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4949494949494949


들어가는 말 _




"" 나는 섹시 Sexy 하다 "" 




..라고 포효하는 사자후는 과연 어떤 뜻과 정의를 내릴 수 있을까


이는 지극히 중의적이고 은유적인 표현이다..


기실, 사람들은 섹시? 섹시함? 이라고 하면 맨 먼저 옷을 야하게 입는 모습을 떠올릴 것이다..누구는 어떤 예쁜 여성이 야한 란제리 속옷을 입고 있는 모습을 섬광 기억으로 강제소환 할 것이다..(떠오르는 생각은 차별이 없다..)


이는 일견 맞는 말이고 틀린 말이기도 하겠다..


나는 더욱더 뇌가 섹시한 그리고 전체적인 아우라가 완전체에 가까운 어떤 인물을 설정해서 인용을 한다고 보면 맞는 말이다..


그러니까 양념 반 후라이드 반 이다..


나는 촉이 온다..


난 상대방과 단 하나의 독대, 1분도 허락하지 않는 대담을 한다 즉 마주침과 말을 한 두 마디 섞어보면 상대방의 레벨이 출력되는 기현상을 느끼게 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육체적이고 신체적으로 섹시하지도 않거니와 머리마저 텅 빈 뇌섹남 뇌섹녀 그리고 뇌섹중간미아젠더 같은 되지 않는 사람은 상종조차 하기 싫다..(표현 마저 과하고 야한가? 불편한 진실이다..)


이말은 어패가 분명 존재한다..


그러니까? 그렇게 단호하게 생각하는.. 너가 그렇게 단정짓는 근거를 설명 할 수 있느냐?는 당신의 원성이 여기까지 들린다..


내가 가장 싫어하는 것이 누구의 표현을 차용하면 " 만나서 의미없는 말풍선을 남발하는 자투리 시간이다"


혹자는 그런다..


사람에게는 위 아래도 없고 좌 우도 없다..그래서 인간은 평등하며 인간은 평등하게 대우 받을 권리(천부인권설)가 있다 라는 헌법 조항이 분명하게 있지만 


실상은 어떤가? 현실(직시)은 어떤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사람은 분명 위 아래도 있고 좌 우도 있다..인정하기 불허하지만 분명 세상의 구조와 시스템은 불평등에서 시작해서 각종 규제와 차별, 몰이해, 극한의 이기주의, 역차별, 양극화 등으로 점철되는 사회라는 시스템 안 에서 우리는 상생 하며 공생 한다고 보면 된다..


인정하기 싫겠지만 그것이 바로 불편한 진실 의 실체이며 속살 인 것이다..


그렇다면 인정부터 하자..그리고 다음으로 우리는 어떠한 자세와 태도를 견지하면서 앞으로 싸우거나 투닥거리면서 나아가야 할 방향성 같은 일련의 가치들을 허심탄회하게 토론하고 설득 해가며 살아야 할 의무가 생기는 것인 것이다..


그런데 인생은 무조건 싸워서 이기는 것인가?라는 의문도 든다..


최근에 달라진 면이 있다..


바로 늙고 힘 없고 기회를 박탈 당하고 사회에서 소외 당하는 약자 집단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누차 강조하지만 관심이 많다는 소리는 늘 잡소리 에 불과하다..나는 그들에게 오늘도 미안함과 먼 그리움으로 인해 배고픈 그리움을 늘상 느끼고 있다..


(게속+++++++++ 거꾸로 뒤집어서 빈익빈부익부 의 계층 간의 양극화에 관한 리포트를 쓸 예정 입니다..기대 많이 많이 해주시고 내일 마저 엮어나가겠습니다+++++++++)


뭐뭐 했더라면 뭐뭐 했으면 같은 과거가정법은 순환논리 이자 의미없는 결과론 이다.이해가시는가?결과는 죽었다 깨어나도 변하지 않는다.그리고 운이좋아 그때의 과거로 돌아가도 절대로 당사자는 똑같은 선택을 한다는 사실이다.이것은 경험으로 쉽게 습득이 된다.그러니까 여기에서 현재에 집중해야




프로야구.는 야구 해설도 또 하나의 노다지 영역이다.좋은 햬설이 야구의 질을 향상 시킨다고 믿는다.좋은 해설을 듣고있으면 눈과 귀가 즐겁다.오늘 안 사실은 야구 해설도 햬설자가 현역시절 좋은 기록을 남겼나 안 남겼나가 그대로 좋은 해설로 이어지고 있었다.간혹 야구의 명성과 질을 떨어뜨리는




작은 실수가 큰 결과를 도출하면 그때서야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달으며 그때의 작은 실수가 곧 큰실수 임을 다시금 깨닫는다.그러니까 작은 장면이 곧 큰장면이고 큰 장면이 작은 장면이다.작고 크다를 구분해서 구획 짓는 사고나 생각법이 지양 되어야 하고 매순간이 중요해서 집중하고 빨리잊는 연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