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기행 - 나는 이런 여행을 해 왔다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4월
절판


모든 사람의 현재는 결국 그 사람의 과거의 집대성이다. 그 사람이 일찍이 읽고 보고 듣고 생각하고 느낀 모든 것, 누군가와 나눈 인상적인 대화의 전부, 마음속에서 자문자답한 모든 것이 그 사람의 가장 본질적인 현존재를 구성한다. 숙고한 끝에 했던, 혹은 깊은 생각 없이 했던 모든 행동, 그리고 그 행동들에서 얻은 결말에 반성과 성찰을 보탠 모든 것, 혹은 획득된 다양한 반사반응이 그 사람의 행동 패턴을 만들어 간다. 인간 존재를 이렇게 파악한다면,한 사람을 전반적으로 형성하는 요인으로서 여행이 얼마나 커다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일상에 지배되는 패턴화된 행동(routine)의 반복에서는 새로운 것이 아무것도 생겨나지 않는다. 지성도 감성도 그저 잠들어 있을 뿐이고 의욕적인 행동도 생겨나지 않는 것이다. 인간의 뇌는 지ㆍ정ㆍ의 모든 면에서, 일상화된 것은 의식 위로 올리지 않고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렇게 처리된 것은 기억도 되지 않게끔 되어 있다. 의식 위로 올라가 기억에 남는 것은 ‘색다름(novelty)’의 요소가 있는 것뿐이다. 여행은 일상성의 탈피 그 자체이므로 그 과정에서 얻은 모든 자극이 ‘색다름’의 요소를 가지며, 따라서 기억이 되는 동시에 그 사람의 개성과 지 ㆍ정ㆍ의 시스템에 독창적인 각인을 새겨 나간다. 그러므로 여행에서 경험하는 모든 일들이 그 사람을 바꾸어 나간다. 그 사람을 고쳐서 새롭게 만들어 나간다. 여행 전과 여행 후의 그 사람이 같은 사람일 수 없다. 여행의 의미를 조금 더 확장하여 우리의 일상행활조차 무수한 작은 여행의 집적으로 파악한다면, 사람은 무수한 작은 여행 혹은 ‘커다란 여행의 무수한 작은 구성요소’가 가져다주는 작은 변화의 집적체로서 부단히 변화하고 있는 존재라고 해도 좋다. -30페이지 앞뒤?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