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작가의 전작을 읽어야지. 시작하고 조금씩 모아두었다. 

신간이 있어서 먼저 읽고, 슈퍼바이백으로 팔려고 보는데, 읽을수록 이 사람 싫어진다. 

내가 참을성 없어졌다는 것이 이 부분인데, 이걸 깨닫고 나서는 그러지 말아야지 노력하는 중이다. 


한 사람의 어떤 생각이나 발언이 그 사람 전체를 대변하지 않고, 세상의 어떤 사람도 내 입맛대로일 수 없으며, 내 입맛이면 그게 이상한거지. 사람은 복합적이고, 복잡한 존재이다. 나도 그렇고, 모두 그렇다. '어떻게 그럴 수 있어' 라는 생각도 말도 의식적으로 안 하려고 하고 있다. 정말 싫은 인간들 (범죄자들) 도 마찬가지다.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무쓸모인 일이고, 그냥 존재 그대로 보려고. 이 생각은 지금 계속 굴리고 다듬는 중이긴한데, 여기까지 왔다. 


근래 에세이를 많이 읽고 있다.  에세이는 저자를 가장 가깝게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내가 사람을 이렇게 좋아했나 싶게, 너무 재미있게 읽고 있다. (책의 모양을 한 사람을 좋아하는 거지만, 이 정도가 어디야) 커피 두 세잔 마실 돈으로 (사실, 커피는 집에서만 마셔서 나에게는 크게 와닿지 않는 비유지만) 한 사람을 (책으로 ) 만나서 두 시간 이상 그가 고민하고 퇴고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는 건 정말 남는 장사라고 생각한다. (사람 만나는데 장사 비유도 좀 적절치 않지만) 


다시 박완서로 돌아와서 

남들 다 좋다는데, 박완서 왜 싫지. 사람이 좀 못됐네. 거지한테 적선을 안하면 안하는거지, 불쌍해 죽겠다고 구구절절 명문으로 써 놓고, 거지 뒤의 왕초거지 어쩌구 하면서 그냥 지나치고, 나중에 생각나 마음 아프단 얘기. 그 불쌍하다는 거지를 글감으로만 쓰고 있네. 박완서가 자신의 아들과 딸에 대해 말한 끔찍한 이야기를 알고 있다. 알고만 있었는데, 책 읽다보니 언뜻언뜻 비추이는 것이 얼마전 제 딸 죽인 제 사랑하는 아들 제발 구해주세요. 하는 부모 생각 나기도 하고. 책 읽으면서 계속 기분이 쎄해지고 있었다. 


한 번도 생각해본적 없었는데, 그 옛날의 한남 작가가 있다면, 그 옛날의 한녀 작가도 있었던 것일까. (요즘의 한녀문학과는 다른, 한남 2 같은) 안돼. 그럼 나는 뭐 읽으란 말이냐. 한남 문학도 안 읽고, 한남문학 2인 한녀 문학도 안 읽고, 아예 문학을 읽지 말까. 혼자서 절규하다가 아님. 난 그냥 정말 못 참고 꼴도 보기 싫은거 말고는 다 읽어. 읽고, 느끼고, 배우면 된다. 좋은것만 쏙쏙 뽑아 가질거다. 


그렇게 속으로 와글와글 하면서 계속 책장을 넘기다가 또 생각났다. 누가 박완서 작가에 대해 한 말. 자신에 대한 객관화가 잘 되어 있는 작가라고, 그런 비슷한 말을 봤던 것 같은데. 읽다보니, 그게 뭔지 알 것 같다. 


글을 쓰는 사람은 그 글이 SNS 짧글이건 긴 글이건 책이건 자기검열을 하게 되고, 위선이든, 위악이든 보이게 되고. 글을 쓰지 않더라도 자기를 메타인지로 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근데, 박완서 작가는 자신의 추한 마음을 다 끌어내고, 그것을 비판한다. 그런 패턴이 계속 반복된다. 자신 안의 추한 마음을 끌어내어 보여주는 사람들은 많지만, 박완서 작가의 그것은 위선과도 위악과도 멀어보여, 내가 이렇게 맘 놓고 싫어하다가 이해가 되는 것 같기도 하다가 그런거겠지. 아니면, 그냥 내가 박완서 작가 좋아하려고 애써서 그러는지도 모르겠다. 아들보다 딸이 죽었으면 덜 고통스러웠을 것 같다고 글로 써서 내는 작가에 대해 마음을 확 열기는 쉽지 않을 것 같고. 


굳이 좋아하거나 싫어한다고 정할 필요는 없지 않나. 정도로 정리한다. 


아침에 일어나 읽은 이 글이 좋았다. 


" 왕성하게 자라는 담이나 나무 밑의 풀섶을 뽑아주고, 머위나 들깨처럼 저절로 자라는 것들도 웃자라지 못하게 솎아내는 일을 열심히 한다. 그 일은 내 반나절의 노동으로 삼기에 족한 분량이다. 더 일하고 싶으면 가위로 잔디를 깎아주기도 한다. 새벽의 잔디를 깎고 있으면 기막히게 싱그러운 풀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이건 향기가 아니다. 대기에 인간의 숨결이 섞이기 전, 아니면 미처 미치지 못한 그 오지의 순결한 냄새다. 그러나 손가락에 물집이 잡히는 것도 모르고 오래도록 잔디에 가위질을 하는 것은 풀 냄새 때문ㅇ만은 아니다. 유년의 뜰을 떠난 후 도시에서 보낸, 유년기의 열 곱은 되는 몇십 년 동안에 맛본 인생의 단맛과 쓴맛, 내 몸으 ㄹ스쳐간 일이라고는 믿어지지 않게 격렬했던 애증과 애환, 허방과 나락, 행운과 기적, 이런 내 인생의 명장면(?)에 반복해서 몰입하다 보면 그렇게 시간이 가버린다. 


70년은 끔찍하게 긴 세월이다. 그러나 건져 올릴 수 있는 장면이 고작 반나절 동안에 대여섯 번도 더 연속 상연하고도 시간이 남아도는 분량밖에 안 되다니. 눈물이 날 것 같은 허망감을 시냇물 소리가 다독거려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