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말아요, 티베트>를 리뷰해주세요.
-
-
울지 말아요, 티베트 - 히말라야 넘어 달라이라마를 만나다 ㅣ 맛있는 책읽기 6
정미자 지음, 박선미 그림 / 책먹는아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주권을 빼앗기고, 말을 빼앗기고, 풍속을 지켜내기 어렵던 시절이 우리나라의 역사에 있었다. 일제식민치하에서 였다. 이런 고통을 지금 겪고 있는 나라가 있다. 척박한 땅 희말라야에서 종교만이 최고의 덕목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티벳사람들이다. 중국에 주권을 빼앗기고 망명정부가 인도에 있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독립운동과 자국민의 현실을 세계 사회에 알리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 중이다.
작가는 티벳의 현실을 어떻게 하면 피부에 와닿게 독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 고심한 것 같다. 그리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바로 옆에서 본 모습을 전달하고자 티벳 사람들과 함께 희말라야를 넘는 두 주인공을 만들었다. 취재차 나선 보건이 아빠와 보건이가 희말라야를 넘는 사람들의 실제를 체험하기 위해 그들과 동행하여 희말라야를 넘는 것을 시작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희말라야의 봉우리를 정복하는 것이 산악인들의 도전이니 전문가가 아니 사람들이 희말라야를 넘는 것이 얼마나 무모하고 힘든 일일지는 짐작하고도 남을 것이다. 그러나 달라아라마를 만나겠다는 그들의 의지는 험준한 희말라야를 넘게 한다. 희말라야의 험준한 산세와 추위, 그리고 어린 아이 하나쯤은 눈 깜짝할 사이에 데려가고 마는 희말라야의 돌풍 속을 지나게 하는 것은 바로 그들의 숭고한 종교적 의지이다. 희말라야보다도 그들을 더 괴롭히는 것은 총부리를 겨누고 기다리고 있는 중국공안들이다.
초펠가이드의 안내를 따라 목숨을 담보로 희말라야를 넘으면서 그들은 동료들을 잃는다. 눈깜짝할 사이에 돌풍에 휩쓸려간 텐진, 희말라야의 흰 눈을 붉게 물들인 돌마여스님이다. 역경은 사람을 강하게 한다. 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희말라야를 넘은 사람들은 세계에 알릴 카메라 앞에 당당하게 설 용기를 낸다.
또다른 형태의 야만의 모습이다. 그것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같은 인간을 핍박하는
어린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건이가 몸이 약해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했던 현석이에게 당당하게 친하게 지내지 못하고 친구들의 눈치를 보며 자신도 현석이를 따돌리는 반친구들의 편에 서서 편하게 있었던 것을 티벳의 안쓰러운 현상황을 모른 채 하는 세계의 상황과 맞물리게 했다. 교실안에서 벌어지는 일처럼 세계 사회에도 그런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아버지의 티벳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계기로 보건이도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용기있게 실천할 것을 다짐한다.
약자의 편에 설 수 있는 용기를 가르쳐주고, 나라사랑의 중요성을 가르쳐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