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밤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이지만, 밝은 밤. 

어두운 밤에도 밝은 밤에도. 

지지 않고. 함께. 


백정의 딸인 증조할머니는 궁금한 것이 많은 사람이었다. 따돌림을 당하고, 경멸에 찬 시선을 받으면서도 꿋꿋이 역사에 나가서 옥수수를 팔았다. 일본군이 여자아이들을 데려가는 것을 보고, 아픈 어미를 두고, 개성에 가자는 증조부의 손을 잡는다. 어미를 돌봐주겠다는 새비 아저씨에게 평생 잘할 것을 다짐한다. 


지연은 바람난 남편과 이혼하고, 희령의 연구소로 전근한다. 어설픈 가족도 가족이라고, 혼자의 삶을 상상하지 못했던 그는 몸도 마음도 닳을대로 닳아 생각을 끄고 움직인다. 희령은 어릴적 자신을 좋아하는 할머니와의 기억이 남아 있는 곳이다. 그 이후 엄마는 할머니와 절연해서 어릴적 기억이 할머니와의 유일한 기억이다. 바람난 주제에 뻔뻔한 남편을 엄마는 가여이 여긴다. 


너는 걱정 안되는데, 사위 불쌍해서 어쩌니. 자살이라도 하면 니가 책임질거야? 마음에 못을 박는다. 

사람들은 남자에 쉽게 공감한다. 딸의 부당함일지라도, 사위에게 이입한다. 


고조할머니, 증조할머니, 할머니, 엄마, 지연에 이르기까지, 이기적이고, 아내를, 딸을 자신의 소유물로, 노비로 취급하는 남편과 아버지만 있다. 각기 다른 세대인데, 어찌나 비슷한지, 아버지에게 "그냥 가서 죽으세요" 라고 했던 여자가 누구였더라. 할머니였던가. 좋은 남자가 있는데, 새비 아재라고. 아내에게, 딸에게 그렇게 할 수 있는 남자가 있다는 걸 알면서 아비에게 도망쳐 아비 같은 남편에게 가서 자신을 죽인다. 마지막 순간에 짓밟히지 않고 뛰쳐 나간다. 엄마는 멕시코 여행을 다녀오고, 지연은 이혼을 한다. 


갑갑한 엄마 이야기를 보면서 차단이다. 차단이야. 혀를 끌끌 차다가 할머니가 등장하며 마음이 녹는다. 서로가 어색하고, 서로에게 거리감을 느끼지만, 할머니와 증조할머니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조금씩 끈끈해진다. 새비 아주머니가 증조 할머니에게 보낸 편지를 읽으면서, 증조할머니와 새비 아주머니가 서로를 살린 이야기를 듣는 것이 정말 좋았다. 그 여자들이 함께 하지 못하고, 이기적인 남자들에게 자신을 의탁하여, 자신을 죽이고, 죽도록 일하며, 대우 받지 못했다는 것이 읽는 내내 화가 났다. 세대를 건너 계속 반복되는데, 그게 흐려지고 있긴 한건지, 모양만 바꾸는건지 모르겠다. 


밝은 밤이라는 거. 뭘까. 밤이 지나면, 아침이 온다.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밤이지만, 밝게 만들어주는 존재를 말하는 것일까? 

지연의 할머니가 잘 살고 있어서 좋았다. 희자가 박사가 되어 다큐멘타리에 나올 정도로 잘 살고 있는 것도 좋았지만, 영옥이 지금 잘 살고 있는 것도 좋았다. 

 

나는 희령을 여름 냄새로 기억한다. 사찰에서 나던 향 냄새, 계곡의 이끼 냄새와 물 냄새, 숲 냄새, 항구를 걸어가며 맡았던 바다 냄새, 비가 내리던 날 공기 중에 퍼지던 냄새와 시장 골목에서 나던 과일이 썩어가는 냄새, 소나기가 지나간 뒤 한의원에서 약을 달이던 냄새…. 내게 희령은 언제나 여름으로 기억되는 도시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7-18 17:4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