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난 열차
헤미 발거시 지음, 크리스 K. 순피트 그림, 신상호 옮김 / 동산사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아직까지도 우리에게 남아있는 아픔의 역사.
그것을 우리 땅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손으로 직접 하지 못하고
비록 같은 한국인이긴 하지만 외국에서 먼저 시도되었다는 것.
그래서 그림이며 내용이 우리네 실상에 맞지 않고 조금 낯설고 미숙한 부분이 있다는 점이 못내 아쉬움으로 남긴 해도 참으로 반가운 소재가 아닐 수 없습니다.

6.25전쟁은 이미 우리 아이들에게는 잊혀진 전쟁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부모님들이 전쟁으로 인해 고통받은 세대도 아니고
가족 중에 전쟁으로 인한 흉터가 생생한 집도 이제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얼마전 "태극기 휘날리며" 영화를 보면서 피난열차를 보았습니다.
그 빼곡이 올라탄 사람들..그 정신없고 그 무지막지한 상황을 스크린으로 보면서 저는 무슨 생각을 했는지 아십니까?
"저러고 부산까지? 아니..중간에 쉬마려우면 어떻게 했을까?"
이게 전쟁을 겪어보지 못한 제 마음 속에서 떠오른 웃기고도 부끄러운 생각입니다.

그래서 제게는 이 책이 전쟁에 얽힌 가족사가 소재이지만 그리움이라는 전혀 다른 시각으로 읽혀졌습니다.

빠아아앙~~ 소리를 내며 다가왔다가 다시 빠아아앙~~~ 멀어져가는 기차.
그 기차를 보면서 외할머니는 오래전 기차에 함께 타지 못했던 외할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수미는 기차를 타고 돌아올 엄마를 그리워하고.

혼자 속으로 읽을 때는 그렇지 않았는데 아들에게 소리내어 읽어주다 보니 마치 내 자신이 동그마니 언덕에 앉아 오래전 기억을 더듬는 수미의 외할머니가 되어 목이 메이고 가슴이 에어왔습니다.
한겨울...두고 올 수 밖에 없었던 손때묻은 살림들..
그 추위 속에 나눈 짧은 이별인사...들은 아직도 할머니 가슴 속에 선명하게 살아있어서 기차를 볼 때마다 되살아나고 되살아나겠지요.

전쟁이 아직까지도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은 총소리는 이미 멎었지만 우리에게서 너무나도 많은 것을 앗아가버리고 너무나도 깊은 그리움을 남겨놓았기 때문일 겁니다.

그러나 할머니에게는 가족을 이별시킨 기차이지만 수미에게는 떨어져있는 가족이 다시 만날 수 있는 매개체 역시 기차라는 설정을 통해 작가는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수미가 가슴에 꼭 끌어안는 인형처럼요.

그림의 아쉽고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말을 하지 않으렵니다.
내용과 맞지 않는 부분 - 24쪽... "네 엄마는 포대기로 싸서 등에다 업었단다"라고 되어있지만 그림에서는 전혀 한국적인 풍습과 맞지 않게 슬링처럼 앞으로 안았다 - 도 있을 정도로 부족함이 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만을 느끼렵니다.
그리움으로 가득한 할머니와 수미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환한 꽃마을의 풍경이며 외국그림책에서 흔히 보여지는 동양인의 쫙 찢어진 눈매가 아니라 바로 우리네의 얼굴을 그려 준 그림작가 크리스 순피트에게 고마울 따름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4-08-06 1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리뷰를 위해 매진'하고 계시군요. 잘 읽었습니다. 전쟁이란 정말 비극이지요.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없어야 할 텐데요....

밀키웨이 2004-08-06 1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고..마태님..
그렇게 말씀하시면 부끄럽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