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도시 타코야키 - 김청귤 연작소설집
김청귤 지음 / 래빗홀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 세 단편이 굉장히 불쾌하고 화가 나서 하나 읽고, 쉬고, 하나 읽고 쉬며 읽어냈다. 


바다, 빙하가 녹아 모든 것이 잠겼거나 잠겨가는 와중에 육지를 잠기게 만들어 인간 외 모든 죄 없는 육지종들까지 다 멸망시킨 죄많은 인간이, 여전히 이기적으로, 아니, 문명이 모두 잠긴 와중에 이기심과 탐욕만 발달시켜 아이와 여자, 여자 아이를 괴롭히고, 때리고, 작살로 찌르고, 죽이는 이야기들이다. 


임박한 현생 인간종의 멸망 앞에 이보다 더 추할 수 없는 그런 이야기들. 작가는 이기적인 인간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바다로 돌아가는 것(죽음) 을 해피엔딩으로 만든다. 단편 하나 하나 볼 때마다 작가도 싫고, 인간도 싫었는데, 작가의 인간혐오가 나보다 한 수 위라 바다로 돌아가는 것이 해피엔딩인가보다. 내가 아직 거기까지는 안 가서 착하고, 선하게 도우며 사는 여자 아이들은 소설 속에서라도 좀 살았으면 싶은거지. 


바다를 주제로 한 연작이라 등장인물은 다 다르지만 장소는 모두 바다의 곳곳이다. '불가사리'에서는 육지에서 바다가 다가오는 것을 보고, '바다와 함께 춤을' 와 '파라다이스' 에서는 배 인간과 물 속 인간이 나오고, '해저도시 배달부', '해저도시 타코야키' 에서는 돔으로 만든 해저도시가 나온다. '산호 트리'는 바다 인간이 나온다. 


바다 풍경에 대한 묘사와 바다에 가라앉은 인간의 쓰레기들을 묘사한 것은 허무하고 좋았다. 


"어른들은 바다를 두려워했다.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면서 빙하라는 커다란 얼음 덩어리가 순식간에 녹아서 어떠한 대비도 못 한 채 대부분의 땅이 물에 잠겼다고 했다. 해일에 풍화되어 남은 땅들마저 깎여 나갔고 육지 자체가 자취를 감췄다고 했다." (65) 


기후 위기로 빙하가 녹고, 지구 시계가 50년, 30년, 째깍째깍 하더라도 30년 후에 다 죽는 종말이 아니라 거기까지 가는 동안 점점 힘들고 괴로워지는거라고 얘기했는데, 그 점점 힘들어지는 것이 거의 순식간과 같을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니 무섭다. 화재가 제일 무서운 재해였는데, 해수면이 높아져서 육지가 잠기는 것도 진심으로 무서워졌다. 


" 우리의 최대 수명은 3년이다. 하는 일이라고는 자석을 잡고 돔 외벽을 닦는 것뿐이라 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도 없고, 배급되는 식량이 똑같으니 음식을 나눠 먹을 일도 없고, 그렇다고 생식기관이 있어서 번식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청소부의 탄생 목적은 오로지 돔 벽 청소뿐이다. 


이럴 거면 로봇을 만드는 게 낫지 않았나 싶지만, 해저도시에서는 전기가 매우 귀하다. 로봇을 충전하는 것보다 인간을 인공양하는 게 훨씬 더 싸게 먹힌다. 식량도 조금만 먹고 사고도 일으키지 않으며 평생 청소만 하다가 다시 다음 인공 인간의 재료가 되기 위해 제발로 공장으로 돌아가니 완벽한 에너지 순환 시스템인 것이다. 돔 중심부의 진짜 인간들은 얼마나 편할까."  (186)    


이거 디스토피아 아니라, 좀 비튼 현실 아닌가. 로봇이 인간의 일을 빼앗는 걸 우려하는 다음 단계는 그 로봇 부리는 것도 아까우니 인간 주 69시간씩 일시켜서 일 외에는 아무것도 못하게 하기. 그렇게 부려먹을 인간들은 계속 만들어야 하니 사람을 노동할 사람 만드는 도구로 생각하는 정책들만 뽑아냄. 못되고 머리도 없는 놈들, 두 개가 다 되겠냐. 


책 말미에 심완선 평론가의 해설이 나온다. 마거릿 애트우드의 '유스토피아 (ustopia)' 개념을 설명한다. 마거릿 애트우드는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의 필연적인 연관을 이야기하며 유스토피아의 개념을 제시했다고 한다. 인류가 이룬 대부분의 문명과 인류의 대부분이 멸망한 디스토피아와 물 속에서 자연에 순응하며 사는 신인류의 탄생인 유토피아가 '바다' 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해설에서는 유전자 조작으로 형성된다고 함.)


책 뒷면에 

"우리는 멸망과 죽음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지만, 그래도 웃는 날이 더 많을 거라 믿었다." 

물에 잠긴 지구에서 춤추고 사랑하는 존재들의 해피엔딩  


이라고 써 있는데, 대단하다. 나는 내가 초긍정형이라 긍정이 병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의 감상이 위와 같다니. 나는 아직 멀었다. 긍정성도 인간혐오도 부족했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