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아름다운 괴물이 저 자신을 괴롭힌다 - 읻다 시 선집
폴 발레리 외 지음, 윤유나 엮음, 김진경 외 옮김 / 읻다 / 2018년 9월
평점 :
-20230107 읻다 시 선집.
아주 많이 울던 즈음이다. 울다 울다 지쳐서 문득 올려다 본 책꽂이에 이 책이 있었다. 제목만 보고 무슨 책인지도 모르고 그냥 사둔 알록달록한 책을 맨 뒤쪽에서부터 펼쳐 보았다.
희망, 이라는 시에서 루쉰이 이렇게 말해주었다.
- 절망은 허망이다. 희망이 그러함과 같이.
망 망 망이 세 번이나 들어가는 이 말이 진짜 망했어, 하는 중인 나에게 위안이 되었다. 이 말을 읽고 나서는 조금 덜 울게 되었다.
책의 제목은 기욤 아폴리네르의 시에서 따왔다고 한다.
-나는 일요일의 휴식을 살핀다
게으름을 찬양한다
감각들이 내게 떠넘기는 저 끝없이 미미한 지식을
어떻게 어떻게 줄여야 하는가
감각은 산이다 하늘이다
도시다 내 사랑이다
감각은 사계를 닮는다
그것은 목이 잘린 채 산다 그 머리가 태양이고
달은 그것의 잘린 목이다
나는 끝없이 뜨거운 시련을 겪고 싶다
청각의 괴물인 네가 포효한다 울부짖는다
천둥이 네 머리칼을 대신하며
네 발톱이 새들의 노래를 반복한다
괴물 같은 촉각이 파고들어 나를 중독시킨다
눈은 내게서 멀리 떨어져 헤엄친다
범접할 수 없는 별들은 시련을 겪지 않은 지배자들이다
연기로 된 짐승은 머리가 꽃피었다
월계수의 풍미를 지니고서
가장 아름다운 괴물이 저 자신을 괴롭힌다
(기욤 아폴리네르, <나는 일요일의 휴식을 살핀다>전문)
시를 잘 모르는 나에게 이전부터 번역 시는 더 어렵게 느껴졌다. 그런데 이 시집은 정말 좋았다. 여러 번역자들이 여러 시인의 시를 골라 엮었고, 김연수의 소설집 ‘이토록 평범한 미래’에서 잠시 스친 미야자와 겐지의 <비에도 지지 않고>도 실려 있어서 괜히 반가웠다.
특히 최성웅 번역가가 옮긴 폴 발레리, 기욤 아폴리네르의 시가 좋아서 번역가에 대해 검색을 해 보았다. 이 시집을 기획하고 여러 시집들을 번역 출간하는 출판사도 꾸렸다고 했다. 내 동갑내기 번역가가 옮긴 시집들이 더 궁금해져서 사려고 하니 대부분 절판…중고판매자들은 정가보다 아주 비싸게 팔고 있어…아쉬운 대로 행복사전, 이라는 어린이책이랑 이 시집 중고를 누구한테든 선물해야지, 하고 두 권 더 샀는데 너무 꼬질꼬질한 것들만 와버렸다…우주점 너마저…
내 후진 말 대신 오래도록 다듬어진 말들로 순간을 그려주지, 하는 듯한, 대부분 이미 죽어버렸을 시인들이 남긴 시들을 나는 감사히 읽었다. 곁에 두고두고 힘이 많이 들면 펼쳐 봐야겠다. 글렀도다, 하다가도 까마귀가 내 방 문간에만, 내 마음 속에만 살지는 않았구나… 하며 굽이굽이를 넘어갈 수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