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나무 풀빛 그림 아이 15
숀 탠 글 그림, 김경연 옮김 / 풀빛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표지에서부터 우울하고 창백한 낯빛의 소녀가 종이배를 타고 있는 그 아슬아슬함이라니...  어쩔 수 없이 끌리는 듯한 기분으로 책장을 열었습니다.표지를 열자마자 콘크리트벽이 앞을 턱 가로막는 숨막힘...그 숨막힘은 곧 어디선가...저 위에서 떨어져내리는...너무 가벼워서 중간에 몇번이나 휘돌아내리는 작은 잎사귀 하나에 시선을 던지게 합니다. 한장을 더 넘깁니다. 해가 저물어가는 시간일까요? 빛이 사라져가는 곳에 한 소녀가 자신만의 언어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 음울함이 무어란 말인가 의문을 가지려는 찰라..

때로는 하루가 시작되어도 아무런 희망이 보이지 않는 날이 있습니다

이것이 그림책의 첫문장이라니... 파격적이고 놀라운 말로 그림책은 시작되고 있습니다. 예, 그런 날이 있지요... 아침에 눈을 떴을 때... 내가 눈을 떴다는 그 사실조차도 너무나 버겁게 느껴지고 그대로 다시 잠들고 싶어지리만큼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은 때가요. 그러나 그런 기분은 어른들만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아이들도 이런 기분을 느끼며 살고 있었던 건가요...

점점 더 나빠져서 결국엔 모든 일은  터져버리고 자기자신에 대한 정체성마저 의심이 가게 되는 그런 암울함...그 하루가 다 끝나가도록 아무런 희망이 없는 거 같았지만 ..그러나 내가 찾아낸 것은...내 자신 속에 피어나고 있는 빨간 나무...라는 내용인데 아마도 아이들은 이 책을 이해하기가 난해할지도 모릅니다. 왜 이런 그림이 그려졌는지 왜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지... 하지만 어느날엔가...굉장히 우울하고 힘든 날... 그때 그래도 내게는 빨간 나무가 있다는 그런 위로를 줄 수 있을까요? 그 눈부심 앞에서 비로소 빙그레 웃음 짓는 소녀와도 같이 말이죠. 하지만 분명 재미없다고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건 이렇게 절망적인 기분이며 이런 날이 누구나에게 있는 그런 공감을 불러일으킬테니까요.

 지독한 하루을 돌고 돌아 결국에 빨간 나무를 찾은 것은 자신의 방안이라는 다소 뻔히 보이는 결말이기는 했지만 오히려 그래서 더 휴우~ 하는 안도의 한숨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어린이책에 남발(?)하는 우연적인 만남 내지는 어떤 절대자의 도움 혹은 불밝히고 음식을 데워놓고 기다리는 부모님의 사랑...이런 것이 아니라 희망이라는 것은 전적으로 나 자신 안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듯하여서 말입니다.

이 그림책의 작가, 숀 탠. 1974년생이라고 하니 우리나라 나이로 31살이로군요. 이렇게 젊은 작가가 이 책을 통해 나타내고 싶었던 것은 어린아이라고 해서 늘 행복하기만 하고 늘 단순하기만 하고 늘 희망적일 수만은 없다는 것. 그것 아니었을까요?  어린 아이들에게도 깜깜해보이기만 하는 그런 날이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르지요.

숀탠의 작품으로 우리나라에 먼저 소개된 것은 북하우스의 공포 이야기 애프터 다크 시리즈(After Dark Series)인데 공포소설이라니...오싹해지더군요. 으흐흐흐~~역쉬..그런 생각도 들었구요.

이 책의 그림 또한 음울하고 초현실적이면서도 상징적인 표현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신문꼴라쥬, 액자기법에다가 줌 아웃(Zoom out)기법까지 마치 이야기 속의 소녀, 그  내면 깊숙히 들어기는 것을 원치 않는 듯하네요. 불 켜진 무대 위에 덩그러니 구경꾼처럼 놓여있는 것은 나야, 결코 네가 아니야! 라고 외치는 듯.

이 책은 아마도 제 책꽂이에 오래도록 꽂혀있게 될 거 같습니다. 7살 호야에게 읽어주었을 때 재미있다는 대답을 하기는 했지만 그 녀석이 앞으로 삶을 살아가면서 더 많이 슬퍼지고 더 많이 힘들어지고 더 많이 절망하게 되었을 때... 그때 비로소 이 책을 아끼게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04-05-04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른들이 아니라..아이들도 감정이 있음을 잊어버리게 되지요..살면서..

아..저도 제일 첨 기억하는 기억은 슲픈 기억이랍니다. 아무래도 많이 슬프고 이해되지 않는 것들은 더 기억에 남기 마련이지요. 의도적으로 감춰도...기 감정만은 남아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언젯적 기억이 남아있나요?? 전 네 살때 할아버지의 장례식이랑 그 전의 단편적인 기억들이랍니다... 가끔 우리 아들도 세 살때 겪었던 할아버지를 아직 기억하고 있을까...궁금해진답니다..

밀키웨이 2004-05-05 0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디각시... 제게 남아있는 제일 첫기억은...개구리 잡아서 뒷다리 뜯어먹던 기억입니다.
의도적으로 기억을 지운다는 거..
제가 그렇습니다.
그보다 더 어린 시절의 기억도 많았을테지만 다 지워버리고 애써 감추려고 했더니 의식 속에 남은 기억이 없습니다.
최면이라도 걸리면 모를까요....

반딧불,, 2004-05-06 14: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가끔 생경하게 들린답니다..밀키님은 우아하고 고상한 ㅎㅎㅎ
럭셔리한 분위기에서 컸을겄만 갔거든요..실은 그래야 공평한 듯 해요.
아세요?얼마나 럭셔리하게 느껴지는지?? 어떤 글을 써도 이쁘게만 보이는 최면에 걸렸나봅니다..그나저나 전 시골출신인데도 개구리 뒷다리 안먹어봤습니다..
원체 혐오식품은 싫어했던지라..그리고...아마도 제 주변에 오빠가 ..남성이 없었기 때문에
많이 갇혀살아서 였기도 했을거구..또 벌써 책에 빠져서 돌아다니는 것에 그리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 였기도 할거예요..그땐 꽤나 조숙해지려 노력하던 시기였었지요..

의도적으로 기억을 지운다는 것..방어기제...하하..
어느 구석에 숨어있겠지요...제 기억이 정말 맞는것인지 가끔은 궁금하니까요..
아마도 많이 틀릴거라 생각할 적이 많지요....슬픔은 뒤늦은 것이었으면 하는 생각을 합니다.

밀키웨이 2004-05-06 15: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걱!!!!
아니, 제 목소리를 들으시고도 그런 말씀이????
전혀 우아하고 고상하지 않고 털털에 과격 터프인데 모르는 사람들은 좀 깍쟁이같아 보인다고도 하더이다.

ㅋㅋㅋ
그런데 럭셔리하게 느껴진다니..음하하하 감쪽같이 위장하는데 성공했다 싶어 무지하게 기분이 좋네요 ^^
요즘은 말입니다.
십대시절에 뭐하고 살았는지...수재도 아니고 전교석차가 무지하게 좋은 것도 아니었으면서 오로지 교과서만 붙들고 깝깝하게 살았던 것이 많이많이 후회가 됩니다.
아세요, 반디님 글 읽다보면 아...! 하고 굉장히 존경하게 되는거요?
이 사람...속이 참 깊구나...
이 사람...드러내지 않고 어떻게 이리 잠잠할 수 있었을꼬...
그 겸손에 경의를 표합니다 ^^

히히히...우린 서로 추켜세우기 그런 대회 나가면 잘 할거 같죠?

반딧불,, 2004-05-06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진짜 속으신 분은 밀키님이시네요..
저 그리 대단하게 존경스럽지도 않구요..겸손하곤 무지하게 거리가 멀다고 매번 타박 듣고 산답니다...행동이 안따라서^^;;;
전교석차라...전 고교대 실패했었어요..아주 곤두박질 치고..제가 그리 멍청하고
노력형이 아님을 첨 알았지요..공부에 흥미도 없다는 것을요..
그리고..아집과 아만이 넘치다보니 ..그런 것들 몰라도 된다고 그런 것 몰라도 내가 너희들보다 똑똑하다고 혼자 잘난 맛에 살던 사람입니다..
많이 돌고 돌아서 ....이제사 이자리지요...
모난 돌이 정을 맞는다는 것..여실하게 느끼고 살은 삶이고요..
제 주변엔 어찌나 속 깊은 사람들이 많은지..전 끼지도 못한답니다^^;;

아니..이게 무슨 고백 모드인지...엥이 밀키님이 나빠요..이런 야그까지 하게 하다니...

밀키웨이 2004-05-06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컴을 하다보면 왠지 저 사람하고는 말이 통할 거 같다고 느껴지는 그런 삐리리~ 가 있지 않던가요?
글이라는 게 아무리 위장하고 속이고 한다고 해도 사람 속이 그대로 보이는 거 같아요.
오히려 실제생활에서는 자기 속을 다 보이기가 힘드니까 타박도 듣게 되는 거 같고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