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그거 봤어? - TV 속 여자들 다시 보기
이자연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전부터 '어제 그거 봤어?' 로 시작하는 전날의 드라마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았는데, 이자연의 <어제 그거 봤어?>를 읽고나니 내가 왜 좋아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그 중에서도 아주 가끔 좋아하는 것들은 어떤 것들이었는지 떠올려볼 수 있었다. TV 수신료 안 내고 산 지 십 수년이지만, 이슈 되는 것들만 한 번씩 OTT 서비스로 찾아 본다. 이 책은 이런 나도, 재미있는 드라마나 쇼들 찾아 보는 사람도 모두 의미있게, 재미도 있게 읽어볼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미디어가 보여주는대로만 보지 않고, 미디어를 보는 시각을 길러주는 책으로 꼭 필요한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주인공이었던, 혹은 스쳐지나갔던 많은 여성캐릭터들에 다시금 포커스를 맞추어 볼 수 있었다. 책도 그렇지만, 영상도 그렇다. 지금까지 남성이 주인공인 이야기들만 잔뜩 봤어서 여성이 주인공인 이야기들을 본다는 것이 정말 짜릿하고 신선하다. 지금까지 봐 온 남성이 메인이었던 그 많은 이야기들과 균형을 맞추려면, 아주 오래, 아주 많이 내가 좋아하고, 아끼고, 응원하는 여자들의 이야기를 읽고 봐야 할 것이다. 


여성서사라는 말이 마케팅으로 쓰이면서 좀 닳긴 했지만, 여기 제대로 된 여성서사 안경을 빌려주는 이야기들이 있다. 그리고, 한 번 보이게 된 것을 우리는 계속 보게 되고, 그 외연을 넓혀나갈 수 있다. 


하이킥 시리즈에 나온 여성의 '책상의 부재'는 인터넷에 많이 회자된 이야기라 아는 사람들 많을 것이다. 


"일기 쓰는 서민정, 노트북으로 인터넷 검색을 자주 하는 이현경, 공부하는 황정음과 백진희. 이들은 무언가를 공부하거나 읽고 쓸 때 책상이 없어 화장대에 앉아야 했다. 남성 인물의 생활 환경을 비교해 보면 문제점은 더욱 극명해진다. 공부와 담쌓은 이윤호에게도, 다락방 신세인 이민용에게도, 조연인 강세호에게도 모두 책상이 있다. 공부 안 하는 정준혁과 안종석도, 백수인 이준하도, 똑똑한 이민호와 윤계상도 모두 무언가를 하기 위해 책상 앞으로 향했다. 모든 시즌을 통틀어 공간의 크기와 열악함, 연령대, 주조연, 지적 수준, 성격을 막론하고 남성 인물은 전부 자신의 일에 바로 몰입할 수 있는 책상 하나쯤은 갖고 있었다." 


시즌 2와 3에서도 황정음이 공부에 매진할 때 결연한 다짐이 이뤄진 장소는 화장대, N포세대의 상징인 백진희가 악에 받쳐 공부할 때도 화장대 앞으로 갔고, 국어 선생이고 편지와 일기 쓰기를 퍽 좋아하는 하선마저 책상 하나 없었다고 한다. 


학생 신분인 정해리와 김지원에게는 화장대가 아닌 책상이 주어졌지만, 학생이어도 책상을 가질 수 없는 이들이 있었고, 학생이 아니라고 책상이 필요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아파트의 일률적인 모양처럼, 집안의 가구 또한 비슷하기 마련인데, 식탁, 화장대, 책상, 작업대 등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주어지는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남자의 공간에는 책상과 서재, 여자의 공간에는 집이 크건 작건, 방이 하나건 두 개건 화장대라는 것을 꾸준히 미디어가 보여주는대로 보고 살았다. 


은근히, 또는 대놓고, 혹은 언젠가 유출되어 많은 이들을 기함하게 했던 '무해한 음모'처럼 대중에게 사랑받는 연예인이 나오는 환상 가득한 클리쉐들에 노출되어 왔다. 여자들은 남자 저자들의 책도 많이 읽는데, 남자들은 여자 저자들의 책을 거의 읽지 않는다는 가디언지의 기사를 읽었다. 반대 성에 대한 공감과도 관련 있다고 생각한다. 


"나영석 PD는 방송계 남성중심문화를 선도하기로 유명하다. KBS <1박2일>을 시작으로 tvN <꽃보다 할배>와 <꽃보다 청춘>, <알쓸신잡>에서 대부분 남성 출연자를 기용했고, 화룔정점으로 <신서유기> 시리즈에서는 각종 범죄에 연루된 연예인들을 자체 용서하고 복귀시키는 데 힘썼다. <꽃보다 누나>가 있지 않냐고? 제작 공동인터뷰에서 "여배우가 다른 남성 출연진들보다 5,000배 예민"하다고 유난이었던 게 누구더라. " (148)


예능 보기 힘들어진지 오래지만, 예능붐을 이뤄왔던 스타PD들의 남성중심 예능이 예능을 멀리하게 된 기점이었던 것 같다. 그게 다인줄 알았는데, 요즘은 볼만한 예능, 마음 편한 예능들이 꽤 늘어났다. 이 책에도 나오는 '삼시세끼 산촌편' 도 그 중 하나이다. 여자들끼리 있으니 일이 착착 돌아가고 보기에 그렇게 편할 수가 없더라. '노는 여자들'이나 '퀸덤', '골 때리는 여자들'도 민경 장사가 나오는 '운동뚱'도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이 책을 읽고 '신입사관 구해령'을 찾아봐야겠다 싶고, '빈센조'의 최명희 서사만 모아둔 유튜브를 봤다. '스타트업'을 보게 된다면 인재를 더 유심히 보게 될 것 같다. 


" OTT 오리지널과 다양한 TV 프로그램 사이에서 누군가 여성들을 폄훼한다면, 나는 그걸 제지하는 1인으로서 기능하고 싶다. 다음 세대의 여성들을 위해 기꺼이 딴지를 걸며 화면 조정을 이뤄내고자 한다." 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은 그걸 제지하는 1인을 늘려가는 좋은 시작이 될 것이다. 그리고, 다음 세대의 여성들을 위해서만 아니라, 지금 나를 위해서도 나는 계속 딴지를 걸 것이다.  

<런 온>의 인물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성실하게 일하며 괴로워하고 또 성취한다. 일이 반드시 자아실현을 이뤄주는 건 아니지만, 일로써 진짜 나를 감각하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 P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