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 화가들의 반란, 민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 정병모 교수의 민화읽기 1
정병모 지음 / 다할미디어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화는 자유다.  

책은 이 말로 시작한다. 자유롭고 극히 자유로운 그림이라 말한다. 그런 것 같다. 내키는 대로 그린 것도 같다. 중고등학교 미술시간에는 서양화 위주라 우리 그림에 대해서는 잘 말하지 않지만, 그 마저도 선비들의 그림이라는 사군자가 어떤 것인지 얘기하느라 '민화'에 대해서는 많은 얘기를 못 들었다. 들은 건, 아마도 국사시간이었을지도 모르겠는데, 민화에는 누가 그림을 그렸는지 표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누구의 그림, 어느어느파라고 할 수 없고 그냥 다 끌어모아서 '민화'라 불렀다는 것이다. 

아마도 나는 그때 심각한 이분법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을텐데, 그 때문인지 수업을 들으며 민화는 궁에 발도 못 내밀겠거니 생각하게 되었다. 내가 역사에 대해 시청각자료로 삼을 수 있는 건 사극 드라마 뿐이었는데, 내가 보아온 궁에는 걸린 그림이 별로 없었다. 병풍이 있어도 알 수 없는 한자로 써내린 명문들로 되어 있었던 것만 같고.  

그런데, 아닌가 보다. 한석규가 세종으로 분한 '뿌리깊은 나무(SBS)'를 보면 왕의 방에 있는 병풍은 글씨가 아닌 그림으로 되어 있다. 그것도 매난국죽 이런 거 말고 '책거리병풍'이라 말하는 민화다. 이 책에서는 정조가 구상했다고 하는데, 드라마가 꼭 모든 진실을 말하고 있다고 믿으면 곤란하니까 그러려니 하자, 아무래도 책을 좋아하는 세종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한다. 하지만 이런 그림들이 궁 안에 여기저기 있던 것은 사실이었다. 때문에 충격을 받았다. 그랬구나. 이제야 알겠다란 말이 톡 튀어 나오는 순간이다. 도대체 학교를 다니면서 뭘 듣고 배우고 기억하고 있었는지 알 수 없어지는 상황이 된 것이다. 심지어 이런 그림을 김홍도 등의 이름 있는 사람들이 그렸다는 것도 충격이었다. 도대체 민화를 뭘로 알고 있었던 걸까. 백성들만 쓸 수 있었던 그림체? 역시, 자꾸 부숴나가야 한다. 고정관념이든 뭐든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것들을 다 깨부셔버려야 한다. 

그래서, 묻고 싶다. 자신의 그림에 직인을 찍지 않는 그 화가는, 화선지에 먹으로 도를 닦듯 그리지 않고 여러 색을 써서 신나게 그렸던 그 화가는, 반란이라고 생각했을까? 

역사라는 건 알수록 신기하다. 촛불 들고 광장에 나간 사람들의 삶이 제각각이듯, 우리의 조상들도 제각각의 삶을 살았을텐데 그걸 무시하고 똑같이 옷 입고 똑같이 가구를 들이고 똑같은 반찬을 먹고, 똑같은 그림을 그렸다고만 생각했었다. 그런데, '자유'한 걸로 치면, 이건 뭐 다양하기가 이를 데 없다.   

문자도'란 건 이번에 처음 알았는데, 새롭고 재미있었다. 우리가 손글씨라고 흔히 쓰는 '캘리그라피'란 말이 서양식 서예를 뜻한다는 걸 알게 된지 얼마 안 됐는데, 우리 조상님들은 이미 캘리그라피의 선구자셨고, 이에 글자 자체를 '가지고 노는' 상태에 이르셨던 거다. 
 

색도 대상도 구도도 크기도 재료도 마음도. 이렇게 자유로운 어른들의 후손인 우리도 분명 자유한 유전이 있을텐데, 너무 눌려살아서였을까 갑자기 급 안타까워진다. 그렇지만, 유전의 흔적을 보여주는 자유로운 영혼들이 속속들이 나타나고 있으니,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