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끈’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산악인 박정헌이 쓴 촐라체 북벽 등반기이다. 바로 그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이 소설은 현실과 가상의 이야기가 절묘하게 얽혀져 있는 인간 드라마이다. 생존기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조 심슨’의 ‘친구의 자일을 끊어라’가 오직 생존과 귀환의 문제를 사실 그대로 추적하고 있다면 이 책은 소설적인 상상을 통해 생존과 실존의 문제를 정밀한 그물망처럼 엮어간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작가가 굳이 이 소설을 산악소설이 아니라고 한 이유를 잘 모르겠다. 그건 아마도 단순히 정상을 정복하고 내려오는 일련의 과정을 다루는 다큐멘터리가 아니라는 뜻 정도로 짐작하는데, 저 일본의 ‘빙벽’이나 ‘자일파티’같은 수준 높은 산악소설을 갖지 못한 우리로서는 작가의 뜻과는 다르게 이 소설을 산악소설의 범주에 두어도 좋겠다는 생각이다. 등산은 무상의 행위라고 한다. 알피니즘의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로서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목숨을 걸고 산을 오르는 행위를 그들만의 미친 짓 정도로 치부하였다. 동양적인 관습은 둘째 치고라도 먹고살기에도 바쁜 사람들은 어쩌면 알프스를 넘고 히말라야를 넘어가는 것보다 어려운 현실에서의 삶을 해결하기에도 벅차고 바빴던 것이다. ‘무상의 행위’나 ‘알피니즘’이라는 말 속에는, 산을 오른다는 것은 육체의 문제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내면과 실존에 문제에 다다르게 될 수밖에 없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생각해보라. 단 몇 시간 혹은 몇 날의 흥분과 희열을 위해서 목숨을 거는 운동이나 행위가 있겠는가. 보험도 안들어 주는 일에. 하지만 오늘날의 알피니즘은 상업화와 ‘이즘’의 실종으로 일종의 경기나 오락으로 전락해가고 있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던 차에 등장한 ‘촐라체’는 속빈 강정같은 시대 그리고 말라 비틀어져가는 알피니즘에 뿌려지는 단비같은 것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표현대로 ‘존재의 나팔소리’ ‘불가능해 보이는 꿈’ 그리고 ‘불멸’에 대한 이야기들을 읽어본 적이 언제였나 싶다. 너무도 무디어져서 읽어버린 듯한 그런 언어들, 그저 나이 먹고 늙어가는, 좀스럽고 두려움에 시달리는 우리들에게 보다 원초적이고 궁극적인 내면의 목소리를 이 책은 들려 주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독자로서는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도 있었다. 정상을 향해 피켈을 휘두르는 행위의 이면에는 꼭 어둡고 추운 그늘만이 있어야 하는 것일까 하는 일종의 딴지걸기. 주인공 박상민은 사업에 실패하여 사기죄로 몰려서 투옥되고 이혼하게 되는 처지였고, 하영교는 자신의 아버지가 부담하여야 할 빛 독촉에 시달리다 채권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바람에 도망쳐온 상태고, 또 다른 주인공인 화자도 느닷없이 나타난 아들이 중이 되겠다고 하는 등 하나같이 우울한 인생들인 것이다. 그런 그들이 찾아간 소도는 히말라야. 그들은 촐라체를 오르면서 그들에게 씌여 있는 어둠의 실체를 확인하게 되는 데..........단순한 등산이라는 행위에 이처럼 너무 많은 인생사를 얘기하려고 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어쩌면 산을 마주하고 피켈을 휘두르는 행위는 삶에 있어 가장 쉬운 일 중의 하나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것은 현실에 맞서지 못하고 외면하는 일종의 현실도피이므로. 이 소설의 실제 모델인 박정헌은 어느 인터부에서 말한 바 있다. 산을 내려와서의 느낌은 어떤가하고 물었을 때 “솔직히 두렵다. 이제 현실세계 속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현실의 세계는 저 험한 산을 넘어가는 것보다 어쩌면 훨씬 힘들므로.......”.
각설하고, 산을 더 없이 좋아하고 이 책처럼 묵직한 내면의 울림을 주는 이야기들을 좋아하는 독자로서는 소설 ‘촐라체’가 반갑기 그지없다. 그러나 얄궂다.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이 소설을 다 쓰고서 나를 단단히 붙들고 있던 히말라야에서 비로소 놓여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했는데 반면에 독자로서는 이 책을 읽고 나서 가슴 저 밑으로부터 묵직하게 올라오는 어떤 실체없는 불안감들이 이제 넘어가야할 촐라체처럼 다가오고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