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공자께서는 이利와 명命과 인仁은 드물게 말하시었다.


9-2

달항당의 사람이 말하였다: "위대하십니다. 우리 공자님! 그렇게 넓도록 배우셨어도 한 가지로 이름을 날리지는 않으셨으니!" 공자가 후에 이 말을 들으시고 문하의 제자들에게 일러 말씀하시었다: "내가 무엇을 전공으로 삼을꼬? 말몰이를 전공할까? 활쏘기를 전공할까? 아~ 나는 역시 말몰이를 전공삼아 이름을 날리고 싶다."


9-3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고운 베로 만든 관을 쓰는 것이 본래의 예엿다. 그러나 요즈음은 생사로 만든 관을 쓴다. 검약하다. 나는 시속을 따르겠다. 예로부터 당 아래서 절하는 것이 본래의 예였다. 그러나 요즈음은 사람들이 당 위에서 절한다. 오만하다. 나는 시속을 따르지 않고 그냥 당 아래서 절하겠다."


9-4

공자께서는 평소 삶에 네 가지의 태도가 전혀 없으셨다 : "주관적 억측이 없으셨다. 무리하게 관철시키려는 자세가 없으셨다. 변동을 모르는 고집이 없으셨다. 나라는 집착이 없으셨다.


9-5

공자는 광땅에서 포위되어 그 일행은 죽음을 두려워 해야 할 곤경에 빠져있었다. 공자께서는 그 난 중에서도 이와같이 말씀하시었다: "문왕께서 이미 돌아가신 지 오래지만 그 문이 여기 나에게 있지 아니한가? 하늘이 이 문을 버리시려 한다면 그대들이 살아남는다 하더라도, 그대들은 내 몸에 있는 이 문을 더불어하지 못하리라! 만약 하늘이 이 문을 정녕코 버리지 않으신다면 광 사람인들 감히 나를 어쩌랴!"


9-6

오나라의 태재가 자공에게 물어 이를기를 : "부자께서는 진실로 성인이시군요. 그토록 재능이 다방면에 넘치시니!"하였다. 그러자 자공이 대답하였다: "그럼요. 진실로 하느님께서 당신의 뜻에 따라 우리 공자님을 성인으로 만들려 하시니, 또한 그토록 많은 재능을 주셨구료." 공자께서 후에 이 말을 들으시고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었다: "태재, 그 사람이 나를 아는구나! 나는 어렸을 때 천한 사람이었다. 그러기에 비속한 잔일에 재주가 많을 뿐이로다. 군자가 재주가 많아야할까? 그러하지 아니하리라." 

제자 뢰가 말하였다: "나는 선생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나는 나의 포부를 시험해볼 수 있는 자리에 있어본 적이 없다. 그래서 잔재주가 많다.'"


9-7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세인들이 나보고 박식하다고들 하는데, 과연 내가 뭘 좀 아는가? 나는 아는 것이 별로 없다. 비천한 아해라도 나에게 질문을 하면, 비록 그것이 골빈 듯한 멍청한 질문이라 할지라도, 나는 반드시 그 양단의 논리를 다 꺼내어 그가 납득할 수 있도록, 있는 성의를 다해 자세히 말해준다. 이래서 내가 좀 아는 것처럼 보였을지도 모르지."


9-8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아~봉황새가 이르지 않는구나. 황하가 도상을 떠올리지 않는구나. 아~나도 어느덧 스러져가는구나!"


9-9

공자께서 거친 베옷을 입은 사람과 사모관대 의상을 제대로 갖춘 사람, 그리고 눈먼사람을 보시면, 그들의 나이가 어려도 반드시 일어나셨고, 그들 곁을 지나치실 때는 종종걸음으로 조심스럽게 지나가셨다.


9-10

안연이 한숨쉬며 크게 탄식하여 가로되: "우리 스승의 도는 우러러볼수록 높아만지고, 뚫고 또 뚫어보아도 더욱 견고할 뿐. 바라보니 앞에 계시더니, 홀연히 뒤에 계시네. 스승님께서는 그토록 차근차근 사람을 잘 이끌어 앞으로 나아가게 하시는도다. 나를 문으로 넓혀주셨고, 나를 예로 집약시켜주셨도다. 공부를 그만두자하여도 그만둘 수 없어 나의 있는 재능을 다하고자 하나, 스승님은 어느샌가 또 새롭게 우뚝 서계시는도다! 아~ 스승님을 따르고자 하나 어디서 그 실마리를 잡아야할꼬. 아~ 나의 스승님!"


9-11

공자께서 병에 걸리셨는데 위중한 상태에 이르렀다. 자로가 문인들을 가신으로 삼아 대부으 ㅣ장례체제를 준비하였다. 병에 차도가 있자, 공자께서 기운을 차리시고 말씀하시었다: "버릇이 길구나. 유야, 왜 또 거짓을 행하려느뇨? 나는 본시 가신이 없는 사람, 가신을 두다니, 내 누구를 속일 것이냐? 세인의 이목을 속일 수 없으니 하늘까지 속이려느뇨? 나는 가신의 허세 속에서 죽기보다는 차라리 평생 정든 너희들 손에 죽으련다. 어마어마한 장례는 얻지 못한다 해도 내 설마 길거레어서 죽기야 하겠느냐?"


9-12

자공이 말하였다: "여기 아름다운 옥이 았다고 하죠. 이것을 궤짝에 넣어 감추어 두시겠습니까? 좋은 가격을 구하여 내다 파시겠습니까?" 공자께서 이에 말씀하시었다: "팔아야지! 팔아야지! 암 팔아야 하구말구. 그러나 나는 사러오는 자를 기다릴뿐."


9-13

공자께서 편벽한 변방의 아홉나라에 가서 살고 싶어하셨다. 혹자가 말기를, "그곳은 누추한 곳인데, 어찌 그런곳에서 사실 생각을 하십니까?" 하니, 공자께서 대답하시었다: "군자가 그곳에 거하는데, 어찌 누추함이 있을까보냐!"


9-14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내가 위나라로부터 노나라로 돌아온 뒤로 음악이 바르게 되었다. 아와 송이 각기 제자리를 얻었다."


9-15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밖에 나아가서는 공경을 섬기고, 집에 들어와서는 부형을 섬기며, 상사는 성의를 다하여 도와주며, 술로 인해 주정부리지 않는 것, 이것이 어찌 나에게 어려운 일일 수 있겠는가!"


9-16

공자께서 개울 다리 위에 계시었다. 흐르는 물을 쳐다보시면서 이와같이 말씀하시었다: "가는 것이 이와 같구나! 밤낮을 그치지 않는도다!"


9-17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나는 덕을 좋아하기를 아리따운 여인을 좋아하듯 하는 사람은 아직 보지 못하였다."


9-18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비유컨대 흙을 쌓아올려 산을 만든다고 하자! 열심히 쌓아올려 한 삼태기의 흙이면 산이 완성될 텐데 그것을 중지하면, 아무리 공이 많다 하더라도 그것은 내가 중지한 것이다. 비유컨대 구덩이를 메꾸어 길을 낸다고 하자! 비록 한 삼태기의 흙이라도 내가 쏟아부었다면, 길이 나게 되는 것은 아직 아무리 공이 적다하더라도 그것은 내가 시작한 것이다."


9-19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내가 학문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 많은 놈들이 지루한 표정을 짓지. 그러나 언제든 지루해하지 않고 따라오는 자, 안회일 뿐."


9-20

공자께서 안회를 평하여 말씀하시었다: "애석하도다! 그가 가다니! 나는 그의 나아감만 보았고, 그가 중지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9-21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이 세상엔 싹을 틔웠으나 애석하게도 꽃을 못 피우는 자도 있고, 꽃을 피웠으나 애석하게도 열매를 맺지 못하는 자도 있도다!"


9-22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새로 자라나는 젊은 생명들은 참으로 두려워할만하다. 앞으로 올 생명들이 지금 세대보다 못하다고 누가 감히 말하는가! 사오십이 되어도 뚜렷한 족적이 없는 자, 이 또한 족히 두려워할 것 없는 자들일 뿐."


9-23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법에 따라 해주는 권위있는 말은,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느뇨? 자신의 잘못을 고치는 것이 귀하니라. 귀에 거슬림이 없는 부드러운 말은, 기쁘지 않을 수 있겠느뇨? 왜 칭찬을 받는지 그 실마리를 캐어보는 것이 귀하니라. 기뻐하기만 하고 그 실마리를 캐어보지도 않고, 따르기만 하고 자신의 잘못을 고치지 않는 사람들은, 내가 과연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었이 있겠느뇨?"


9-24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우러나오는 마음과 믿음 있는 말을 주로 하며, 자기보다 못한 자를 벗삼지 아니하며,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라."


9-25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삼군의 거대병력으로부터도 우리는 그 장수를 빼앗을 수 있다. 그러나 초라한 필부에게서도 그 뜻을 빼앗을 수는 없다."


9-26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다 해져버린 누비솜옷을 입고, 찬란한 여유가죽이나 담비가죽 갖옷을 입은 신사 옆에 서 있어도 조금도 꿀리지 않고 당당할 수 있는 자! 유일진저! <시>에 있지 않은가! '사람을 해치지 아니하며, 남의 것을 탐하지 아니 하니, 어찌 선하지 않을 수 있으리오?'" 자로가 듣고 신이 나서 이 <시>의 구절을 종신토록 암송토록 하였다. 이에 공자께서 꾸짖어 말씀하시었다: 그런 방법이 어찌 족히 좋다 말할 수 있으리오?"


9-27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날씨가 추워진 연후에나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듦을 견디어내는 모습을 알 수 있도다."


9-28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지자知者는 미혹됨이 없고, 인자仁者는 잔 걱정을 하지 않으며, 용자는 두려움이 없다."


9-29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더불어 함께 배울 수는 있으나, 더불어 함께 도로 나아갈 수는 없다. 더불어 함께 도로 나아갈 수는 있으나, 더불어 함께 우뚝 설 수는 없다. 더불어 함께 우뚝 설 수는 있으나, 더불어 함께 권權의 경지에 이를 수는 없다."


9-30

"이스랏의 꽃잎은 봄바람에 펄럭펄럭, 아! 어찌 그대가 그립지 않으리오마는, 왜 그리 멀리 있소. 그대 집은." 이 노래를 들으시며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진실로 그리워하고 또 그리워하지도 않으면서, 어찌 집만 멀다 말하느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