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브랜드는 매년 4월에 미국 최고의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을 메디슨 스퀘어 가든Madison Square Garden에 한데 모아 경기를 펼치는 조던 브랜드 클래식을 후원하며 고교 농구계에서도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과거 이 행사에 참여한 참가자 중에는 NCAA에서 크게 명성을 떨친 선수가 많으며, 크리스 폴 역시 이에 포함된다. 2009년 경기에는 ESPNU(스포츠 전문 유선 방송인 ESPN에서 운영하는 대학 스포츠 전문 채널)가 선정한 전미 최고의 선수 100명, 어쩌면 훗날 NCAA 무대에서 볼지도 모르는 이 많은 이름 중에서 다섯 손가락에 드는 선수들이 참가했다.


자비에 헨리Xavier Henry, 데릭 페이버스Derrick Favors, 드마커스 커즌즈DeMarcus Cousins, 존 헨슨John Henson, 레나르도 시드니Renardo Sidney가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2009 조던 브랜드 클래식의 하프타임은 <Locked Up>과 <Smack That>이란 곡으로 유명한 힙합 가수 겸 음반 제작자 에이콘Akon이 장식했다. 조던 브랜드 사람들은 SRC 유니버설 모타운(SRC Universal Motown, 유니버설 레코드와 모타운 레코드의 합병으로 탄생한 음반 제작사) 출신 레코딩 아티스트의

등장이 이 연례행사를 새로운 수준으로 이끌었다고 믿는다.


조던 브랜드의 연예오락 분야 마케팅을 총괄하는 레지 샌더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진실한 음악과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을 창조한 에이콘의 재능은 이 행사를 멋진 경험으로 탈바꿈시키고 조던 브랜드 클래식을 완전히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지금까지 조던 브랜드는 매장 내 마케팅을 비롯하여 소비자, 지역 사회, 유명 인사를 내세운 여러 가지

행사와 www.Jumpman23.com 웹 사이트의 각종 디지털 요소를 하나로 모은 ‘전설이 되어라 Become Legendary’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내세웠다. 이 활동의 일환으로 조던 브랜드는 2009년 10월에

청소년들에게 협동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내용의 광고를 시작했다.


이 광고에서는 협동심을 중요시하는 조던의 정신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다. ‘전설이 되어라’ 캠페인의 TV 광고에는 드웨인 웨이드, 크리스 폴, 데릭 지터, 그리고 카멜로 앤서니Carmelo Anthony가 등장한다.


이 영상은 진정한 팀을 완성하고 궁극적인 성공을 이루기 위해 달리는 선수들의 모습을

다양한 시각·청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드러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은 경영자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지표다. 이 지표에는 기업의 실제 지출

정확하게 반영된다.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 경영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영업외 비용을 포함한 총비용 중 매출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이 하락하면 수익은 상승한다. 그러므로 총비용대비 원가비율을 낮추는 것은

모든 기업이 안고 있는 과제이다.



조지 소로스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투자자 중 한 명이다. 파운드화를 공격해 동남아 금융위기를 일으킨 장본인으로 지목되면서 ‘월스트리트의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소로스는 리스크 높은 상품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올리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투자로 유명하다. 때문에 그는 세계적인 벤처캐피털 투자의 대표인물로 꼽히기도 한다. 소로스가 지금껏 수많은 신화를 창조한 것이 불가사의하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높은 리스크를 감수해 고수익을 얻는 것은 매우 위험한 투자다. 자칫 스스로 불구덩이에 뛰어들어 산산이 재가 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그런데 소로스의 투자 경력이 많은 사람에게 놀라움과 부러움의 대상이기는 하지만 그의 투자가 전설처럼 매번 높은 수익을 올린 건 아니었다. 불구덩이에 빠져 거의 몸이 타버릴 위기에 처한 적도 여러 번 있었다. 2005년 소로스가 3억 달러를 투자해 일본에 설립한 헤지펀드 에이후쿠가 파산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투자가 실패한 건 소로스가 리스크를 적절히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도한 투기성 투자로 에이후쿠는 단 7일 만에 투자금의 98퍼센트를 날려 결국 파산을 선언했다. 소로스의 실패는 그가 줄곧 고수해온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을 관리해 수익을 거두던 투자방식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 소로스는 원가 관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가다. 그는 투자도 기업경영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투자를 하기 전 원가를 계산하고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을 관리한 후 투자 결정을 내렸다. 그래야 투자에 실패해도 다시 재기할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기업이든 소로스처럼 철저히 원가를 관리하면 크게 실패하는 일은 없다.

기업이 생산과 경영에 투입되는 비용을 낮추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총비용대비

원가비율의 관리이다. 경영학에서 이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생산 및 경영의 원가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면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기업의 생산 및 경영비용을 감시, 감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있어야 총비용 대비원가비율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셋째, 생산과 경영 과정에서 발생한 예상하지 못한 초과 비용이나 낭비신속하게 개선하는 일도

총비용대비원가비율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밝히고 책임 소재를

규명한 뒤, 이에 따른 ‘손실’을 찾아 개선함으로써 원가 통제가 철저히 이뤄지게 해야 한다. 또한

중대한 오차를 만드는 단계나 항목을 신속하게 조정하고 수정해야 그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낭비를 이익으로 변화시키는 [디테일 경영] 207 페이지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나이키 ] 나이키 광고 속 이야기

 마음을 움직이는 메시지, Just do it 

 

 

 

 

음에 필 나이트는 광고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나이키 제품을 알리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한 가지가 뭐든 간에 ‘일단 해보는 것’임을 분명히 깨달았을 것이다. 그리고 나이키는 더욱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며 광고를 통해 처음부터 그 방법을

정확히 실천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한 광고 영상은 시간과 과학기술을 융합하여 2008년 베이징 올림픽대회에 출전한 미국 남자 농구 국가대표 선수들과 20년도 더 전에 세상을 뜬 가수 마빈 게이Marvin Gaye를 하나로 이어준다. 이 광고에는 마빈 게이가 1983년 NBA 올스타 경기에서 미국 국가인 <별이 빛나는 깃발The Star Spangled Banner>을 부르는 감동적인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노래하는 그의 모습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이 전력을 다해 경기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화면에는 선수들이 신은 나이키 운동화가 커다랗게 비치고 ‘Just Do It’이라는 문구가 등장하며 이 멋진 광고는 완벽하게 끝을 맺는다. 

height="304" src="http://www.youtube.com/embed/rbZTmcIfdBQ?rel=0" frameBorder="0" width="540" allowfullscreen="">

 

나이키의 광고는 많은 이의 주목을 받는 운동선수, 혹은 디자이너의 뛰어난 감각과 재능을 화면 속에 잘 녹여내기로 유명하다. 또한 언제나 마음을 움직이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늘 소비자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다가가기 위해 오랜 세월에 걸쳐 변신을 거듭했다. 

 

“나이키식 캠페인의 강점은 이 회사가 항상 브랜드로서 자신의 본질을 잘 이해하고

집단 전체가 그들의 대상 고객에 대해 잘 안다는 데 있습니다.

 

드비어스는 1988년에 등장한 ‘Just Do It’ 광고를 보며 처음으로 나이키의 광고에 주목했다고

한다. 마음을 움직이는 그 메시지가 스포츠 세계 너머까지 영향을 주었다는 그의 생각은 비단

그 혼자만의 견해가 아니다. 그가 믿는 바는 이러하다.

  

#기업과 소비자의 이상적인 공동체를 설립하려는 경우, 광고에서 브랜드 자체만을 다루지 않고

소비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것이 브랜드를 경영하는 동시에

지지자들을 얻는 바람직한 방법이지요. 그 점에서 나이키는 모든 브랜드가 따라야 할 모범과 같습니다. 

 

단지 제품 판매 측면에서 그렇다는 말이 아닙니다. 브랜드의 본질을 토대로 삼아 실질적으로 고객의 삶을 향상시키고 거기에 이바지하는 환경 구축한 점에서 본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런 환경이 형성되면 광고에 주목한 소비자의 삶에는 그 행동에 상응하는 가치가 되돌아가거든요. 그렇게 우리 삶을 발전시키고 혜택을 안겨주는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소통이 늘 있는 일은 아니에요.# 

 

열정으로 시작해 꿈이 된 기업 [나이키이야기] 40페이지 본문 中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경제경영추천도서디테일경영] 기업을 죽음에 빠뜨리는 치명적인 독, 낭비

 


우수한 기술과 원대한 발전전략이 있었지만 심각한 낭비 때문에 파산 지경에 몰린 기업들이 적지 않다. 세계적인 경영학자 짐 콜린스 “낭비는 기업을 죽음에 빠뜨리는 가장 치명적인 독”이라고 했다.낭비가 기업에 얼마나 심각한 해를 끼치고, 절약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한 말이다.

 

낭비는 경영자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다. 특히 저성장, 저수익 시대에 낭비를 줄이지 못한 기업은과도한 경영비용으로 도태될 수밖에 없다. 디테일 경영 외에는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다. 

 

디테일 경영의 기본은 전문화다. 생산과 경영의 각 단계가 전문적 수준에 도달해야

관리의 질이 높아지고, 디테일 경영을 위한 탄탄한 기반이 생긴다.  

 

기업을 관리하고 경영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유한한 자원으로 최대한의 이익을 얻기 위함이다. 동일한 조건에서 디테일 경영을 실천하려면 우수한 인재들을 집중 배치하고 무의미한 낭비를 없애야 한다. 다시 말해 집중적이고 전문화된 관리를 통해 자원이용률을 높여야 한다. 중국의 유명한 경제학자인 우징롄吳敬璉은 저장浙江과 닝보寧波지역의 민영기업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자원 부족 전문성 결여를 그들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그리고 그 해법으로 디테일 경영 적극적 실천 제안했다.  

 

특히 제품 설계와 핵심 기술, 마케팅 및 서비스 분야에 전문성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전문 경영인이 효율성 높은 경영을 해야 한다.  

 

 

 첫째, 전문경영인을 확충해야 한다. 전문경영인을 충분히 확보해야 기업의 전문성이 향상된다.

유능한 전문경영인은 기업 발전의 청사진을 만들고, 경영능력을 발휘해 체계적으로 발전시킨다. 기업은 누가 경영하느냐에 따라 발전 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기업을 소유한 사람보다 전문경영인이 경영할 때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둘째, 시장 흐름에 뒤처지지 않게 노후설비를 빠르게 교체하고 기술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그래야 기업의 전문성이 좋아져 디테일 경영을 실현할 수 있다. 

 

셋째, 전문성 강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다. 확고한 의지와 용기 없이는 기업의 전문성을 높일 수 없다. 중국 기업들은 막 확장형 발전모델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생산설비와 경영방식이 아직 과거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가 많다. 확장형 시대의 그림자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디테일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목표를 정하고 과감하게 추진하는 개혁이 필요하다. 디테일 모델로 전환되어야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춘 탄탄한 기업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 

 

 

낭비를 이익으로 변화시키는 [디테일 경영] 149 페이지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법을 파는 이야기꾼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한 부류는 비법을 먼저 사용하여 정원이 딸린 집과 외제차를 소유하고 있는 이야기꾼들이다.

다른 한 부류는 그들을 옆에서 관찰하고 연구해 공통점을 찾아낸 다음, ‘법칙’ 따위의 이름을

붙여 책을 찍어 내는 이야기꾼들이다.


재테크 시장에서 가장 조심해야 할 이야기꾼은 자신이 사용했던 비법을 파는 이야기꾼들이다.

그들은 “당신은 할 수 있다! 자신감을 가져라!”라고 외치며 위험이 가득한 재테크 시장으로

사람들의 등을 떠민다. 이들은 “나도 했으니까 당신도 할 수 있다”라고 말하면서

사람들의 자신감을 극단적으로 끌어올린다.


문제는 이들이 정원이 딸린 집과 외제차를 소유하게 된 비법들 대부분이 러시안룰렛게임과 같은

위험천만한 방법이거나 정떨어진 애인의 애교처럼 예전에는 통했지만 이제는 통하지 않는

낡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당신이 어떤 마피아 보스의 초대로 방아쇠를 한 번 당길 때마다 100억 원을 벌 수 있는 러시안룰렛게임에 참가하게 됐다고 가정해 보자. 물론 당신은 총알이 장전된 권총을 자기 머리에 대고 방아쇠를 당기는 위험천만한 짓은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내 이야기 속의 당신은 방아쇠를 당긴다.

‘탕!’ 다행히 총알은 발사되지 않았다. 당신은 살아남았고, 100억 원을 손에 쥐게 되었다.

  

마피아 보스曰“용기가 대단하군. 한 번 더 시도하면 이번에는 200억 원을 주겠네.” 

당신은 과연 다음 방아쇠를 당길 수 있을까? 당신이 다음 방아쇠를 당길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밖에 없다.‘미치거나, 목숨이 두 개이거나.’

 

하지만 당신은 미치지 않았고, 목숨도 하나이기 때문에 절대로 다음 방아쇠를 당길 수 없다.

그래서 이야기꾼들은 비법을 판다. 다음 방아쇠를 당길 수가 없는 것이다. 그들이 방아쇠를

당겨 벌어들인 돈과 당신이 직장에서 하루 종일 일해서 벌어들이는 돈으로 할 수 있는 일은 같다.

 

정원이 딸린 집을 살 수도 있고, 외제차를 살 수도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러시안룰렛 게임에서

살아남은 이야기꾼들에게 열광하고, 방아쇠를 당겨도 살아남을 수 있는 그들의 비법을 알고 싶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