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왕도는 없다.
누구는 동기 부여가 최우선 되어야 한다
김 아무개는 간절한 꿈이라고 하며
박 아무개는 공부 습관 이라고 하며
전국 수석을 차지한 전국 탑. 학생은 교과서만으로 사교육은 배제한 체 공교육에만 올인한 결과라고 생생하게 증언한다
주지하다시피 나는 깨어있는 동안 지루하고 심심함을 혁파하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다
어떤 시간은 하루 동안 글자 단 한 자도 못 보는 경우도 있고
어떤 날은 필과 추진력을 받는 날은 새벽 4시 까지 20시간 동안 공부에 열중 하고 있다
요즘은 최고의 고민과 화두는 " 내가 깨어있는 시간 동안 공부에 올인 하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나에게 맞는 공부의 왕도는 무엇일까? "이다
지금까지 잠정적으로 내린 결론은 그거다.
고민과 결심은 단 1초면 된다. 수학의 현우진 선생님이 명언을 남기셨다. " 절대 포기 하지 마세요!!! 반성은 짧게 실행은 빠르게 "
넘어져도 넘어져도 오뚜기 처럼 다시 일어나면 그만이다.(멘탈이 8~90 퍼센트 라고 생각한다. 공부 요령, 공부 방법, 공부 스킬은 그 나머지, 일부분일 뿐이다)
까놓고 얘기해서 강산이 변한다는 10년 동안 나는 방황만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10년 내내 맨땅에 헤딩, 오직 좌절만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n spite of.
절대로 합리화, 제 논에 물 대기, 아전인수 식 해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의식적으로 내 눈 앞에 고민거리 들이 나타나서 곰곰이 진지하게 고민하지는 않았지만 무의식적으로 끊임없이 실패를 곱씹으면서 길을 모색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렇기 때문에 잘 살았다고 자부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잘 못 살았다고 결론이 내려지는 이유이다
솔직히 미래에 대한 거창한 청사진은 없었다. 정확히 짚지 못 했는데 청사진은 비전 vision 이라고 뜻과 괘를 같이 한다
" 이미 마음을 먹었기 때문에 달리 방향을 우회 하거나 왜 안 되지? 왜 나는 집중을 못 할까? 어떻게 하면 공부에 최선을 다해서 집중할 수 있을까? " 라는 고민 아닌 고민들은 무의미 하다고 결론에 다다랐다
$$$$$$$$$
변화일기$$$일본의 국민배우 키키 키린은 자신의 암!!!에 대해서 각별한 인지행동을 남기셨다.자신의 암을 친구다.나를 해하지 않고 나에게 이로움을 선물하는 긍정의 에너지라고 설명하셨다.나는 요즈음 두 다리에서 힘과 기력이 쪽쪽 빠지는 기분 나쁜 기운에 사로잡혔다.이거슨 필시 친구,부모,아내,자녀,선생님,친애하는 김미영 씨라고 생각하면 그만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