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 - 플라톤부터 BTS까지, 음악 이면에 담긴 철학 세계 서가명강 시리즈 19
오희숙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학은 언제나 알고 싶은 분야다.

이번에 서가 명가에서 음악 미학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고 해서 음악의 미학은 어떤 내용을 다룰지 궁금했다.


음악 미학은 음악적 아름다움과 음악이란 어떤 것인지, 음악의 예술적 가치는 어떻게 평가를 하고 어떤 근거를 가질 것인지, 음악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하고 바라보는 것에 대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모방 미학에 대한 이야기에서 모방은 단순한 복사와 모사를 넘어설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음악적 모방 미학은 예술 창작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었는데, 예시로 달빛의 아름다움을 모방한 드뷔시의 달빛이라는 작품이나 비발디의 사계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자연현상과 대상에 대한 상징적 모방을 보여주고 있었다. 자연의 모방 역시 모방 미학의 예술적 가치를 설명해 주는 좋은 예시였다. 


음악의 언어성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우리나라의 자랑인 BTS에 대한 설명으로 우리의 이해를 돕고 있었는데, 언어와 국경을 넘어 BTS 노래를 부르고 공감하는 것으로 음악의 언어가 설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음악과 언어의 유사성은 18세기 음악가 마테 존은 언어가 포함된 성악에서 언어가 감정을 묘사하는 역할을 하고 언어가 없는 기악 음악에도 음악의 내재적 요소를 통해 감정 묘사가 가능하여 음악이 일종의 언어라고 설명했고, 슈베르트의 송어에서 시의 내용을 회화처럼 음악으로 묘사하여 시의 극적 성격을 화성과 선율 리듬을 통해 해석하여 음악의 언어성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고 있었다. 
음악 하면 타고난 음악적 천재에 대한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는데 책에서는 시대의 천재로 불리던 베토벤과 모차르트를 비교하며 모차르트는 타고난 재능의 대표로, 재능만큼이나 꾸준한 노력파로 베토벤을 비교했다. 과거의 음악적 천재 대한 그들의 생각들과 현재는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흥미로웠다.


음악과 철학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쇼펜하우어의 철학의 핵심 개념인 의지의 다양한 단계로 구분되는 것과 그것의 최고 단계를 이념으로 보는 것, 이념을 드러내는 예술 단계로 건축, 조형 예술, 시와 음악 등을 나누고 음악만이 형이학적 공간에 속하는 예술로 상정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많은 음악가에게 영감을 준 니체는 바그너와 밀접한 교류를 통해 철학에 영향을 받았고, 음악을 디오니소스적(도취, 주관성, 자기 망각 등) 예술로 규정하고 반 이상 주의 반 논리주의를 지향하며 도취는 니체 예술의 본질이고 음악은 궁극적으로 주관적인 예술이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음악은 이성적 합리적 접근보다는 주관적 감성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보며 자기표현의 극대화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베토벤의 음악을 헤겔의 철학으로 보고 베토벤의 음악은 사회를 반영하는 진정한 음악이고 지배당하는 계급에 대한 호소를 담았으며 자율적 예술 음악 특성을 담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현대로 넘어와 음악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리얼리즘, 수학과 음악의 떼려야 뗄 수 없는 기나긴 시간들, 알고리즘과 AI가 가져다줄 변화 등 새로운 이야기들에 대한 접근이 기억에 남았다.

음악을 단순하게만 생각했는데, 내가 생각하는 선율과 음률 그 이외의 것들에 대하여 알지 못했던 수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었다. 음악과 철학 부분이 가장 어려웠으나 이런 분야도 있구나라고 한번 읽고 넘어갈 수 있던 시간이었고, 역시 서가 명강 시리즈라는 생각을 하며, 내가 알지 못하는 이야기들을 접하고 싶다면 필수로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