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번째 달 일곱 번째 밤 - 아시아 설화 SF
켄 리우 외 지음, 박산호 외 옮김 / 알마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시아 설황, 제주설화와 SF의 만남으로 기대 이상이었던 작품집이다.

견우 직녀의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따 온 켄 리우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마침 7월 7일에 이 책을 읽고 있었어서 더 기억에 남는다. 10대 레즈비언 커플들 중 한 명이 미국으로 유학가게 되어서 칠월칠석에 긴 헤어짐을 앞두고 있다. 거리가 멀어지고, 아무도 없는 곳에서 이제 정말 열심히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이별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한 명은 긴 거리 연애도 가능하다, 어떻게 헤어지냐고 생각하고 있다. 이렇게 각자 마음 아파하는 두 커플은 오작교를 만들려고 올라가는 까치들에 휩쓸려 하늘로 올라가 견우와 직녀의 만남을 보게 된다. 그렇게 롱디의 아이콘인 견우직녀에게 연애 조언을 받게 되고.. 


두번째 단편인 왕관유의 '새해 이야기'는 새해에 대한 이야기이다. 새해라는 전설의 동물은 빨간 것과 불을 무서워하고, 인간의 공포를 먹고 산다. 인간들이 새해를 쫓아내고, 망한 현실을 버리고, 모두 가상 세계에만 빠져 있던 미래의 어느 시점에 새해를 무서워하지 않는 존재가 새해를 깨워내서 부탁한다. 


홍지운의 '아흔 아홉의 야수가 죽으면'은 아흔아홉 골 설화에서 모티브를 따온다. 박력 있고, 아련하며, 위트 있다. 옛 설화의 야수와 미래의 헌터, SF 적인 요소들이 잘 버무려져 있고, 여운도 길다. 


요즘 좋아하는 작가인 남유하의 작품을 보게 되어 기뻤다. 설문대할망 설화를 모티브로 한 '거인 소녀' 는 가슴이 웅장해지는 이야기이다. 남유하 작가 다이웰 주식회사에서도, 그리고, 이 작품 '거인 소녀'에서도 엄마와 딸 이야기가 묘하게 까슬하게 나오는데,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 의 발문에서 강지희 평론가가 이야기했던 한국 소설의 모녀 관계에 대한 글 읽고 나니, 계속 사례로 모으게 된다. 


이 작품집 읽고, 제주설화 관심가게 되서 제주설화 책도 주문했는데, 남유하 작가의 후기가 흥미롭다. 


"제주도 설화에는 거인이 많이 등장합니다. 재미있는 점은 그 거인들이 할머니, 할망이라는 것입니다. 제주도를 만든 설문대할망, 바다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풍요를 가져다주는 영등할망. 저는 두 할망이 몹시 마음에 들었고 이 이야기를 모티브로 소설을 써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설화에서 나타난 두 할망에게는 세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거인이라는 점, 인간을 사랑한다는 점, 그리고 그들의 사랑이 보답을 받지 못했다는 점. (..) 거인 할망. 힘을 가진 여성이 왜 이토록 외면받거나 끔찍한 죽음을 맞이해야 했을까? 이 이야기는 이러한 의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너무 커져 버렸기 때문에 사회에서 배척당하는 소녀들. 다르다는 이유로 세상에서 고립된 아이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습니다. 부디 소녀들이 그들만의 섬, 이어도를 찾을 수 있기를." 


진짜 너무 좋다!! 


다음 작품은 남세오의 서복 설화에서 모티브를 딴 서복이 지나간 우주에서.

불안정한 탐라라는 행성에 살면서 우주로 잠수하는 이야기. 바다에 뛰어드는 해녀 대신 우주에 뛰어드는 잠수의 이야기를 썼는데, 멋지다. 작가들 대단해. 


그 다음은 후지이 다이요의 아마미섬 설화 


곽재식의 한라산 우인은 곽재식이 곽재식했네의 느낌. 


이영인의 용두암 설화에서 온 '불모의 고향'은 이 작품집에서 제일 좋아하는 단편이다. 제주의 기류, 해류, 용류와 인류의 탄생에 대해 하필이면 탐라섬에 정착해서 악착같이 살아가는 초기 인류에 대해 그리고, 섬을 만들어 별을 관찰하고, 용류와 해류와 기류를 타고 노는 신과 같은 존재의 가문에 대해 나오는데, 여전히 미친 바람과 자연에 둘러쌓인 제주섬에 살다보니, 이 이야기가 정말 벅차게 와닿았다. 


윤여경의 원천강 오늘이 설화를 소재로 한 소셜무당지수도 좋았다. 오늘이 매일이 장상이, 고양이 로투스 (연꽃) 무당, SNS, 유튜브에서 성공해서 부자되기, 등등 블랙코미디 같으면서도 설화 모티브가 잘 드러났다고 생각된다. 


이 단편집의 단편들은 너무 좋거나 좋거나였는데, 마지막 단편에서 한숨난다. 


이경희의 산신과 마마신 


산신, 마고신, 마마신이 나오는데, 설화를 소비하는 방식이 저급하다. 

나쁜 왕이 있어서 산신과 마고신이 나쁜 왕에 맞설 아이를 낳는다. 그 아이가 마마신이다. 


나는 요즘 픽션의 윤리에 대해서 종종 생각하는데, 이 작품 보고도 또 생각했다. 

재미도 없고, 설화 모티브 작품인데 설화가 후져졌고, 이야기도 결말까지 별로고, 별 생각 없이 지나가는 장면들이 별 생각 없이 안 지나가진다. 


산신과 마고신이 별상을 강하게 만들어 성주에게 대적하게 하기 위해 하는 것은 괴롭힘이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시켜 왕따 시키고, 옥상으로 불러 폭력을 가하게 한다. 배 걷어 차고, 연초빵 하고 막 그런 장면 나와. 

별상은 자기를 낳아준 마고에게 사랑을 느끼고, 발기하고, 그걸 알게 된 마고에게 따귀 맞고 쫓겨남. 이 때 별상은 열다섯살의 몸을 가진 다섯살 아이였다. 마고의 반응으로 장면을 더럽게 만듬. 산신과 마고가 질척하게 자기 위해 울고불고 난리 난 별상을 매몰차게 내침. 별상이 성주를 만나게 되었을 때 성주는 여자들 잔뜩 끼고 있고, 가슴을 주무르고, 별상에게 여자를 대주고 이런 장면들이 이야기에 필요한가? 


나는 장르 소설을 많이 읽었고, 예전 소설들도 많이 읽어, 예전보다는 많이 가리게 되었지만, 그래도 여혐이군 생각하고 넘어가는 편인데, 예전 소설도 아니고, 이제 쓰인 소설에 별 상관도 없어 보이게 저런 장면들이 들어가면 더이상 술술 읽히지 않는다. 


작가 후기 보면, 이야기에는 망할, 드러운, 죽어 마땅한 성주 얘기만 써 놓고, 성주가 별의 주인이라 멋있대. 참 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