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에 남아있는 스리(three)우스... 테리우스, 크라우스, 유리우스.

 그 중 투(two)우스가 이 책 올훼스의 창에 나온다.

 남장여자 유리우스, 유리우스의 영원한 사랑 크라우스.

 이 책은 사실 간단히 적기가 쉽지 않다. 도대체 뭘 빼고 뭘 적어야 제대로 소개가 될까..?

 그 둘의 사랑에 촛점을 맞추자니 그건 이 책의 30%만 소개하는 경우이고,

 근세유럽의 복잡한 역사를 적어보자니 그것 역시 조족지혈이고, (게다가 잘 알지도 못하고...-_-)

 너무나 감미로운 이자크를 적어보려니 스르르 안면 근육부터 풀리고,

 유스포프를 빼먹자니 한동안 크라우스와 유스포프 사이에서 갈등(?)하던 내 맘의 배신이고,

 이것 저것 다 적어보자니 내 용량의 한계를 분명히 들어내는 일이고...

 하여.. 사실 난 이 책에 대해선 적기가 어렵다.

 1970년대 우리나라에 해적판이 난무하던 시절 처음 이 책을 접했고 그 당시엔 제대로 작가 이름도 알려주지 않았고 나라도 러시아가 아닌 폴란드로 번역이 되는 헤프닝이 있었다.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 '베르사이유의 장미' 도 그렇게 음지에서 번역이 되어서 일찌감치 접할수가 있었다)

 어려서 본 유리우스와 크라우스, 이자크, 유스포프.. 그 누구하나 빼먹을수 없는 조연들...

 눈동자를 볼수 없는 다비트선배도, 의붓오빠를 사랑하다 죽어간 데리케도, 철딱서니 없이굴다 사랑을 놓친 모리츠도, 죽음도 갈라놓지 못한 크림힐트와 빌클리히의 사랑도...

 어린 마음을 휘집어 놓은 책은 두고두고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도대체 정식판이 출판이 되질않아 구하질 못하고 애만 태우다 2001년에 정식으로 출판이 되어 구할수가 있었다.

 나이 30이 넘어 읽어도 역시 올훼스의 창은 내 가슴을 두근두근, 뻐근~ 하게 만들었고 다시한번 작가의 역량에 감탄을 자아내게 했다.

 개인마다 시각차, 취향차가 있으니까 다른 시각으로 보면 유치하다고, 뻔한 내용이라고 말 할수도 있겠지만 그 많은 등장인물에, 그 많은 사건(역사적이든 창작이든)을 엮어내는 솜씨는 30년전이건 30년이 지난 지금이건 시대를 불문하고 여전히 명작으로 남아있고 내 아이들에게 보여줄 리스트에 꼭대기를 차지하고 있다. 

 한때 많은 압박에 눌려 이 책을 처분해야 하나... 꽤 고심했는데 이제는 절대 노~!!

 죽을때까지 끼고서 살것이다. 유리우스랑 크라우스랑 이자크랑 나 50세 먹어서 다시 조우를 할것이고 60먹어서 다시 읽고 혼자 흐믓해 할것이다.

 지금은 다만 압력에 눌려 타인의 손에 넘긴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아쉬울 뿐이다.

그때 조금만 참을걸 왜 그렇게 맘의 여유가 없었는지...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4-21 1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스탕 2007-04-21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닥속닥 ㅎ 님 / 잘하셨어요!! 저도 다시 구입을 할까 어쩔까 싶은데 다시 사들이자니 뭔가 조금 부족한 느낌이 들어서 망설이는 중이라지요. 계속 갖고있었으면 좋았을것을...

비로그인 2007-04-21 1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아는 만화이야기가 나오니 이리 반가울 수가 흑흑...
전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오스칼과 앙드레의 사랑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답니다.
최고의 로망이었죠!!!

무스탕 2007-04-21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스칼과 앙드레는 차마 눈물없인 볼수 없는 러브스토리죠... T^T
이 작가는 베르바라와 올훼이후의 작품은 전 본게 없어요. 에로이카라는 것도 있긴 있는데 안봤어요...
짤은것 몇가지가 있는것 같은데 봤지만 기억이 안나는건지도... -_-a

날개 2007-04-21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결말이 맘에 안들어서....ㅠ.ㅠ
그니까 얘들 학교다닐때가 젤 좋았어요.. 아, 유스포프 나오는 부분도 좋구나~

다락방 2007-04-21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요 이 [올훼스의 창]을 '마리스탠판드 바이트'라는 작가의 소설로 먼저 읽었거든요. 어찌나 흠뻑 빠져서 읽었던지 고등학교 1학년 중간고사 기간이었는데도 세권짜리 소설을 하루만에 읽어버렸었지요. 만화책은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건줄 알고 실망하고 싶지 않아서 보지 않았는데 말예요. 아, 글쎄. 만화가 오리지널이라더군요. 당시에 일본작가의 작품이라고 하면 읽히지 않을 것 같아 가상으로 작가를 만들어 낸거였대요. '마리스탠판드 바이트'라는 이름으로. orz

그나저나 정말 재미있게 소설로 읽었더랬어요. 지금도 가지고 있답니다. 아, 나의 크라우스. [다락방의 꽃들]의 '크리스'이후로 제가 사랑에 빠졌던 남자주인공이었지요. 아, 오늘 무스탕님의 이 페이퍼를 보니 감회가 새로워요.

무스탕 2007-04-21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섬사이님 / 홍홍홍~ 같은 세대시군요 ^^ 제게도 잊지못할 작품들입니다. 곧 유리가면도 올릴게요 :)
날개님 / 그렇죠. 결말이 그닥 맘에 들진 않죠 -_- 그렇지만 워쩌겠습니까... 유스포프도 넘 좋았죠? 근데여.. 유스포프 나올즈음 그림체가 변한게 맘에 덜 찼었어요.

무스탕 2007-04-21 2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이 책(올훼스의 창) 구하실수 있으면 꼭 구해보세요!! (대여점에서라도요) 저는 소설책은 안봤지만 훨씬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멋지구리 크라우스를 상상만 하지 마시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고(?) 즐기세요.

글고... 저는 사실 몰랐어요 --;; 옛날 해적판을 낼때 작가를 마리 스테판 드바이츠라고 해서 냈었죠.. 그런데 얼마전에 서점에서 서성이다 '마리 앙뜨와네트 베르사이유의 장미' 라는 책을 우연히 봤는데 그 작가가 슈테판 츠바이크 라는 이름이더라구요 @.@ (옆의 책)
오호~ 새로이 작명해서 지은것도 아니고 당시에 우리나라에선 덜 유명한 (추정에..) 실존 인물을 내세웠네.. 했었죠.  

지금 작가설명을 슬쩍 읽어보니 꽤 예전에 자살을 했군요 (1941년) 그리 오래전 사람을 내세우다니.. 참 해적판의 문제는 언제 어느 형태고 불쑥불쑥 드러납니다.. -_-


마노아 2007-04-22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어릴 때에 해적판으로 보았어요. 완결까지 보지 못해서 늘 궁금했죠. 정식판을 제대로 소장해서 찬찬히 읽어야겠단 생각이 들어요.

무스탕 2007-04-23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장하신다 해도 후회하지 않으실거에요. 그림이나 내용이나 뭐 하나 빠지는게 없거든요.
마노아님은 크라우스 편이실지 유스포프 편이실지 궁금하네요 ^^

마노아 2007-04-23 16: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무거운 건반으로 피아노 치다가 나중에 손망가지기도 했던 그 동창생 이름이 뭐죠? 전 그 친구가 좋았어요^^

무스탕 2007-04-23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무거운 건반은 이자크의 피아노가 무거웠어요. 그래서 유리우스가 이자크의 피아노를 슬쩍 쳐보다 기겁을 했었죠.
이자크가 연주를 하다 손가락을 망친(? 망칠뻔한?) 피아노곡은 이자크가 비인에서 음학학원을 다닐때 만난 라인할트라는 유부녀와 바람난 --;; 총각이 작곡한 곡이고요...
이 심오해 보이는 총각이 좋으셨다고요? ^^

마노아 2007-04-23 1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자크가 맞나봐요. 검은머리 총각^^뭐랄까, 화려한 맛은 없는데 진솔해 보여서요^^

무스탕 2007-04-24 0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자크를 물어보신 거였군요 ^^ 전 이자크 친구를 물어보시는줄 알고.. ^^;;
이자크도 넘 좋아... -.-b

멀향기 2011-07-24 1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얼마전에 성경출판사 작품으로 구입하게되었네요 .. 인터넷사이트에서 부르는가격대보다는 좀 싸게. 하지만 저에겐 절대 만만치않은 거금을 주고 샀네요.. 대원세어 나온 정발본이아닌..성경출판사꺼로 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