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요약 세계문학전집 1
기하라 부이치 엮음, 한성례 옮김 / 이지북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고전을 읽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여건이 안될땐 이 책이 도움이 될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익숙한 것과의 결별
구본형 지음, 윤광준 사진 / 을유문화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40을 바라보는 나이에 '인문학'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다는 것 자체가 내가 그동안 어떻게 살아온 것인가라는 의문이 들 만큼 부끄러운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이 고맙다. 구본형님께 감사를 드린다.

"이렇게 살아야 한다."

그동안 나는 무엇인지도 모르는 지금까지의 인생에 대한 끝없는 탐구가 적어도 틀리지 않았음을 믿기로 했다. 그동안 나의 행동이 옳은 것인지, 그른 것인지에 대한 아무런 검증없이 살아왔지만, 그래도 나는 10년전에 쓰여진 구본형님의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통해 지금까지 내가 살아온 것이 때로는 우격다짐이고, 대화와 타협을 때로는 무시했을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가 믿는 것을 행했으며, 나의 이익을 위해 누군가에게 손해를 강요한 적이 없었음에 자부심을 느낀다.

'당연히 그렇게 살아가는 거 아냐?'

나는 이제 부끄럽지 않다. 나는 보다 더 나를 사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내 가족, 내 동료를 위해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확신을 얻었다.

모든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 자신이 지나온 길을 되돌아 보며, 앞으로의 인생의 방향을 조금은 수정할 수 있을 것이라 믿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에게서 구하라
구본형 지음 / 을유문화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웹 SI 프로젝트만 12년간 해 왔습니다.

아는 선배가운데는 WinForm을 해 보지 않으면 한계를 느끼게 된다는 말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는 친구가운데는 메뉴얼에 있는 내용을 말했을 때 3초 안에 답이 나오지 않으면 실력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각각 저는 '넓게 아는 것은 지식이고, 깊이 아는 것은 지혜인데 지혜의 깊이를 더하다 보니 지식에 때로는 소홀해 지는 나를 느낀다'와 '당신이 알고 있는 모든 것을 100이라 보고 질문을 했을 때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을 모르는 사람을 평가하는 방법이고, 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기준으로 몇점이나 받을지 궁금하다'는 말로 답변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기준으로 타인을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얼마전에 알게 되었습니다. '바보'라는 단어가 '통상 관념사전'에서는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모르고 있는 사람'이라고 표현하더군요. 너무도 정확한 표현이지만, 저는 이 말에 '아직'이라는 말을 붙이고 싶습니다.

모른다고 부끄러워하지 않고, 안다고 자랑스러워하지 않는 나를 만들어가려 노력하면 살려고 합니다. 앞으로는 쓰임을 받을 때는 열심히 일하고, 쓰임을 받지 않을 때는 역할에만 충실하겠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며 아파하지 않겠습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겠습니다. 할 수 없는 많은 것들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겠습니다. 명예를 지키며 살겠습니다. 나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어제의 나와 경쟁하겠습니다. 나를 사랑하고, 남을 돕겠습니다. 나 다운 모습으로 살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의 마음을 담아 구본형선생님의 다른 책 두권을 주문했습니다(마음을 참 이상하게도 담죠?). 말씀하시는 많은 것들을 익히겠습니다. 선생님이 뿌듯해 할 수 있을만한 사람이 되겠습니다. 적어도 끝없이 노력하겠습니다.

내가 믿고 원하는 모든 것을 행함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사람이 되도록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등대지기 황상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지개 원리 - 개정판
차동엽 지음 / 동이(위즈앤비즈)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인 차동엽신부님께는 정말 죄송한 평가입니다. 하지만, 저의 평가를 적는란 같으니 저의 생각을 적어봅니다.

저는 리더스다이제스트, 좋은생각, 인물과사상과 같은 월간지들을 정기구독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 책은 리더스다이제스트의 형식을 기반으로 좋은생각의 내용을 덧붙인 년말 종합판 수준의 책이라 평가됩니다.

좋은 얘기 다 모아놓으면, 좋은 책이 된다는 생각은 세상이 힘들때 힘이 되도록 하기 위함인듯 합니다. (직업이라고 해도 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저자의 직업이 직업인 만큼 대화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민을 털어놓는 신도들이라는 생각을 해 볼 때 저자는 평소 하던 이야기들을 나름의 이론으로 집대성 하였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느껴지는 것은 저자가 실질적인 그 상황에 놓여보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의 얘기만을 듣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있다는 느낌을 버릴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저자와 대화를 하면서 '옳습니다. 신부님 말씀이 옳습니다'라고 말하고 돌아선 많은 사람들 가운데, 대부분은 순간 옳다고 믿었던 것을 다음날 뒤집어 엎는 경우들이 많았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것이 사람사는 모습이니까요. 하지만, 저자는 본인 앞에서 옳다고 믿었던 사람이 그것을 행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에 노력하지 않으셨던 것 같습니다. 때때로 '신부님 말씀대로 했더니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며 다가오는 사람들의 이야기만 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저는 이 책을 좁은 시아로 인한 편협한 사고의 결과물이라 감히 말하고 싶습니다. 죄송합니다. 저의 도량이 부족해 타인의 도량을 볼 수준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정신과의사 김정일님이 쓴 '나는 다만 내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지 않을 뿐이다'라는 책과는 같은 얘기를 하고 있으면서도 상반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은, 책의 서문과 목차만 보고도 책의 모든 내용을 간파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의 표정만 보고도 사람의 고민을 해결할 방법을 알고 있다고 믿는 저자의 다소 위험할 수 있는 사고를 들어내고 있습니다.

그것이 마치 정답인것처럼 표현하고 있지만, 사실, 상대가 원해는 얘기만을 하고 있는듯합니다. '나는 단지 내가~'에서는 오히려 '싸워라. 그것이 내 정신건강에 좋다'인데, 신부라는 직업과 정신과 의사라는 직업이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건, 이 책은 제가 올 한 해 읽었던 책 가운데, 가장 가치없는 책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등급으로 분류된 책은 이문열의 '사색'이 있습니다. 이제 나이가 들었으니 '사색'을 다시 한번 읽어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살때 읽을 때 처럼 제 얼굴이 '사색'이 되어가는 일은 없겠지요.

신부님께 너무 지나친 표현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서평은 서평일 뿐입니다.


등대지기 황상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물 1 이외수 장편소설 컬렉션 6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에 대한 의견이 극단적으로 양분되는 지금까지의 독자서평은 충분한 토론의 여지를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한다.먼저 나는 이 글이 이외수님의 엄청난 실수라고 생각한다. 사실 타인의 글에 이름만을 빌려준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내가 과거(현재도 어느정도는 인정되는) 여류작가들의 글을 싫어하던 이유는 지나치게 서술적이고, 무던히도 그 상황을 설명해 보려고 하면서도 스스로의 부족함에 설명을 추가한 흔적들이 결국 3인칭 관찰자 시점이 서서히 작가 관찰자 시점으로 변형되는 듯하면서도 결국 그 상황이 설명되지 않는 어처구니 없는 대목들을 흔히 봐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욱 내 개인적인 정서에 맞지 않는 부분은 듣도보도 못한 단어('~니즘', 이름도 생소한 외국의 어느 지명 등)를 사용하면서 '그 느낌과 같다'라는 표현을 서슴치않고 사용하는 행위들이다. 이해를 하라고 하는 건지, 자신의 지식의 깊이와 넓이를 표현하려고 하는 것인지 정말 한심하기 짝이 없다. 물론 요즘의 여류작가(공지영외 다수)들은 그런 경향을 탈피하고 자신감 있게 글을 써 내려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번 소설 '괴물'도 어찌보면 그런 느낌을 받기도 한다. 소단위별로 시점을 자유자재로 옮겨가는 것을 이외수님이 '조각보 기법'이라고 표현을 하셨지만, 이는 이미 '벽오금학도'에서 그 기법의 완성도를 보여준 상황에서 '괴물'이 그 기법의 시초인양 말씀하시는 것은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천상병시인께선 시를 쉽게 쓰라고 하셨다. 그래야만 시를 읽는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다고도 말씀하셨다. 물론 소설은 다르다 소설은 어렵게 쓰여지고 재밌게, 감명깊게 읽혀야한다. 재미없고 유치한 소설을 단지 '이외수'라는 이름만으로 읽어야 한다면 작가로서 독자에 대한 모독이 아닌가 생각한다.좌우지당간...이 소설의 한문단한문단, 한문장한문장을 파헤치고 분석할 수 있는 기회로 삼기위한 토론의 장을 열자고 제안을 해 보는 바이다.아마도 천상병 시인께서 현신하셔서 이 소설을 읽었다면 '개구리가 써도 이보단 낫겠다'라고 하지 않으셨을런지...등대지기 황상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야씨 2009-02-14 2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리뷰에서 딱 한 가지는 공감해요. 저 위에 있는 별점. 이건 뭐 아예 짜임새가 엉망인 소설이니깐. 끝도 어영부영 이어가다가 아주 다리 끊어먹듯이 똑 끊어드시던데 말이죠. 어떻게 이게 출판되었는지 모르겠어요. 퇴고를 기냥 몇 년은 해야 제대로 멀끔해질텐데 대체 왜 그냥 출판을 했을까 기막히다 못해 화났었죠. 그래서 지금은 이외수 작가님 책은 안 산다는. 돈 아껴워서 울었던 책 많지 않은데 이게 그 중 하나였다는 그런 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