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9월 1일 ... 강준만 <노무현과 국민 사기극>

"우리 사회에 살다보면 차라리 중세의 귀족사회가 그리울 지경이다. 귀족들은 남다른 부귀와 공명을 누리는 만큼 충성과 봉사의 의무를 진다. 평소의 위세와 특권에 대한 보답으로 전쟁시 위험을 감수하고 앞장 서서 싸우러 나가는 것, 그것이 귀족을 귀하게 만드는 노블레스 오블리제이고, 귀족주의가 도덕적 정당성을 갖는 근거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의 신흥 귀족과 졸부는 부귀를 누리고 공명은 다하되, 의무는 면제 받으려 하고 책임은 기피, 사이버 귀족만 난무할 따름이다. 그래서 정말 존경할 만한 귀족을 만나고 싶다"     -황경식

"내가 아는 사람은 교수와 정치가와 기업인이 서로의 일을 바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권력 지향의 교수들이 정치가로 나서고, 돈에 사족을 못 쓰는 정치가는 기업인이 되고, 공부하고 싶어하는 기업인이 학자가 되면 우리 사회가 제대로 돌아갈 거라는 얘기다"  - 최성일 <베스트셀러 죽이기>

 

2002년 9월 2일 ... 필립 K .딕 <마이너리티 리포트>

 

 

 

 

2002년 9월 9일 ... 조지 오웰 <동물 농장>

 

 

 

 

2002년 9월 10일 ...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지구의 중력이 줄어들 경우) 대기는 습기를 더이상 유지할 수 없고 구름은 가라앉아 비를 뿌리며 빗물은 땅속으로 움직인다. (산이 자체의 중력을 늘릴 경우) 산들이 거대한 구름층을 끌어모아 봉우리에 고정, 구름층의 내적인 교전을 통해 안개와 비로 내린다"

"나는 이야기를 통해 잘 알려진 어떤 명물이 실제로 보면 보잘 것 없더라는 불평을 수없이 들어왔는데 그 이유는 언제나 똑같다. 상상과 현실의 관계는 운문과 산문의 관계와 같은 것이어서 운문이 사물을 강렬하고 급격하게 파악한다면, 산문은 언제나 평면으로 확산될 따름인 것이다"

"횃불 조명의 장점은 각각의 작품을 다른 모든 작품들과는 별개로 하나 하나 관찰하게 된다는 점이다. 관람자의 시선은 오로지 그 작품에만 쏠리게 되는 것이다. 강렬한 빛을 내뿜는 횃불 아래에선 작품의 모든 섬세한 뉘앙스가 훨씬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방해가 되는 모든 반사광선이 사라진다. 그림자는 더욱 짙어지고, 빛을 받은 부분은 더욱 밝게 드러난다"

2002년 9월 12일 ... 제프리 아처 <한푼도 더도 말고 덜도 말고>

 

 

 

 

2002년 9월 14일 ... 폴 오스터 <빵 굽는 타자기>

"한계를 넘으면 지푸라기 하나만 더 얹어도 낙타 등뼈가 부러진다"

 

 

 

2002년 9월 17일 ... 마누엘 푸익 <거미 여인의 키스>

"양성적 경향의 억압은 '여성성' '남성성'으로 대별되는 특권적인 역사, 문화적 개념을 강제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이 두 개념은 우리의 무의식적 충동을 억압, 우리의 의식 속에서 유일한 행동 형태로 자리잡음과 동시에 남성우위체제를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성, 여성이 되는 것은 타자에 의해 규정된다.

현대 사회에서 양성애자의 정체성은 확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양성은 이성애와 동성애만이 유일한 형태라는 부르주아 사회의 삶의 양태를 위협하기 때문이다"   -알트만

 

2002년 9월 19일 ... 조지 오웰 <카탈로니아 찬가>

"내일은 우에스카에서 커피를 마실 것이다" -함락되지 못한 우에스카에 대한 의례적 농담

 

 

 

2002년 9월 20일 ... 제인 오스틴 <설득>

 

 

 

 

2002년 9월 22일 ... <Girl with a Pearl Earring>

"Think of how you separated the whites. Your turnips and your onions, are they the same white?"

Suddenly I understood. "No. The turnip has green in it, the onion yellow "

"Exactly. Now what colors do you see in the clouds?"

"There is some blue in them, and yellow as well, and there is some green"

 

2002년 9월 29일 ... 에리히 프롬 <자유에서의 도피>

"인간은 자유를 획득하면 획득할수록, 그리고 한 개인으로 되면 될수록 자발적인 사람으로서 외부 세계와 그 자질을 결합시키든지 아니면 그의 자유와 개인적 자아의 통일성을 파괴시키는 외부세계와의 유대에 의해 안전감을 찾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인간이라는 불행한 피조물은 그가 타고난 자유의 선물을 가능한 한 빨리 양도해 버릴 상대방을 찾아 내고자 하는 간절한 욕구밖에 갖고 있지 않다"   - <까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대중이 바라는 것은 강자의 승리요, 약자의 절멸이 아니면 무조건 항복이다"  -히틀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년 8월 4일 ... 에리히 케스트너 <파비안>

 

 

 

 

2002년 8월 26일 ... 클라이브 루이스 <사자와 마녀와 옷장>

 

 

 

 

2002년 8월 26일 ... 이병주 <소설 알렉산드라>

 

 

2002년 8월 27일 ... 헨리 데이빗 소로우 <시민의 불복종>

'한 사람으로서의 다수'

- 단 한 사람이라도 도덕적으로 우위이면 다른 사람들을 이길 수 있다.

 

 

2002년 8월 28일 ... 위기철 <아홉살 인생>

 

 

 

 

2002년 8월 29일 ... 닉 혼비 <어바웃 어 보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년 7월 1일 ... 존 버거 <제 7의 인간>

 

2002년 7월 7일 ... 폴 존슨 <벌거벗은 지식인들>

 

 

 

 

2002년 7월 9일 ... 장정일 <장정일의 독서일기 5>

"전쟁에 패한 놈들이 승자의 음악을 받아들이곤 하는데 일본은 무조건 항복을 했기 때문에 재즈 같은 것을 무조건 받아들인 거야. 베트남은 미국에 이겼기 때문에 재즈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 무라카미 류 <리허설>

 

 

2002년 7월 13일 ... 조지 오웰 <1984년>

"옛날의 전쟁 기준으로 판단한다면 오늘날의 전쟁은 한낱 사기이다. 그것은 뿔의 각도가 달라 상대방에 서로 상처를 줄 수 없는 반추동물의 싸움과 같다. 전쟁은 지배 집단의 그 백성에 대한 싸움이며, 전쟁의 목적은 영토의 정복이나 반항이 아니라 사회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에 있다"

"하층 계급의  눈으로 보면 역사적 변화라는 것은 그들의 주인 이름이 바뀌었다는 것 외에는 아무 것도 아니다"

"평화성은 전쟁을, 진리성은 거짓말을, 애정성은 고문을, 풍부성은 아사를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모순은 신중한 '이중사고'의 행위 결과이다. 왜냐하면 모순을 조화시킴으로써만 이 권력을 영원히 장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층 계급의 영구한 지위 보전은 정신의 주조를 광적인 상태로 통제해야 한다"

 

2002년 7월 14일 ... KBS <역사 스페셜 2>

 

 

 

 

2002년 7월 15일 ... <역사스페셜 3>

 

 

 

 

2002년 7월 18일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백년 동안의 고독>

 

 

 

 

2002년 7월 20일 ...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2002년 7월 21일 ... <서양문화사>

 

2002년 7월 22일 ...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2002년 7월 24일 ... 에르네스트 만델 <즐거운 살인>

 

 

 

 

2002년 7월27일 ...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세계사의 중요한 사건과 인물은 두 번 나타난다. 한번은 비극으로, 다음번은 희극으로"  -마르크스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있다. 그러나 결코 정당한 것은 아니다"  -한나 아렌트

"민주주의란 자신이 좋아하는 의견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의견을 인정하는 것이다"  -액튼 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년 6월 2일 ... 도스토 예프스키 <죄와 벌>

 

 

 

 

2002년 6월 4일 ... 탁석산 <오류를 알면 논리가 보인다>

 

 

 

 

2002년 6월 5일 ... 박완서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2002년 6월 6일 ... 이동현 <이슈로 본 한국 현대사>

 

 

 

 

2002년 6월 10일 ... 키에르케고르 <죽음에 이르는 병>

 

 

 

 

2002년 6월 12일 ... 마르크스 엥겔스 <공산당 선언>

 

 

 

 

2002년 6월 14일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롤리타>

 

 

 

 

2002년 6월 16일 ...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2002년 6월 21일 ... 장정일 <장정일의 독서일기 1>

 

 

 

 

2002년 6월 22일 ... <경주의 문화 유산을 찾아서>

 

2002년 6월 24일 ... 이만교 <결혼은, 미친 짓이다>

 

 

 

 

2002년 6월 25일 ... KBS <역사스페셜>

 

 

 

 

2002년 6월 26일 ... 슈테판 츠바이크 <체스/아내의 불안>

 

 

 

 

2002년 6월 27일 ... <노아 노아>

히나(달의 신)가 테파투우(지구의 신)에게 "죽은 사람을 소생시켜 달 라"고 하자 "싫다.사람도 식물도 죽는다. 지구도 죽어서 종말이 오며 영원히 소생은 없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달의 신이 소유하는 것은 생존하고, 지구의 신이 소유하는 것은 멸망한다. 사람은 죽을 수밖에 없다.

 

2002년 6월 29일 ... 공선옥 <오지리에 두고 온 서른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년 5월 7일 ... 살만 루시디 <악마의 시/상>

 

 

 

 

2002년 5월10일 ... 살만 루시디 <악마의 시/하>

 

 

 

 

2002년 5월 12일 ... 김중미 <괭이부리말 아이들>

 

 

 

 

2002년 5월 14일 ... 전혜린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2002년 5월 16일 ... 신경림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2002년 5월 17일 ... 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2002년 5월 18일 ...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2002년 5월 19일 ...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서서>

 

 

 

 

2002년 5월 20일 ... 최영옥 <클래식 아는 만큼 들린다>

 

 

 

 

2002년 5월 22일 ... 이덕희 <전혜린>

 

 

 

 

2002년 5월 23일 ... 이상경 <인간으로 살고 싶다>

 

 

 

 

2002년 5월 25일 ...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1>

 

 

 

 

2002년 5월 26일 ... 마르뗑 뒤가르 <회색노트>

 

 

 

 

2002년 5월 27일 ...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2>

 

 

 

 

2002년 5월 31일 ... 일연 <삼국유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