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급보다 내 사업 -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봐야 할 책
윤태성 지음 / 해의시간 / 2018년 12월
평점 :
사업이라는 두 글자를 떠올리면 이상하게 머리가 아파온다. 소기업을 운영하면서 고생 고생하던 친구를 봐서일까? 그 친구는 새벽에도 집에 못 들어가고, 다음 달 직원 월급을 걱정하며 전전긍긍했다. 뭐 사업이란 게 원래 그렇지... 라고 누가 말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 , 되도록 내가 입을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금 누리는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살고 싶은 게 인간의 심리인 듯 하다. 월급은 오케이~~ 사업은 노노~ 뭐 이런 식으로.
하지만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언젠가는 필연적인 선택지 앞에 놓이게 된다. 어느 정도 나이가 있는, 월급쟁이라면 회사에서 버티면서 승진을 노려야 할지, 아니면 적당한 기회를 보고, 자신의 사업체를 차려야 할지,,,, 어느 순간에는 선택을 해야 할 상황이 오는 것 같다. 만약 사업을 선택하게 되었다면, 이왕이면 사업을 해본 선배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경험담을 들어보는 게 좋지 않을까?
이 책을 쓰신 저자도, 어느 날, 그런 선택의 기로에 섰던 모양이다. 65세까지 정년이 보장되는 도쿄대 교수라는 신분을 박차고 일어나 자신만의 재능을 이용하여 사업을 시작하였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발간하였다.
이 책은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내 사업, 누구나 할 수 있다 - 는 제목으로 창업가 마인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2장은 총 7개로 나뉘는데
1. why - 사업 명분
2. what - 사업 아이템
3. where - 어디서 사업할까?
4. How - 어떻게 경영할까?
5. How much -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6. who - 누구와 함께 할까?
7. when - 언제 시작할까?
3장은 실행, 드디어 내 사업을 시작한다 - 는 제목으로 사업을 시작할 때 실무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특히 2장은 5W2H 라고 설명하면서, 사업을 시작하려는 독자가 주로 읽어봐야할 부분이라고 강조한다. 비즈니스에 대해서 막연한 생각만을 품고 있던 독자에게 비즈니스란게 무엇인지, Step by Step 으로 차근차근 설명해 주는 부분이다. 돈 관리부터 ( 받을 돈은 선불제, 나갈 돈은 후불제 ), 인간 관계 관리 ( 직원 한명이 내 사업의 운명을 바꾼다 ) 그리고 평판 관리까지 ( 좋은 평판보다 나쁜 평판을 관리한다 ). 실용적이지만 딱딱하지 않은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해주어 머리에 쏙쏙 들어왔다.
그러나 이 책에서 내가 가장 주목한 부분은 사업의 명분에 대해서 저자가 설명한 부분이었다. 그는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자기 자신에게 꼭 물어봐야할 것이 있다고 한다.
" 나는 무엇을 위해 내 사업을 하려 하는가? 돈을 벌어서 먹고 살기 위해서인가? 단지 좋아 보여서인가? 나의 신념을 실현하기 위해서인가?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인가? 그것도 아니면 경영자라는 명함이 좋아서인가?
여기서 그가 말하고 있는 것은, 사업에는 돈 이외에도 명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내가 품고 있던 “ 사업 ” 에 대한 고정관념이 와장창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그냥 내가 갖고 있는 지식이나 상품을 고객과 거래한다고만 생각했지, 돈 이외 명분이라? 생각지도 못 했던 부분이었다.
저자가 예로 든 구조 자판기 사업 ( 지진이 많은 일본에서 지진 등으로 정전이 됐을 때 비상 전원으로 전환되어 정해진 시간 동안 일정한 수량의 음료수를 시민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 이나 빵 아키모토 회사 ( 지진이나 지해를 당한 사람들에게 빵을 기부해왔는데, 배달되는 과정에서 빵의 유통기한이 지나 폐기되는 상황이 발생하자, 창업자인 아키모토는 그 이후 빵 통조림을 발명한다 ) 를 보고 느껴지는 바가 많았다. 아... 이거구나... 결국, 사업이란 다른 게 아니구나. 인간을 위한 것.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과 능력을 사람들을 위해 써야 하는 것이다... 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그냥 영혼 없이, 사업을 잘하는 법 이나 돈을 왕창 버는 법을 말하는 책이었다면 감흥이 별로 없었을 텐데, 사업이란 것도 결국 인간을 위한 것이다~~ 라는 결론이 나게끔 하는 대목이 많아서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다. 이왕이면 돈도 벌고 세상을 더 살 만한 곳으로 바꾸는 게 좋지 않겠는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훌륭한 사업가의 예로 든 사람들이 모두 일본인들이었다는 것. 저자가 일본에서 사업을 했으니 당연한 일이겠지만, 한국인 사업가의 예도 좀 있었으면 좋았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든, 이 책을 통해 사업에 대한 A to Z 를 익혔으니 언젠가는 써먹을 날이 오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