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장난>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못된 장난 ㅣ 마음이 자라는 나무 22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청소년의 문화에 대해서 과연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그들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우리는 공감하려고 노력하고 있는가?
예전과 달리 극단까지 치닫는 청소년범죄나 청소년문제에 대한 보도를 접할 때면 그들을 이해하기 위한 부모교육이나 사회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실업학교에서 독일의 명문기숙학교 에를렌호프 김나지움에 장학금을 받고 전학가게 된 스베트라나는 자신의 학구열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어서 행복하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부모님을 행복하게 해드리고자 하는 너무나 착하고 건전한 아이이다. 너무나 착하고 건전하기에 선생님의 마음에 쏙 들어 칭찬받을만한 학생이라는 점이 불행의 시작이다.
아이들은 스베트라나가 열심히 노력하는 학생이라는 점을 비웃고, 자신들과 달리 기숙사에서 생활하지 않고 통학을 하는 학생이라는 점을 두고 은근한 따돌림을 시작한다. 스베트라나가 선생님들의 칭찬을 받을 때마다 상대적으로 자신들의 능력이 비하되며 학습의 수준이 높아진다며 불평한다. 물론 교사들은 전혀 눈치채지 못하게 감쪽같이 그들만의 결속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따돌림은 아이들이 스베트라나의 핸드폰으로 이상한 메시지를 보내오고, 자신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사이버공간을 만들어 스베트라나에 대한 영상테러 등을 실시하면서 심각해진다. 이른바 '사이버스토킹'이 된 것이다.
스트라베나는 나름대로의 해결책으로 그들과 같아지기 위한 일련의 행동들을 시작한다. 그들과 같아지기 위해서 쇼핑센터에서 유명상표의 옷과 화장품을 훔치는 것이다. 스트라베나에게는 불운하게도 스트라베나의 엄마가 남학생 기숙사의 청소부로 취직한다. 아무도 모르리라고 생각했지만 아이들 모두가 알게 되고 이 사실 또한 놀림감이 된다.
상황이 점점 악화되는 가운데 다행스럽게 누구에게나 공정하게 대할 줄 아는 라비가 선생님들께 사실을 말하게 된다. 하지만 스트라베나는 이 모든 상황이 드러나는 것을 감당할 수 없어서 죽음을 결심하고 기찻길에 누워있게 된다. 다행스럽게도 누군가에 의해 발견되고 스트라베나는 소아 청소년 정신과로 옮겨진다.
이야기의 내용 전부는 스트라베나가 병원에서 치료의 과정으로 자신에게 일어난 모든 일을 글로 쓰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스트라베나에게 ‘못된 장난’을 일삼는 아이들이 가혹하다는 생각에 그 아이들에 대한 분노가 치민다. 하지만 그들이 그런 마음을 먹게되는 데에는 그들을 괴롭히는 또 다른 원인들, 가정불화, 부모의 이혼, 부모의 무관심 등등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결국 스트라베나를 괴롭힌 것은 궁극적으로 생각하면 어른들의 잘못 탓인 것이다.
아이들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사실은 부모세대들이 원인이라는 반성을 갖게 해주는 이야기이다.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 알게 모르게 아이로서, 학생으로서의 의무만을 강조하고, 그들의 자유나 그들의 관심사에 대해서는 단지 어른이라는, 부모라는 이유만으로 묵살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