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끝에서 춤추다 - 언어, 여자, 장소에 대한 사색
어슐러 K. 르 귄 지음, 이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976년부터 1988년 10년여간의 어슐러 K. 르 귄의 강연, 에세이 조각 글, 서평 등을 모은 글을 엮은 책이었다. 어슐러 K.르 귄 이전 책을 즐겁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서 이번 신간도 읽기전부터 많이 기대되었던것 같다.

책에는 가이드처럼 특유의 표시로 여성, 세계, 책, 그리고 여행이라는 특유의 표시를 소제목 옆에 따로 표시해 뒀는데, 이것은 독자가 글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이 표시가 필요 없을 만큼 모든 글이 내 취향이라 처음부터 차근히 읽어나갈 수 있었지만, 글을 읽어갈 때마다 표시를 발견하고 미리 주제를 알아갈 때 내심 그녀의 친절함에 한 번 더 감동했던 부분이라 기억에 남았다. (사실 이 표시는 특정 경향에 동조하지 않는 독자를 위한 그녀만의 배려였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글쓰기와 여성에 관한 주제의 글들이 많은 생각할 거리를 가져다줬는데, 작가가 평소 젠더 문제에 대해 많은 생각을 갖고 있던 사람이라 실제로 소설에서 젠더를 없앤 종족을 만들어 실험하고 결과를 얻었던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남성적 균형이 아닌) 여성적 균형을 추구하고, 그녀 스스로의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센인들 이야기, 그리고 성별이 존재하면 빼놓을 수 없는 성교라는 행위의 필요성에 대한 양성인으로의 동등한 입장을 생각하며 떠오른 우리에게 던져진 다른 관점의 질문들, (처음에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당연하게도 게센인들에게도 발생하게 되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작가로서의 입장을 밝히며 자신이 만든 사회에 대한 여러 생각들을 접할 수 있어서 독특했고, 새로운 사회에서의 대안적인 관점과 사회적 역할의 동등할 때 지금과는 다른 사회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그녀의 소설 속 인물들로 특별한 생각할 거리를 남겨줬다고 생각이 들어서 기억에 남았고, 그녀의 작품에 대한 호기심으로 옮겨갔다.

남성 위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도 눈에 띄었는데, 
우리의 모든 윤리는 남자들이 만들고, 남자들을 위해 만들었다고 이야기하며, 여자들의 목소리는 1도 담기지 않았기에 이제라도 여자들의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과감하게 외치고 있었다.
(예로) 실제 우리 지구는 인구가 포화상태에 이르렀기에 생태 균형을 찾을 때까지 인구 성장률을 0% 조절하고 최고 단계의 가족계획이나 극단적 선택이 필요한 현재 상황을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낙태에 무조건적인 반대 입장을 보이는 세력들에게 아이를 갖고, 사랑하고, 돌보는 것을 모두 여자의 욕망이라고 매도하고, 강요하고, 세뇌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똑똑히 알아야 하며, 이걸 아는 여자들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과감했던 부분이라 계속 기억에 멤돌던 부분이었고 쉽게 잊혀지지 않을것 같았다.

자신의 작품이 어느 고등학교 문학수업에 적합한지 공청회가 열렸던 이야기나, SF 작가인 그녀에게 미래에 대해 이야기해달라고 한 발표문, 모 대학 졸업식 축사에서 여성들에게 건넨 인생의 조언들이 유독 눈에 띄었다. (독특한 질문만큼이나 시원한 답들이 좋았다.)
여성들의 경험이 얼마나 가치 있고 소중한지 용기를 주는 여러 연설문이 많아서 많은 용기를 얻었고, 많은 생각을 떠올리게 해줬다.

거침없는 입담과, 어쩌면 페미니즘적 이야기에 화가 많을 사람들에게 되려 던지는 질문들이 날카로웠다. 여성의 욕구는 다른 욕구에 밀려서 글쓰기를 미루지 말라는 이야기가 가장 마음에 와닿았다. 그녀가 꿈꾸는 양성인처럼 여성들은 살아갈 수는 없지만 여성들은 충분히 노력할 수 있고,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준 소중한 이야기들이 많은 책이었기에 읽는 내내 소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