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언을 한 것 같다.
난 이상하게도 못된 버릇이 있다.
상대방을 쿡쿡 찔러보려는 나쁘고 못된 버릇 말이다.
상대방의 핵심을 쿡쿡 찔려보는 게 왠지 모를 <희열>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그러면, 상대는 일단 입을 굳게 다문다. 입술을 깨문다. 침묵한다. 머뭇거린다. 말을 아끼고 2초의 정적이 흐른다.
그게 상대방의 핵인지 핵심인지가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
나 스스로가 그런 같잖은 실언으로 상대방에게 상처와 부담감을 안겨주지 않았나.하는 것이 이 대화의 본질이고 출발점인 것이다.
오늘도 상대에게 직설적으로 내가 한 번, 두 번 주시하고 미리 앞서 예단하고 섣부른 판단만으로 상대방의 핵을 쿡쿡 찔러보았던 것이다.
순간, 아. 또 실언을 했구나. 내가 왜 시궁창 쓰레기 같은 말을 내뱉어서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거지라고 좌절했다.
근데 돌아보니, 그런 경험은 실제로 그렇게 많지는 않다.
아주 가끔이다. 그런 경우는 내가 상대방에게 호감과 호의를 가지고 있는 경우고 나아가 관계를 발전시킬려고 조금 스무스하게 대화를 풀어나가려는 일종의 나만의 제스처인 셈이다.
명절 풍경 들이 자연스럽게 스치고 지나갔다.
우리들은 상처를 타인에게 배려나 존중없이 손쉽게 아무렇지않게 줄려고 하면서
자신은 (이기적으로) 상처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며 자신을 무수한 말들로 감싸고 자신을 보호 아닌 보호를 한다.
그건 아주 이율배반 적이고 모순된 행위의 전형이다.
이런 불편한 관계 맺음의 경험치가 쌓여간다.
가볍게 대하고 다루면 안 된다.
내가 상대에게 선의든 악의든 상처를 주면,
그 상처가 언젠가는 나에게 부메랑처럼 되돌아 오는 법이다.
나는 그걸 확신하고 분명한 경험을 수도 없이 많이 해봤다.
교훈은, 인간은 기본적으로 최우선적으로 <직업>에 대해서 그리고 더 깊게 들어가면 <생존>에 대해서 <밥벌이>에 대해서 질문이 들어오고 그걸 자신만의 임의적으로 재단하고 판단이나 결론이 들어오면 거부감을 느끼고 부담감을 느낀다는 점이다.
가장 깊숙이 대지에, 비옥한 땅 위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믿음이나 신념이 자신만의 바운더리에 누군가 돌멩이를 내던지면 뛰는 개구리도 죽게 마련인 것이 인지상정이다.
겨우 한마디 실언에 대한 반응에 내가 과민 반응하는 건 아닌가? 하는 자각도 든다
-
꿈 수첩을 만들고 있다.
꿈의 갯수를 13가지 정도 적었다.
겨우 이것 밖에 안 되나?.하고 화들짝 놀랐고 창피했다.
내가 너무나 욕심이 없는 건가?하고 물었다.
갯수가 중요한 거 보다는 질이 더 중요한 거지라고 다짐했다.
꿈 보다 더 크고 큰 <비전>을 가진 것이 중요하다.
아무튼, 앞으로 꿈과 <비전>이 만들어 가는 과정을 즐기려고 한다.
꿈의 갯수가 50개를 넘어서 100개에 도달하면 좋겠다.
꿈 부자가 되는 거다.
시간 부자가 되는 거다.
사랑 부자가 되는 거다.
행복 부자가 되는 거다.
그러면, 하루하루가 설레이고 충만하고 흥분되고 행복한 기운으로 넘쳐날 것 같다. 매일매일 가슴이 뛴다.
-
무분별한 쇼핑을 자제하려고 한다. 줄줄 새는 돈의 줄기. 돈의 흐름. 을 파악했다.
그래서
첫 번째. 실천으로,
한 달에 한 번 열심히 생활했다면
한 달을 옳게 올바르게 버텼다면
한 달을 정직하게 바르게 살았다면
내가 나에게 주는 <선물>을 하기로 했다.
줄줄줄 흐르는 돈의 흐름도 막고
동기부여 //// 의미부여도 되고
왠지 기부니도 좋아지고
궁극적으로 <선물>이 <선물>의 의미가 의미를 더해서 가치(값어치. 액면 그대로의 가격을 뛰어넘는 무형의 가치가 더해지는 셈이다.)를 다르게 부르게 된다.는 점이다.
한 달에 한 번 나에게 <선물>하기. 벌써부터 설렌다.
-
<시>를 쓰고 싶다.
좋은 <시>를 쓰고 싶다.
<시>가 쓰여지지 않아서 좌절하고 있다.
조급함부터 앞선다.
그래서 모두 내려놓고 조용히 <시> 수첩을 꺼내든다.
<무엇을> 쓰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