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자로가 정치를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백성들에 앞서 실천하는 솔선수범을 보여라. 그리고 백성들이 사는 수고로움을 잊게 하라." 자로가 더 좀 말해 주십사고 부탁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권태를 느끼지 말고 열정을 지속시켜라."
13-2
중궁이 계씨의 가신이 되어 정치를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유능한 관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급선무다. 그들의 사소한 과실은 용서해라. 슬기로운 자와 재능있는 자를 등용하라." 중궁이 여쭈었다: "슬기로운 자와 재능 있는 자를 어찌 알고 등용하오리이까?"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네가 알고 있는 슬기로운 자와 재능있는 자를 우선 등용한다면, 네가 모르는 슬리로운 자와 재능 있는 자를 세상이 내버려두겠는가?"
13-3
자로가 말하였다: "위나라의 군주가 선생님을 모셔다가 정치를 하려 한다면, 선생님께서는 무엇을 먼저 하시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반드시 이름을 잡는 정명正名을 먼저 할 것이다." 자로가 말하였다: "역시나 했더니만, 선생님도 참 아둔하기 그지없으시구려. 왜 하필 이름을 바로 잡는다고 하십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야비하구나! 유 이녀석! 군자는 알지 못하는 것에는 입이나 다물고 있는 법이거늘. 이름이 바르지 않으면 말이 바른 논리를 따라가지 않고, 말이 바른 논리를 따르지 않으면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악이 흥하지 아니하고, 예악이 흥하지 않으면 형벌이 타당치 못하게 된다. 형벌이 타당치 못하면 백성들이 손발을 둘 곳조차 없어지고 만다. 그러므로 군자는 무엇을 이름하면名之, 그것에 대해 반드시 바른 논리를 세워야 한다. 바른 논리를 세우면 반드시 실행에 옮겨야 한다. 군자가 그 말의 논리에 있어서 어찌 구차스러움이 있을 수 있겠는가!"
13-4
번지가 공자에게 농사일을 배우기를 청하였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농사일에 관해서는 나는 늙은 농부만 못하다." 그러자 번지가 또 채소 갈아먹는 것 배우기를 청하였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채소경작에 관해서는 나는 채마밭 늙은이만 못하다." 번지가 퇴장하자, 공자께서는 한탄스럽게 말씀하시었다: "참 쩨쩨한 소인이로구나! 저 번수녀석! 통치자가 예를 좋아하면 백성들은 공경치 아니함이 없고, 통치자가 의를 사랑하면 백성들은 심복하지 아니함이 없고, 통치자가 신험하기를 좋아하면 백성들은 자가의 진실을 내보이지 아니하는 자가 없다. 대저 이와 같이 행하면 사방의 백성들이 그 아기를 포대기에 업고 모여들 것이니, 어찌 농사짓는 일로써 정치의 기준을 삼으려는가?"
13-5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시 삼백편을 줄줄 외운다 해도, 그 자에게 정치를 맡겨본들 통달치 못하고, 또 사방의 사신으로 보내본들 온전하게 응대하지도 못한다면, 지식이 많은 것이 또한 무슨 소용이랴!"
13-6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다스리는 자의 몸이 바르면, 법령을 발하지 않아도 스스로 행하여지고, 그 몸이 바르지 못하면 법령을 발하여도 아무도 따르지 않는다."
13-7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노나라와 위나라의 정치는 형제간이로다!"
13-8
공자가 위나라의 현명한 공자 형을 평하여 말씀하시었다: "그는 집안 재산을 잘 관리할 줄 알았다. 재산이 처음 생겼을 때 말하기를, '그런대로 조금 모였군요'라 했다. 재산을 어느 정도 가지게 되었을 때 말하기를, '그런대로 구비되었군요'라 했다. 재산을 풍요롭게 가지게 되었을 때 말하기를, '그런대로 아름답군요'라 했다."
13-9
공자께서 위나라로 가시었을 때에 염유가 수레를 몰았다. 공자께서 위나라 수도의 거리를 지나시면서 말씀하시었다: "아~ 참 사람이 많기도 하구나!" 염유가 여쭈었다: "그렇습니다. 인구가 많습니다. 그럼 또 무엇을 해야 할까요?"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그들을 풍요롭게 해주어야 한다." 염유가 또 여쭈었다: "이미 풍요럽게 되었다면, 또한 무엇을 해야 할까요?"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그들을 교육시켜라."
13-10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만약 나를 제대로 기용할 줄 아는 인물이 이 세상에 있다면, 일 년이면 나라를 바로잡을 수 있고, 삼 년이면 그 나라를 완성시킬 수 있다."
13-11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옛말에 '선인이 나라를 다스리기를 백년만 지속할 수 있다면, 또한 모든 잔폭함을 극복하고 사형을 없앨 수 있다'했는데, 옳도다! 이 말이여!"
13-12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만약 왕자王者가 있다 하더라도 반드시 한 세대가 지난 후에나 백성들이 인하게 될 것이다."
13-13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다스리는 자가 그 몸을 바르게 한다면 정치를 하는데 무슨 어려움이 있을까보냐! 다스리는 자가 그 몸을 바르게 할 수 없다면 어떻게 타인을 바르게 할 수 있단 말인가!"
13-14
염자가 조정에서 물러나왔다.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오늘은 왜 이렇게 늦었느냐?" 염자가 대답하여 말하였다: "중요한 정무가 있었습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중요한 정무이긴? 사사로운 일이었을 것이다! 만약 중요한 정무였다면, 내가 비록 벼슬의 자리에는 있지 않으나, 나에게 반드시 상의했을 것이다."
13-15
정공이 물었다: "단 한마디로써 나라를 흥하게 할 수 있다 하니, 그러한 것이 있습니까?" 이에 공자께서 대답하여 말씀하시었다: "인간의 말이라는 것이 그토록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마는, 한번 말씀드려 보지요. 사람들이 하는 말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임금노릇 하기 어렵고, 신하노릇하기 쉽지 않다' 만약 당신께서 임금노릇 하기 어렵다는 것을 아신다면, 이 한마디의 말로도 나라를 흥하게 하는 데 거의 이르게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정공이 또 물었다: "단 한마디로써 나라를 망하게 할 수도 있다 하니, 그러한 것이 있습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인간의 말이라는 것이 그토록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마는, 한번 말씀드려 보지요. 사람들이 하는 말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아~ 짐이 임금 되었다 하나 특별한 낙이 없노라. 단지 내 입에서 말이 떨어지면 아무도 나에게 거슬려고 하지 않는 것이 즐겁도다!' 만약 당신의 말이 선하다면 거스르지 않아도 물론 좋겠지요. 그러나 만약 당신의 말이 선하지 ㅇ낳고 아무도 거스르지 않을진댄, 이 한마디 말로도 나라를 망하게 하는데 거의 이르게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13-16
섭공이 정치를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가깝게 있는 백성들을 기뻐하게 할 수 있으면, 먼 곳에 있는 백성들도 모여들겠지요."
13-17
자하가 거보의 읍재가 되어 공자께 정치를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속히 성과를 내려 하지 말라. 작은 이익에 구애되지 말라. 속히 성과를 내려하면 전체적으로 통달할 수 없고, 작은 이익에 구애되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13-18
섭공이 공자에게 일러 말하였다: "우리 무리 중에 대단히 곧은 인물이 있습니다. 그 아버지가 양을 훔쳤는데, 아들인 그가 그것을 입증하여 유죄가 되었습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우리 무리 중의 곧은자는 당신네 곧은 자와는 다릅니다. 아버지가 아들을 위하여 숨겨주고, 아들은 아버지를 위하여 숨겨줍니다. 곧음이란 그 속에 있는 것이외다."
13-19
번지가 인을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 "평소에 거처하는 모습이 공恭해야 하고, 일을 하는 모습은 경敬해야 하며, 사람을 사귀는 모습은 충忠해야 한다. 비록 이적의 나라에 간다 할지라도 이러한 자세를 버려서는 안된다."
13-20
자공이 여쭈어 말하였다: "어떠해야 선비라 일컬을 만하오니이까?"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자기의 행동에 대하여 수치를 느낄 줄 알며, 사방의 나라에 사신으로 나아가선 임금의 명命을 욕되게 하지 아니하는 자, 그를 선비라 일컬을 만하나니라." 자공이 다시 말하였다: "그 다음가는 자격을 감히 묻겠나이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종족 전체 사람들이 효성스럽다고 칭찬하며, 향당 전체 사람들이 우애가 있다고 칭찬하는 사람일 것이다." 자공이 다시 말하였다: "그 다음가는 자격을 감히 묻겠나이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말에 반드시 신험信驗이 있고 행동에 반드시 구체적 결과가 있으며, 깐깐하기만 하여 좁은 소인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또한 그 다음이 될 만하나니라." 자공이 또 여쭈었다: "지금 정치에 종사하는 자들은 어떠하오니이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아! 한두 됫박밖에 안되는 그 인간들을 따져볼 건덕지나 있겠느뇨?"
13-21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중도를 행하는 선비와 더불어 같이 걸어갈 수 없다면, 나는 차라리 광狂자나 견자와 더불어 할 것이다. 광자는 진취적이고 견자는 행하지 아니하는 바가 있는 확실한 사람들이다."
13-22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남쪽나라 사람들 말에 이런 말이 있다. '사람된 자가 항상된 마음이 없으면 무당을 해서도 아니 되고 의사가 되어도 아니 된다.' 참으로 적확한 좋은 말이다. <역>에도 이런 말이 있지 않니, ' 그덕을 항상되게 하지 못하면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수치를 당할 수도 있다." 이어 또 말씀하시었다: "덕이 항상스럽지 못한 사람들은 점을 칠 수도 없다."
13-23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군자는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지만 동류로써 휩쓸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소인은 사람들과 동류로서 휩쓸리기만 할 뿐 오히려 조화를 이루지는 못한다."
13-24
자공이 여쭈어 말하였다 : "향인 전부가 한 사람을 다 좋아한다면 그 사람은 어떻습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그것으로는 부족하다." 자공이 또 말하였다: "그렇다면 향인 전부가 한 사람들 다 미워한다면 그 사람은 어떻습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그것으로는 부족하다! 향인 중의 선한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고, 향인 중의 선하지 못한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는 것만 같지 못하니라."
13-25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군자는 섬기기는 쉬워도, 그를 기뻐하게 만들기는 어렵다. 도로써 기뻐하게 만들지 않으면 그는 결코 기뻐하지 아니 하기 때문이다. 군자는 사람을 부리는 데 이르러서는 사람들의 그릇의 역량에 따라 자유롭게 부린다. 그런데 소인은 섬기기는 어려워도 기뻐하게 만들기는 쉽다. 기뻐하게 만들기를 도로써 하지 않아도 그들은 쉽게 기뻐해하기 때문이다. 이런 소인이 사람을 부리는 데 이를러서는 오히려 사람들이 완벽할 것을 요구한다."
13-26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군자는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면서 태연하지 못하다."
13-27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강인하고, 굳세고, 질막하고, 어눌한 것은 인에 가깝다."
13-28
자로가 여쭈어 말하였다: "어떠해야 선비라 일컬을 만하오니이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절절시시切切시하게 서로를 책망할 줄 알았고, 이이여하게 서로를 화락하게 하면, 그를 선비라 일컬을 만하니라. 붕우에게 절절시시하게 하고, 형제에게 이이여怡怡如하게 할지어다."
13-29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선인이 백성을 7년동안 잘 가르치면 그들로 하여금 전장에 나아가게 할 수 있다."
13-30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백성들을 가르치지 아니하고 전장에 내보내는 것은 백성들을 내다버리는 짓이라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