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자연사 박물관 - 진화의 역사를 한눈에 보여 주는
박종배 그림, 이융남 감수 / 바다어린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러시아 자연사 박물관이 러시아가 소장한 가장 값진 화석 아기맘모스 디마를 데리고 한국에 왔다. 일부 전시물들만 온 것 이지만 이렇게 값진 화석들을 실물로 볼 기회가 드문 우리 아이들에겐 좋은 기회이다.


  이 전시와 시기를 같이 맞추어 기획한 이 책은 그래서 더욱 값지게 활용할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지구의 탄생 순간부터 시작된다. 선캄리브리아누대-고생대-중생대-신생대까지 46억년 지구의 자연사를 시대순으로 쓰고 있다.
  먼저 시대에 대한 정의와 당시의 지구환경에 대한 설명, 새로 나타난 종에 대한 설명이 있다. 다음에는 화석들의 실물사진과 함께 그 화석들이 생존했을 당시의 모습을 복원한 그림을 보여주는데 그림이 부드러우면서도 사실적인 수채화라서 보기에 편안하다. 이들에 대한 설명은 그들이 생겨날 수 있었던 환경요인, 그들의 먹이, 생김새와 생존환경과의 연관성, 지구에서의 생존범위등을 마치 동화를 읽어주는 듯한 어조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학자들의 의견이나 자연사에 미치는 영향이나 중요도등도 써주고 있어 그저 고만고만한 어린이 책이라고 할 수는 없는 좋은 자료이다.
  책을 계속해서 읽어나가다 보면 좀 더 발달된 종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어떠한 발달특성으로 좀 더 분화된 동물이라고 칭하는 지 인지할 수 있어서 상당히 높은 차원의 생물학적 기반을 다질 수 있다.
  아이들은 역시 지구에서 멸종해버렸다는 공룡 페이지에서 오래 머문다. 그들의 크기의 거대함을 자꾸만 현실적으로 알고 싶어한다. 타르보사우루수는 최대크기가 14미터에 이르는 공룡이다. 아이는 14미터가 어느 정도인지 자꾸만 물었다. ‘농구선수처럼 큰 사람이 2미터니까 아주 큰 사람 일곱사람이 쭉 맞대고 누운 만큼 길고 큰 거야.’ 글쎄다. 아이가 더는 묻지 않았지만 사실은 나도 길이가 14미터인데다가 덩치도 어지간할 공룡을 생각하는 건 조금 어렵다.

  책이 보여주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전시관람이다. 전시장에 가서 본 타르보사우루스는 두개골 크기만으로도 우리를 질겁하게 했다. 전시된 화석과 골격 등도 다 책 속에서 한번 본 내용이라 아이가 굳이 전시팻말을 설명을 일일이 읽지 않아도 이름을 알고 있으니 아주 편안한 마음으로 전시를 즐길 수 있었다.
  빠뜨릴 수 없는 디마. 책에서 본 사진 그대로의 모습이었지만, 실제로 보니 그 홀쭉한 배와 그대로 남아있는 살과 종아리부근의 털들이 너무도 슬퍼보였다. 3만8천년의 세월을 거슬러 온전한 모습의 자신을 보여주는 디마는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온 것만 같았다. 멸종과 번성이 되풀이 되며 46억년을 지내온 지구. 수많은 생물의 삶의 터전이자 죽음의 장이었던 지구. 지금은 우리 인간이 주인인양 사는 지구...... 

* [러시아 자연사 박물관전]은 대부분의 전시물이 사진촬영금지물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사진이 들어있는 책이 전시전 사전학습에서 전시후 되새김에도 필요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마 2008-01-28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러시아 자연사 박물관전 카페 입니다.
이 포스트를 담아가겠습니다^^

현재 러시아 자연사 박물관전 카페에서
관람 후기이벤트를 진행하오니 참여하시고 경품 받으세요^^

http://cafe.naver.com/natural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