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제국 상호의존성단 시리즈 1
존 스칼지 지음, 유소영 옮김 / 구픽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무너지는 제국이다.

 

제국이 무너지면서 시작하는 시리즈. 시리즈 마지막편 같은 느낌의 제목이다.  존 스칼지라는 이름만으로 재미보장 작가이고, 귀여운 이야기부터(작은 친구들의 행성), 심각한 이야기까지(신 엔진), 그리고 대표 시리즈 <노인의 전쟁> 시리즈도 어떤 톤을 타든 재미를 보장하는 작가이다. 좀 너무 재미 위주인건 아닌가 싶을 때 <신 엔진>을 읽었고, 정말 놀랐다.

 

이 시리즈의 시작 또한 너무 재미있는데, 유머나 스릴보다는 <신 엔진>이 많이 떠올랐다. 이전까지의 책들에 비해 굉장히 신선한 느낌을 주면서, 읽는 내내 계속 작은 불꽃 튀겼던 부분은 내가 너무 자연스레 '그'를 생각하는 부분에 '그녀' 라는 것.

 

대장도, 함장도, 후계자도, 왕도 브레인도, 다 여자다. 각양각색의 여자가 대빵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건 굉장히 신선한 경험일 것을 장담한다. 왜냐하면, 소설 꽤나 읽는 사람일수록 남자가 메인인 이야기들을 읽고 자라왔으니깐.

 

이렇게 흥미진진한 시리즈의 시작부터 (개인적으로 '노인의 전쟁'보다 더 흥미진진한 시작이다.)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사람이 다 여자라니, 다음 시리즈 벌써부터 너무 기대된다.

 

가장 심각한 이야기라 지하실에서 존 스칼지 쌍둥이 동생이 썼을 꺼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무거운 <신 엔진>이 생각난건, 이야기의 진행이 무겁지는 않지만, 제국이 무너지며 시작하는.. 그 시작이 너무 맘에 들어서이다.

 

'플로우' 라는 우주현상을 통해서만 각 성단의 인간들이 이동할 수 있는데, 각 성단은 그 자체로만은 생존할 수 없고,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다. 이 모든 플로우가 통하는 곳이 그 곳을 지배한 우가문의 황제가 있는 '허브'이고, 허브의 지배자가 상호의존성단의 황제이다. 그리고 상호의존성단의 끝에 유배자들이나 보내서 십년에 한번씩 반란이 일어나는 무법지대 같은 곳이 '엔드' 이고, 이야기는 '허브'와 '엔드'를 오가며 진행된다.

 

멋진 주인공들, 황제가 된 카르데니아, 라고스 가문의 키바, 클레어몬트 백작가의 브레나. 

 

이 책의 단점이라곤, 다음 시리즈를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다는 것 뿐이다.

존 스칼지가 이런식으로 영역을 넓혀가는 것이 아주 영리해보이고 좋다.

 

많은 SF 소설들이 철학적이고, 놀랍게도 페미니즘적인 경우가 많은데, 존 스칼지의 이번 책에서 제대로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