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에는 김성우 교수의 '단단한 영어공부'를 다 읽었다. 

영어공부의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생각해보게 해주는 책이었다. 책의 앞부분에 외국어 읽기의 바이블 같은 크라센의 '읽기 혁명'에 대한 분석과 현재 추가된 연구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좋았다. 김성우 교수의 책 중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도 좋다. 읽기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주는 저자로 다음 책도 기대된다.


  


















김성우 교수는 응용언어학자이다. 언어학이 말 자체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면, 응용언어학은 "말과 인간이 만나는 지점"에 관심을 둔다. 영어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응용언어학을 공부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자의 이야기로 접할 수 있어 좋았다. 


생각해볼거리가 아주 많지만, 그 중에 흥미로웠던 필사와 미드 보기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필사를 하면 영작문 실력이 늘까요?"에 대한 답변이다. 


필사는 COPYING이고, 작문은 WRITING으로 다른 과정이다. 

필사는 '읽는 행위'에 더 가깝다. 


"필사를 하는 동안에는 생각보다 많은 일들이 벌어집니다. 

베끼기 위해서는 읽어야, 그것도 꼼꼼히 읽어야 합니다.

눈으로 읽고, 머릿속에 잠깐 담고, 손을 움직여 쓰는 일을 계속해서 반복해야 합니다. " 


필사 = (짧은 구절 읽기 + 머리에 담기 + 펜으로 쓰기) X 반복 


"필사 과정에서의 읽기는 평상시의 읽기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 어떤 요소도 빠짐없이 꼼꼼히 읽어 내야 하지요. 문장부호, 개별 단어, 문법 세 가지 영역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필사는 문장부호에 주목하게 합니다. 

둘째, 필사는 개별 단어에 주목하게 합니다. 

셋째, 필사는 다양한 문법 요소에 주목하게 합니다. 

필사는 텍스트를 꼼꼼하게 읽게 함으로써 단어와 구두점, 나아가 문법 요소 하나하나를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평소에는 잘 보지 않던 요소들도 다시 한 번 보게 되죠. 이런 면에서 필사는 작문 실력 향상에 일정 정도 도움이 됩니다." 


필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거기서 얻을 수 있는 것은 각기 다르겠지만, 공통적인 것은 "꼼꼼히 읽기" 라고 생각한다. 덧붙이면, 아주 짧은 시간, 읽고, 외우고, 손으로 기억하는 일을 반복하는 것이다.


필사에서도 섀도잉에서도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몸의 기억이다. 

반복 연습으로 뉴런과 뉴런사이에 길을 내듯, 몸의 근육이 기억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섀도잉을 하면서 특히 더 느끼는데, 아는 단어들임에도 발음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 버벅거리고 멈추게 된다. 

administration 이란 단어를 눈으로 보는데 익숙하다고 하더라도, 이 단어를 입밖으로 내어보고, 손으로 써보며 말하는데 쓰이는 근육과 글 쓰는데 쓰는 손에 기억시켜야 한다. 그래야 자연스럽게 이 단어를 이용해서 문장을 쓰고, 말할 수 있다. 


타이핑 연습하는걸 구경하고, 옆에서 해보면서 더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는 영타로 WPM이 보통 7-80 정도 나온다. 

영어 문장을 썼을 때 그렇게 나오고, 연습하기 위해 d t d t d t ; d t ; d t ; 뭐 이런 의미 없는 철자들이 나열된 것을 타이핑하면, WPM이 5-60 정도로 떨어지고, 신경 쓰며 타이핑하게 된다. 손가락 근육이 기억하는 단어의 경우, 모니터를 읽으면서 자동으로 손가락이 기억하는 단어와 더 나아가서 문장을 완성하는데, 의미 없는 철자의 경우에는 그 기억이 없으므로 한글자 한글자 생각하면서 타이핑을 해야 해서 그렇다. 처음 타이핑 연습하는 아이들을 보니, 손가락이 단어와 문장을 기억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의미없는 알파벳 타이핑이 문장 타이핑보다 더 빠르다. 


그렇게 몸의 기억으로 자동으로 나오게 하는 연습이 필사이고, 섀도잉이라고 생각한다.


필사나 섀도잉에서 효용을 얻는 일, 어떤 마음과 목표로 트레이닝을 하느냐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천차만별이지만, 

몸의 기억은 어쨌든 꾸준히 반복하면 누구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려면, 


"무조건 문장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이입함으로써 더 깊은 이해를 추구해야 합니다. 앵무새가 아니라 배우가 되어야 합니다." 


이걸 해 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사하거나 섀도잉하면서, 내가 쓴다면, 말한다면, 생각하고 이입해서 쓰고, 읽는 것이다. 내가 쓰는 것처럼, 내가 말하는 것처럼 생각하고 하면, 더 적극적으로 되고, 더 몰입해서 외우면서 쓰고, 말하게 된다.수동적 학습에서 적극적 학습이 된다. 


드라마 영어학습법에 대한 이야기도 좋았다. 

여기서도 이야기하는 것이 단순히 듣고 따라 말하는 연습이 아니라 '되어 보는 becoming' 연습을 하라고 한다. 


그리고, 또 하나 '모국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외국어 학습에서 외국어 인풋의 중요성은 누누이 강조되지만, 모국어 배경지식의 중요성은 좀처럼 언급되지 않는 듯합니다. 이에 대해 두 가지 사실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첫째, 우리가 읽거나 들을 때 외국어는 홀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 지식의 기반 위에서 돌아갑니다. 따라서 외국어로 된 자료를 이해하려면 외국어 실력과 함께 여러 분야의 지식을 갖추어야만 합니다. 어떤 언어를 공부하든 지식 습득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국인이라면 지식 대부분이 한국어로 그ㅜ성되어 있습니다. 평생 한국어로 경험을 쌓아왔으니까요. 그렇다면 외국어 학습에서 한국어를 방치할 이유가 없습니다. 오히려 한국어로 된 지식을 키워 가며 이를 외국어 능력과 통합하려는 자세와 전략이 필요합니다. 


두번째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말하기나 쓰기 또한 영어 능력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역시 모국어 밑천이 중요합니다." 


이 책에서 내가 그동안 영어에 대해 고민하던 것에 대한 많은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는데, 상향식 학습법과 하향식 학습법도 그 중 하나다. 


영어를 잘하고 싶다는 것이 무엇을 잘하고 싶은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 그 자체가 목적으로 문법을 완전히 습득하고, 문장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싶은 건가, 아니면 영어를 수단으로 해서 영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얻고 싶은 것인지. 대부분 후자라고 하겠지만, 전자처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말이다. 영어책'만' 읽으면 안되고, 모국어 책, 모국어 밑천을 많이 챙겨둬야 한다. 


당연한 이야기를 왜 하냐면, 영어 공부하는 사람들이 책 읽는 사람보다 훨씬 많은 것 같아서. 

책을 읽어야 영어를 더 잘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