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본스
애나 번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창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나 번스라는 장르를 만들어야 한다. 별 다섯개 중 여섯개. 어느 해 1월 첫 날 '밀크맨'을 읽고, 정말 너무 좋아서, 올해의 책이다. 냅다 질렀던 기억이 있다. '밀크맨'이 만들어지기 전 애나 번스의 데뷔작 '노 본스' 를 읽었다. '밀크맨'을 좋아했던 많은 독자들의 평은 엇갈린다. 매 챕터 읽으면서 이게 뭐야? 뭐라고? 맙소사! 정말?! 의 연속이다. 끝도 없이, 마지막 페이지를 넘길때까지. 구병모 작가는 이 책이 "살과 피와 뼈를 지닌 언어가 멱살을 잡고 흔든다." 고 평했다. 전혀 과장이 아니다.  


60년대에서 90년대까지 벨파스트 협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아일랜드에서 북아일랜드 지역 분쟁시기를 '트러블 The Troubles' 라고 부른다. 이 시기 그 중심지역에서 태어나 자란 가족과 마을의 이야기이다. 


그리 먼 과거가 아니다. 폭력의 광기에 점령당한 마을에서 여자아이가 시체더미를 넘어 살아남는 이야기이다. 사람의 이성이라는 것, 문화와 민주주의, '국가' 라는 것이 얼마나 무너지기 쉬운지 읽는 내내 섬뜩하다. 짐승같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숨죽이고 살아남기에 급급한데, 한편으로는 또 안전감이 무너져서 그런 환경에서도, 아니, 그런 환경이라서일까, 먹고, 마시고, 논다. 살아남는 법, 싸우는 법, 도망가는 법, 무시하는 법들을 몸과 마음으로 체득하며 살아간다.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고, 내일은 없는 것처럼 들이받는 사람들이 있고, 어떻게 살든 죽는 사람들이 있다. 


엄청난 텐션을 유지하며 끝까지 읽는데, 마지막이 어이없게 안심된다. 밀크맨도 그랬던듯. 이 이야기가 이렇게 끝난다고? 안심되고, 좀 귀엽기까지 하게. 그게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다. 


책 덮자마자 얼른 밀크맨 다시 읽어야지 찾아두었다. 그리고 또 노 본스 다시 읽어야지. 


이 책을 읽는 중에 '감옥으로부터의 소영'을 읽었다. 더 트러블과 비슷한 시기 한국에서 씨받이의 딸로 태어나 노동운동했던 '소영'의 이야기이다. 안기부에 끌려가 고문 당하고, 감옥에 들어가고. 이렇게 가까운 곳에 '폭력'과 '무질서'와 '부조리'가 있다. 불평할 수 있는 일상이 언제라도 와르르 무너질 수 있다는 생각이 또 들었다. 


애나 번스는 1962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났다. 그녀가 보고 겪은 것들을 '노 본스'와 '밀크맨'으로 녹여냈다. 주요 배경인 아도인은 저자가 실제 자고 나란 동네이다. 부커상 수상 당시 소감에서 "나는 폭력과 불신, 피해망상이 만연하고 사람들은 가능한 최대로 스스로 알아서 생존해야 하는 곳에서 성장했다." 고 말했다. 각자도생이라는 말이 점점 더 무겁게 느껴지는 요즘이지만, 책은 어둡고 무겁기만 한 것은 아니다. 아니, 밝은 부분을 찾기는 힘들고, 블랙 유머라는 평에 어디가 웃긴가 싶긴 하지만, 현실감이 없을 정도의 폭력을 묘사하는 작가의 글이, 작가의 힘이 이 이야기가 밑으로 가라앉지 않게 위로 띄우는 것이 아닌가 싶다.   


멀지 않은 과거와, 현실과, 앞으로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