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A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선양할 때 순에게 말씀하시었다: "아아! 너 순아! 하늘의 역수가 네 몸에 있도다! 진실로 그 가운데를 잡아라! 사해가 곤궁해지면 천록이 영원히 끊어질 것이다." 그리고 순인금 또한 우 임금에게 선양할 때 비슷한 말씀으로 우에게 명하시었다.
20-1B
은나라의 시조인 탕왕이 하느님께 고하여 말하였다: "저 소자 리(탕왕)는 감히 검은 수소를 희생으로 바쳐, 감히 크고 크신 하느님께 환히 고하나이다. 죄있는 사람을 용서할 수 없음은 당신의 법칙이외다. 당신의 신하인 저 걸의 죄는 누구도 가리우지 못하나이다. 오직 당신의 마음에 그의 죄는 명명백백히 드러나 있나이다. 제 몸에 죄가 있다면 그것은 오직 저 자신의 책임이며 만방의 백성 탓이 아니외다. 또 만방의 백성에 죄가 있다면 그 죄의 책임은 오직 저의 몸에 있나이다."
20-1C
"우리 주나라에 하느님으로부터 크나큰 베푸심이 있어, 이토록 인재가 풍부하게 있게 되었나이다. 주 왕실의 친적이 있어도 인한 사람만 같지 못하나이다. 백성들의 과실은 오직 그 책임이 저 한 사람에게 있나이다."
20-1D
도량형을 근엄하게 통일하고, 법제도를 신중하게 살피고, 없어진 관직을 다시 살리니, 사방의 정치가 제대로 시행되었다. 멸망한 나라를 일으켜 조고, 끊어진 세대를 이어주고, 숨은 인재를 등용하니, 천하의 백성들이 그 마음을 다스리는 자에게로 돌리었다. 소중히 여긴 것은 백성이요, 식생활이요, 상례요, 제레였다. 너그러우면 대중을 얻고, 신험이 있으면 백성들이 신임하고, 민첩하면 업적이 있게 되고, 공정하면 백성들이 기뻐한다.
20-2
자장이 공자께 여쭈어 말하였다: "어떻게 하여야 정치에 종사할 수 있습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다섯 가지 아름다운 일을 존중하고, 네 가지 추악한 일을 물리치라! 그리하면 정치에 종사할 수 있으리라."
자장이 말하였다: "무엇이 다섯가지 아름다운 일이오니잇가?"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군자는 은혜를 베풀어도 허비하지 아니 하며, 백성에게 노역을 시켜도 그들이 원망치 아니 하며, 욕심을 내어도 인한 욕심만 내기 때문에 탐하지 아니 하며, 생활이 유족하면서도 교만하지 아니 하며,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아니 하다."
자장이 여쭈어 말하였다: "무엇을 은혜를 베풀어도 허비하지 아니 한다고 일컬을 수 있겠나이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백성들이 이롭게 생각하는 바를 따라 이롭게 해주니, 이 또한 은혜를 베풀어도 허비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들이 노역할 만한 일을 선택하여 노역을 시키니 또한 그들이 누구를 원망하리오? 인을 욕심내어 인을 얻을 뿐이니 또 어찌 탐심이 일겠는가? 군자는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작고 큼을 가리지 않으며, 그러한 분별심에 따라 상대방에게 오만한 자세를 보이지 아니 하니, 이 또한 생활이 유족하면서도 교만하지 아니 하다 할 만하지 않겠는가? 군자는 의관을 정제하고 바라보는 것을 존엄하게 하니, 그 엄연한 모습을 사람들이 바라보고 외경심을 품는다. 이 또한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아니 하다고 할 만하지 않겠는가?"
자장이 여쭈어 말하였다: "무엇이 네가지 추악한 일이오니이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백성을 교육시키지도 아니 하고 잘못했다고 죽이는 것을 학虐이라 일컫고, 미리 통고하지도 아니 하고 완성된 것을 보이라고 요구하는 것을 폭暴이라 일컫고, 명령을 아무렇게나 발하면서 기한을 각박하게 하는 것을 적賊이라 일컫고, 어차피 똑같이 나누어 줄 것인데 출납을 인색하게 하는 것을 유사有司라고 일컫는다."
20-3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으며, 예를 알지 못하면 설 수가 없으며, 언을 분변하지 못하면 타인들의 사람됨을 알아볼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