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겨레21 제1405호, 제1406호 : 2022.03.28~04.04 - 21 WRITERS ②, 합본호
한겨레21 편집부 지음 / 한겨레신문사(잡지) / 2022년 3월
평점 :
품절
김혜리
"내가 이 영화를 보고 판단한 미적 판단을 씁니다. 다만 저널리스트가 일반 관객과 다른 점이라면 소통 가능한 언어를 써서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그 보편성이 모두에게 적용되는 미적 판단이란 의미는 아니에요. 그래도 나만의 것으로 남아서는 곤란합니다."
신형철
"제가 비평가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많은데 제일 멋없는 답은 이런 거예요. 제 삶에는 이야깃거리가 없어요. 타인의 삶에서 그걸 찾아낼 만큼 관심의 에너지도 없고요. 그러니 이와는 다른 자극이 주어져야만 하고 그게 작품이겠죠."
이라영
"산발적으로 적어둔 메모 속에서 어떤 흐름을 찾을 때가 있어요. 그럼 도서관에 가서 관련된 것을 막 찾고 열심히 구글링도 해요. 그러다보면 연결고리가 없을 것 같던 메모들 사이에서 써야 할 글의 구조가 나오기 시작해요. 그다음부터는 충실하게 쓰면 되는데, 거기까지 가는 게 힘들죠."
정여울
"제가 사랑하는 에세이의 잡스러움이 그 일에 적격이라고 생각해요. 소재가 무엇이든 특별한 문학적 장치 없이도 곧바로 아름다운 글을 쓸 수 있는 힘이 바로 에세이의 잡스러움, 하이브리드적 에너지거든요."
김원영
"나라는 사람을 가운데 놓고 내가 연결된 전체 세상에서 내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맵(지도)을 그려보는 거예요. 아주 작은 나로부터 시작해 지구 전체로 확대해보는 거죠. 그 과정을 통해 '나'라는 사람을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고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도 나올 수 있습니다."
은유
"쉽게 판단하지 않으려 해요. 판단이 강할 수록 사람과 사물, 현상을 있는 그대로 못 보잖아요. 전달자로 온전한 역할을 하려면 판단하지 말고 의심해야 해요. 소설가가 자기가 구축한 세계에서 신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면, 논픽션 작가는 가장 아래서 세상을 보고 기록하는 사람이라 생각해요."
정은정
"저는 단행본보다 오히려 집요하게 논문을 봐요. 유통, 산업 관련 보고서 등도. 한 주제를 엄밀하게 과학적으로 분석한 논문이, 웬만한 단행본보다 글쓰기에 훨씬 도움이 돼요. 그리고 인터뷰할 때도, 작가로서는 좌충우돌하며 부딪혀도 원하는 이야기를 끝까지 끌어내려 하잖아요? 사회학과 대학원에서는 멈춰야 할 땐 멈춰야 한다고 가르쳐요. 연구 윤리의 문제죠. 저는 작가로서의 자존심보다, 인터뷰를 위해 기꺼이 시간을 내주신 분들께 예의를 다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해요."
최현숙
"저는 누군가가 각별한 인생, 상처, 장애가 있다고 관심을 갖지는 않아요. 아무나 붙잡고라도 그의 생애 이야기를 통해 계층과 성별과 문화와 심리를 드러낼 수 있어요. 그렇게 이 사람을 사회 속에 위치하도록 끌어내는 게 제 구술 작업의 핵심이거든요. 그가 사회의 어느 위치에 있었고, 누구와 같은 처지에 있었고, 누구에게 차별받았고, 이런 사회적 존재로서 한 사람을 끌어내는 거죠."
희정
"전 기록이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세계가 만나는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시선이 가닿는 데까지가 자신의 세계라고 생각하는데요. 그 세계를 어떻게 넓혀갈 수 있는지가 기록자 또는 비문학 작가의 중요한 자질이라고 생각해요."
강원국
"예를 들어 <강원국의 글쓰기>는 네이버 블로그에 2년 반 동안 쌓아놓은 1700개의 메모로 쓴 거예요. 필리핀 세부에 강의하러 갈 일이 있었어요. 그때 강의 외에 이 메모를 다 출력해 가져가서 분류 작업을 해야겠다고 목표를 세웠어요. 그래서 1700개 메모를 50개 덩어리로 분류했아요. 이 50개 덩어리를 가지고 책을 한 권 쓴 거죠."
김진해
"이 이야기를 쓰지 않으면 영영 사라질 수 있다는 강한 간절함으로 써야 합니다. 쓰고자 하는 것을 솔직하게 드러내야 하고요. 어디까지 드러내야 하나 고민된다면 내 이야기를 들어줄 타인을 가늠해보면 됩니다. 이걸 드러내면 타인에게 어떤 도움이 될까 생각하는 거죠."
김하나
"읽고 쓰기가 듣고 말하기보다 먼저 오는 것은 읽고 쓰기의 호흡이 느리기 때문이에요. 천천히 받아들이고, 느리게 사유하고, 꼼꼼히 정리하고 나서 듣고 말하기에 나서죠. 듣고 말하기는 아무리 천천히 해도 즉시적이어서 실수하거나 무례를 범하기 쉬우니까요."
김혼비
"왜 일상을 살아가다가 아주 짧게나마 자신을 멈칫하게 하는 순간을 딱 붙잡고 왜 멈칫했지, 뭐가 나를 멈칫하게 했지를 계속 고민하는 게 영감을 길어 올리는 가장 확률 높은 방법인 것 같아요. 떠돌던 영감을 이렇게 붙여보고 저렇게 연결해보고 순서도 바꿔보고 완성된 형태로 만드는 게 진짜 중요해요."
이슬아
“이제까지랑 다른 인터뷰를 제가 같이 만들면 되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지금 연재 중이고 새로운 시리즈를 뜨겁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저는 겹치지 않는 얘기를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편하게 하세요, 기자님.”
채사장
"누군가를 만나 대화하는 게 유일한 재미였는데 항상 아쉬움이 있었던 것 같아요. 친구를 만나도 계속 겉도는 이야기만 하다가 끝나는 경우가 많았어요. 우리가 최소한 공통의 뭔가를 공유한가면 그것을 기반으로 다음 얘기를 해나갈 텐데, 누구나 최소한 이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거 같아요."
강명관
"그러니까 과거의 맥락에서 과거를 파악하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주는지 탐구하고 싶다는 거죠. 문제는 이때까지 과거의 문학과 역사를 항상 근대와 민족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보니까 그 안에 있는 수많은 연구 주제, 리얼리티를 다 숨겨버리고 마는 거죠. 은폐한 거죠. 과거를 제대로 읽지 못하게 합니다. 그게 문제가 아닐까 싶어요."
김상욱
"어쩌면 제가 물리학을 아주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서 쉽게 설명할 수 있는지도 몰라요.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이해하지 못할까', 이런 생각을 많이 하죠. 과학자는 빈틈없이 완벽하게 설명하려는 태도에 익숙한데, 일반인에게는 정확한 설명보다 적절한 비유가 더 좋아요."
박주영
"좋든 싫든 써야 하고 글로써 밥벌이한다는 점에서 판사도 일종의 전업작가라 할 수 있겠네요. 선고도 일종의 마감이다보니 가능한 한 마감에 쫓기지 않으려고 애씁니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여유를 가질 수 있고 최대한 틀리지 않으니까요."
박찬일
"글쟁이는 최소한 설득은 못하더라도, 동의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그게 글쟁이의 본능이랄까. 설득하려고 적절한 윤색도 하고 초도 치고 가미하고 미원도 치는 건데, 진짜로 눈물나는 건 사실이다."
유현준
"건축은 제약이 많다. 여러 사람과 흥정해야 하고, 예산 제한이 있고, 건축주의 취향이 있다. 그래서 원래 의도의 반이나 실현하면 다행이다. 그러나 글안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컨트롤한다. 아무도 뭐라 하지 않는다. 자유를 느낀다. 스트레스도 해소된다. 건축은 하나를 현실화하기도 어렵지만, 글로는 뭐든지 할 수 있다."
최재천
"문학적 글쓰기와 과학적 글쓰기는 각자 특성이 분명하기에, 상호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내 글은 양쪽의 특성이 모두 묻어난다고 해요. 즉, 기승전결의 내러티브를 중요시하는 문학적 글쓰기와 결론-이유-근거로 구성되는 테크니컬 라이팅의 중간 어디쯤에 있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