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와 여성해방
주디스 오어 지음, 이장원 옮김 / 책갈피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산에 근무하고 있는 오랜 동지가 추천해준 책!


한장 한장 페이지를 넘기면서 무언가를 설명하는 패턴이 아주 익숙했다. 

[현상] -> [분석] -> [원인규명] -> [논리적 구조화] -> [해설]


이런 구조로 글이 전개되어 있어 익숙하지 않은 주제이지만 읽는데 무난했다. 

앞 부분은 논리적 설명을 하고 있고, 뒷 부분은 여성해방운동에 대해 역사적 사실들을 나열하면 설명한다.


내용을 기억하고 뭐라고 뭐라고 쓰기에는 여성학 분야에 내공이 너무 부족해 책속에 눈에 띄는 몇 문장 적는 것으로 대신하려고 한다. 


[1] 19세기 카를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성의 공한 부분을 사고팔고 소유할 수 있는 소외된 사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썼다.  p. 9

[2.] 시에라리온의 여성은 출산 중 사망할 확률이 스위스 여성의 183배나 된다.  p. 14

[3] 여성은 전 세계 부의 고작 1퍼센트만 소유하고 있다. 운이 좋아서 돈을 벌 수 있더라도 남성보다 30퍼센트 적은 임금을 받는다. p. 15

[4] 2012/13년 영국에서 여성 77명이 배우자나 전 배우자에게 살해 당했다.  p. 17

[5] 로리 페니는 자신의 책 <고기 시장>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만약 세상의 모든 여성이 내일 아침 일어나서 자기 몸에 대해 진실로 긍정적이고 당당한 기분을 느낀다면, 세계경제가 하룻밤 사이에 붕괴할 것이다."  p. 41

[6] 직장에서 분열을 극복하고 편견에 도전하고 동등한 임금과 권리를 위해 싸우는 것은 노동계급의 모든 투쟁에서 가장 중요하다. p. 48

[7] 초기 인간 사회의 공토왼 특징으로 평등주의와 모계제를 꼽았다. p. 63

[8] 2014년 학업성취능력평가에서 영어와 수학을 포함해 5개 과목 이상을 합격한 비율은 여학생이 65.7퍼센트인 반면 남학생은 55.6퍼센트였다. p. 139

[9] 유럽에서든 미국에서든, 군대에 오면 직업 기술을 배울 수 있닥 호보할 때, 그것은 부유층 아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돈 많은 집 아들은 교육을 받기 위해 군대에 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노동계급의 삶을 쓰다 버릴 수 있다는 것ㅇ로 취급하는 현실을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 준다.  p. 144

[10] "시트가 없으면 자동차를 팔 수 없는 게 당연하죠, 그때 깨달았어요. 우리가 생각보다 더 중요한 존재라는 걸요. 사실 그렇게까지는 생각해 본적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파업이 벌어지고 공장이 멈췄을 때 꽤나 놀랐어요. .....C등급 달성에서 동일임금으로 그러니까 동등한 권리를 얻은 것으로 나아갔어요. 이와 같은 투쟁들이 영국 여성해방운동의 탄생에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p. 206

[11] 페미니즘은 여성이 삶의 과정에서 동등한 권력과 영향력을 누릴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입니다. p. 234

[12] 사회의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책임은 사회가 져야 한다. 국가가 포괄적 복지를 제공해야 하며,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충분한 유급 육아휴직을 줘야 하고, 육아수당 등이 있어야 한다.  p. 264

[13] 우리는 남성을 상대로 투쟁하고 있는 여성이 아니라 착취자를 상대로 투쟁하고 있는 노동자다. -앨리너 마르크스  p. 328

[14] 러시아 혁명 때 노동자들은 볼셰비키가 언제나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회고한다. "여러분을 설득하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여러분의 삶 자체일 것입니다."  p. 346

[15] "신의 기름 부음을 받아 옥좌에 앉은 자와 나라의 가장고귀한 양반들은 프롤레타리아의 굳은살 박힌 주먹으로 눈두덩을 쳐 맞고 무릎으로 가슴팍이 찍힌 뒤에야, 오직 그때에야 비로소, 대중이 정치적으로 성숙했음을 갑자기 믿게 됐다."  p. 360

[16]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부담을 노동계급의 핵가족이 짊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집단적으로 책임진다면 여성의 삶이 어떻게 바뀔지 상상해 보라.  p. 381


더 좋은 문장들이 있고 생각을 바꾸게 하는 글들이 많이 있었지만 다 옮겨 적지 못했다.

그저 여기 까지 읽어가면서도 알지 못했던 시간들 그리고 나에게 당연한 것들이 다른 이에게는 당연하지 않고 불편을 넘어 위협이었다는 것을 인지 하지 못한 그동안의 초라한 모습을 돌아 본다. 


그리고 부끄럽지만 늦게라도 알게 되었다. 

지금 내가 태어나서 살고 있는 이땅에서 난 특권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 특권에 취해 그 무엇도 제대로 본적이 없다. 마치 옛 프랑스에서 민중의 성난 폭동을 보며 베르사유궁전에 있던 어떤 이가 "왜 빵을 우리에게 달라고 하죠? 빵가게가면 있잖아요."라는 말을 한것 처럼 지금 이렇게 삶을 영위하며 살아가는 것이 그 특권위에 있었다는 것 그래서 나는 출발선이 어떤이보다는 뒤쳐저 있었지만 그래도 다른 이 보다는 앞서 있었다는 그 당연한 현실을 눈감아 보려고 하지 않고, 귀닫아 듣지 않으려 한것이다. 


자!!! 그럼 지금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우리는 남성을 상대로 투쟁하고 있는 여성이 아니라 착취자를 상대로 투쟁하고 있는 노동자다. -앨리너 마르크스 - P3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란 무엇인가
김영민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책들을 몇권 읽었었다. 

그 중 기억이 나는 책으로 "박사학위로는 부족하다"[http://aladin.kr/p/1cpW] 책이 있다. 이 책을 읽을 때 한창 대학원을 다니면서 공부를 하고 석사를 마치면 박사를 해야 할까 계속 고민을 하고 있던 때 읽은 책이다. 

무언가를 공부하는 것 그리고 그 앎이 주는 즐거움에 대해 아주 조금 알게 되었을 때 였기에 고민을 한 것 같다. 

그리고 이 책에서 아주 친절히 알려준 것은 박사학위는 이제 너가 혼자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증명서라 했다. 


관심가는 부분에 문제를 찾아내고 그것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정리하는것 그것이 박사학뤼를 받은 사람들이 비로소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적어 놓은 책을 보면서 공부를 한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구나를 계속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진학을 포기하고 학교에 발령을 받았다.


이와 비슷한 책을 한권 더 읽었는데 "젊은 과학도에게 드리는 조언"[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9145] 이다. 이책도 읽으면서 공부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그리고 오늘 김영민교수의 공부란 무엇인가를 읽으며 책이 조금 가볍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공부란 무엇인가)은 앞서 말한 책들과 내용면에서는 어느정도 일맥상통하는 것 같은데 무언가 가볍다. 공부하는 것에 대한 전달이 부족한 것인가? 아니면 너무 포괄적으로 잡았기 때문인가? 아니며 의도적으로 비딱하게 써서 그런가? 아니면 <중앙SUNDAY>에 일부가 게재되었다는 서문을 읽어서 인가? 글 속에 아주 가끔 이런 표현을 꼭 쓸필요가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여튼 "공부란 무엇인가" 질문을 해주는 책이라 생각했는데 별 생각이 없이 읽게 되는 책이다. 익히 다 알고 있는 공부에 대한 생각들을 저자의 위트(?)있는 글로 썼다는 생각만 든다. 

"믿기지 않겠지만/갈등이나/고통없이/평탄하게/살아가는 사람들이/정말 있다./그들은 잘 차려입고/잘 먹고 잘 잔다./그리고/가정생활에/만족한다./슬픔에 잠길 때도/있지만/대체로/마음이 평안하고/가끔은 끝내주게/행복하기까지 하다./죽을 때도 마찬가지라/대개 자다가 죽는 것으로/수월하게 세상을/마감한다./믿기지/않겠지만/그런 사람들이 정말/존재한다."

찰스 부코스기가 지은 이 시의 제목은 <외계인들>이다.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버트란드 러셀 지음 / 사회평론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 버틀런트 러셀은 수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상당히 논리적으로 생각을 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사람이다. 


그의 책을 처음 만난것은 "서양의 지혜"라는 오래된 책이 었다.

그의 글 속에는 글의 흐름을 마지막에 살짝 비트는 묘한 맛이 있었다.

그래서 그의 책을 사서 읽게 되는 것 같다. 


"교육에 대해"를 읽으면서 계속 느켰던 것이기는 한데 그의 글은 상당히 논리적이다.

이번에 읽은 책도 그의 논리적 사고가 그대로 전달되는 것 같았다. 

상당히 딱딱한 글들이기는 한데 그래도 그의 글을 읽을 수 있다는 것으로 만족한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

그리고 그동안 기독교라는 이름으로 자행되어 왔던 많은 과오들


물론 우리 주변에 어떤 이들은 종교라는 이름을 가지고 누구도 하지 못하는 희생을 하는 분들도 있다. 

그분들을 욕되게 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 

그저 역사적으로 볼때 종교는 인류에게 행복보다는 억압을 더 많이 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종교의 기반은 두려움이다.
종교의 일자적이고도 주요한 기반은 두려움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미지의 것에 대한 공포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앞서 말한 것처럼, 여러분이 온갖 곤경이나 반록에 처했을 때 여러분 편이 되어줄 큰형님이 있다고 느끼고 싶은 갈망이기도 하다. - P40

적어도 건전한 교육이라면 교사들의 다양한 의견이야말로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 P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 별 - 어떤 유토피아 Rediscovery 아고라 재발견총서 4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지음, 김수연 옮김 / 아고라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붉은 별이라는 제목과 사회주의라는 부제가 눈에 띄는 책이다. 

책을 손에 들고 보니 역시 레닌의 가장 친했던 사람중 한명이 쓴 글이라고 한다. 


붉은별은 구소련을 말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 소설은 러시아혁명이 일어나기 전에 쓰여진 글이니 구소련을 말한다는 것이 어쩌면 억지일 수 있지만 책속의 내용을 찬찬히 보면 구소련에서 보여주었던 사회구조 모습이 살짝 보이는 것 같아 보인다. 


책에서는 사회주의라고 번역을 했는데 원문을 찾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이 글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사회주의인지 아니면 공산주의인지는 원문만이 알고 있을것이라 생각이 든다.


소설로 읽었지만 체제선전용 글처럼 보이는 것은 당시 사회 분위기가 그러했기도 하고 문학을 혁명의 도구로 활용했기 때문인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화성인의 목소리로 지구상의 사회주의 혁명을 찬양하는 글을 아주 오랜만에 읽어보는 것 같다.

동지들에게 나를 기억시켜주세요. 안녕.
당신의 레오니드.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국가란 무엇인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가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고찰과 생각들을 정리해 놓은 책이다. 

e북으로 책을 읽어서 다소 집중이 잘 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윤곽을 볼 수 있었다.


국가는 가장 선한 것이 아니라 가장 선하다고 믿는 정치집단의 단체 이다.

책을 읽고 내린 나의 결론 이다. 


책을 만나기 전에 국가는 의무를 나에게 주는 거대한 조직이였다. 

그런데 그 국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국가라는 것이 정치인들의 집합체인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국가는 정치 집합체가 모여서 만드는 관념의 집합이고, 그 관념이 서류를 만들고 서류 속에서 계속 존재 하니 존재가 나타난 것이다. 그 존재를 위해 많은 국민들이 희생되고 있었다. 


국가의 이기주의와 폭력에 희생된 사람들위에 지금 우리가 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