국지를 읽는 기분이다. 이제 더 이상 나올 것이 없이 후식을 먹는 기분이랄까? 그냥 좀 아쉬워서 읽는다고나 할까?

 

내가 읽은 로마인 이야기의 어느 책보다도 표시한 부분이 많다. 마지막 권이라는 아쉬움, 전체를 정리하는 듯한 작가의 문장들, 제대로 들어보지 못해 생소한 사실들. 이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까닭일 것이다.

역사적 사실들을 요약하지는 아니 하려고 한다. 책을 다 읽었지만, 의문은 이어진다. 언젠가 몇 번 더 읽어보면 정리되려나? 그리고 내게 남는 것은 무엇일까? 어쩌면 로마와 전혀 무관한 현재의 대한민국도 로마의 추종자처럼 느껴지는 것은 왜 일까? 서양인들이 왜 그토록 로마가 망한 후에도, 로마를 모방하거나 따르려 했을까?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무엇을 찾고 싶었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송도둘리 2007-08-17 15: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갈량 죽은 뒤의 삼국지를 읽는 기분이라는 말이 어떤 느낌인지 제대로 설명해주는데요? 잘 읽었습니다.^^

고민고민 2007-08-17 16: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이렇게 금방 댓글을 달아주시다니... 정말 고맙습니다.
 
로마인 이야기 14 - 그리스도의 승리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4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4권이다. 이제 한권 남았다. 시대가 저물어가는 느낌이 곳곳에서 읽힌다. 우아하게 물러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로마가 로마가 아닌 것으로 변해가는 과정이라고나 할까?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2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제국을 통치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만큼 자신의 의도대로 만든 정책들이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사후에 다시 제국은 이런 저런 이유로 삼분된다. 그러나 삼형제의 삼분 통치는 다시 정리되고 콘스탄티우스가 단독 황제가 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일어난 내전의 상처는 결국 국방력의 손실로 이어진다. 망하는 집안은 무얼해도 결국 제살 깍아 먹기 밖에 안 되는 모양이다. 어쩌면 지휘자의 능력 부족일 수도 있지만, 그것이 꼭 그 지휘자만의 탓일까?




콘스탄티우스는 핏줄이라도 자신에게 방해가 된다면 무자비하게 숙청한 인물이다. 좀 심하다 싶을 정도로 주변 사람들을 모두 도태시켰다. 물론 율리아누스가 콘스탄티우스와 친척 간이기는 하지만, 콘스탄티우스는 율리아누스의 형인 갈루스를 부제로 삼았다가, 쓸모를 다하자 조용히 처형시킨 사람이었다. 이런 것을 보면 참 권력이란 무엇이고, 또 핏줄이란 무엇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하나는 한 손에 꽉 쥐고 싶은 것이고 마음 먹기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이지만, 다른 하나는 한 손에 꽉 쥘 수 없으며 희망하였다고 해서 그대로 되는 것은 아니다.




특이한 것은 율리아누스 황제 부분이다. 이 황제는 2년 정도 재위하였지만, 이 권에서는 약 3분의 1이 이 황제에 대한 내용이다. 어쩌면 지은이가 보기에 마지막 로마 황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기독교도들에게 ‘배교자’라고 불리지만,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관으로는 오히려 로마 후기의 다른 황제들보다는 율리아누스가 정통 로마인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지은이는 율리아누스에 대하여 로마 문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의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22쪽). 그래서 짧은 재위기간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관심을 받는다. 그는 경험이 전무한 철학자에서 시작해, 맨몸으로 군사경험을 쌓고 실력으로 후계자가 되었다. 그러나 기독교도와 사이가 멀어지면서 결국에는 석연치 않은 이유로 전쟁터에서 요절하게 된다.




이 권은 다른 시리즈와 다른 것은 황제가 아니라, 주교가 책표지에 등장한다는 것이다. 부제도 그리스도의 승리다. 콘스탄티우스 황제, 율리아누스 황제,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주로 나오는데 3부는 소제목조차 암브로시우스 주교다. 그만큼 기독교에 대한 내용이 많이 등장하고, 주요한 부분이다. 그 핵심에 바로 암브로시우스 주교가 있다. 로마의 교양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정치 권력의 핵심을 익히 알고 있던 사람이, 분명하지 않은 이유로 주교가 된다. 그리고 결국에는 실제 권력의 막후 실력자가 된다. 신의 뜻을 대신하여 전달하는 주교로 인하여 황제 자리를 보장 받는 황제. 결국은 주교와의 싸움에서 이길 수가 없다. 예를 들어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암브로시우스 주교에서 몇 번 버텨보지만, 결국은 주교 앞에서 속죄의식을 하기까지 한다.




로마인 이야기를 읽으면서 오히려 더 많이 기독교를 알게 되는 것은 역설적이기는 하다. 지은이는 기독교에 대하여 부정적인 생각이 많은데, 오히려 나는 이런 관점에서 기독교와 유대교의 차이, 삼위일체설에 얽힌 논란 등을 조금 더 잘 알게 되었다. 수호신과 수호성인의 차이를 알게 되면서 씁쓸한 생각이 들었다. 종교의 정치권력화를 보는 느낌이 든다. 정말 종교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깊게 고민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동아 2007.8
과학동아 편집부 엮음 / 동아사이언스(잡지)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역시 특집이 먼저 끌렸다. 스트레스를 잘 받기 때문일까? 스트레스 기사가 나오면 항상 관심이 간다. 이번 호의 스트레스 기사도 유익했다. 수험생 스트레스 같은 꼭지도 재밌고. 다만 스트레스를 잘 푸는 방법도 알려주었으면 한다. 물론 이런 것을 그냥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볼 수도 있지만, 과학동아라는 매체의 특성상 여기에 나오면 더 신뢰가 가니까.

빌딩 숲에 자연정원을 만드는 것도 얼마전에 본 적이 있어서 그런지 관심이 갔다. CG가 그럴듯해 도움이 되었다.

라이벌, 맞수는 여전히 묘한 매력이 있다. 엘리트주의라고 해도 할 말은 없지만, 여전히 묘한 맞수 의식은 건전한 경쟁 관계를 만든다. 연고전도 그런 측면에서 바라보는 듯하다(개인적으로는 좀 다른 생각이지만, 일단 여기서 내 생각은 제외하고...). 카이스트와 포스텍. 이 두 이공계 특성 대학을 맞수로 대비한 기사는 흥미를 끌기에 충분했다.

베이칭대와 칭화대, 미국의 아이비리그 같은 느낌. 뭔가 좀 있어보이는 그런 기사. 비싼 음식점에서 볼 수 있는 고급 잡지에서 나오는 듯한 어투. 과학동아와는 조금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이공계 광고를 위하여 그럴 필요도 있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전거 여행
김훈 지음, 이강빈 사진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가 김훈은 요즘 정말 잘 나간다. 대통령까지 언급할 정도로 화제를 몰고 왔던 칼의 노래(이순신). 그리고 뒤이어 현의 노래도 그랬지만, 최근에는 남한산성이 엄청 잘 팔린다. 오늘 신문을 보니 남한산성은 27만부가 팔렸단다. 요즘 같은 출판 불황기에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심지어 김훈은 그동안 책 시장에서 별로 주목하지 않았던 30, 40대 남성 독자층들이 관심을 가지는 작가여서 더욱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칼의 노래, 현의 노래를 모두 안 읽은 나는 사실 김훈에 대해 별로 아는 것이 없고 할 말이 없다. 다만 나는 그냥 책꽂이에 있기에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ㅠ명작가이기에 김훈이라는 사람의 이름을 보고, 밤에 잠자기 전에 편하게 읽는 책으로 골랐다. 뭐랄까? 대충 보자면 별로 특별한 내용이 없다.

 

그런데 찬찬히 읽어보면 느낌이 좀 다르다. 이외수의 수필집을 읽었을 때 느낌도 다시 생각나고, 유홍준의 문화유산답사기 같은 느낌도 난다.  글쓰는 사진가 이지누씨가 쓴 한겨레 꼭지를 보는 것 같은 착각도 들었다. 그렇지만 거기에는 김훈만의 느낌이랄 수 있는 무언가가 섞여 있다.
기자 출신(시사저널 편집장이었음)이라서 그런지 주로 짧은 문장, 짧은 호흡이다. 하지만 그 짧은 문장들 사이 사이에 있는 무언가는 읽다가 다시 한번 김훈 이라는 사람을 생각하게끔 만든다. 책의 뒷표지를 보면 정끝별이라는 문학평론가가 ‘가히 엄결하고 섬세한 인문주의의 정수’라는 표현을 하였는데, 나는 인문주의를 잘 모르지만,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라보는 독특한 지은이의 인간적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책 내용은 간단하다. 전국의 각지를 자전거로 돌아다니면서, 글을 쓴 것이다.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대한 내용이 다 나온다. 내가 자기 전에 읽으려고 생각하였기에, 편한 마음으로 읽었지만 책을 읽다보면 편하게 읽는 내 자신이 좀 미안해질 정도로, 자전거로 다닐 때 육체적으로 힘든 경험을 군데군데 글로 나타내었다.

아직도 연필을 깎아 원고지에 육필원고를 쓰는 작가라서 그런지, 자전거 타는 것마저도 그리 쉽게 하는 것 같지 않다. 전라도 바닷가도 나오고, 경상북도와 강원도의 태백산맥도 나오고, 서울도 나온다. 읽다보면 함께 자전거를 타고 뒤따라 다닌 것 같다.


다만 사진이 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마음 편하게 여행기처럼 읽고 싶어서 였나보다. 물론 이 책은 에세이라서 사진이 많아지면 오히려 주객이 전도될 수도 있겠지만, 어떤 구절에서는 사진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것은 어찌 보면 소설가에게는 모욕일 수 있기에 더 이상 말하면 안 될 것 같다. 글을 읽었는데 사진을 찾는다면, 글만으로는 부족하고 답답하다는 뜻으로 오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재미난 것은 책표지에 있는 글이다. 이 책을 쓰면서 타고 다녔던 풍륜이라는 자전거가 망가져 새 자전거를 샀는데, 이 책을 팔아서 자전거값 월부를 갚으려 한단다. ‘사람들아 책 좀 사가라’라는 문장을 보고 몇 번을 웃었는지 모른다. 아마 이제는 다 갚고도 남았을 테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온몸이 물리 천지 교실 밖으로 뛰쳐나온 과학 1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상황물리교육연구실 엮음 / 이치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책의 맨 앞에서 사람 그림이 있고, 관련된 내용을 몸의 부위별로 소개하는 부분이 있다는 점, 몸 어림에 대한 퀴즈, 교육과정과 비교 등은 좋은 시도로 보인다. 본문의 구성은 일기, 과학자와 제자의 대화, 읽을 거리, 해보기와 해설로 되어 있고, 한 소재마다 8쪽 정도가 기본이다.
몸으로 할 수 있는 간단한 활동들을 소개하는 부분이 있어 좋다. 책을 읽으면서 따라해보면 좋을 것이다. 과학 교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