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인을 기다리며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들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말은 징글맞게 감각적이다. 쓰는 것이 아니라 그리는 언어다. 보는 것이 아니라 음미하는 언어다. 내뱉는 것이 아니라 혀에서 또르르 굴려 튕겨내는 언어다. 살갗으로 느끼고 가슴으로 감각하는 언어다. 말 자체가 의미를 생성하고 소통을 내포하고 있는 언어다. 새초롬히 앉았다,는 말에서 위풍당당함을 연상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새초롬이란 말 자체가 얌전한 듯, 부끄러운 듯한 홍조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개 하나 얼린하지 않는 마을이란 말에서 적요롭고 한적한 마을을 떠올리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럽다. 이지러진,이란 말에서 풍만함을 연상하는 사람을 찾는 일은 겨드랑이에 깃 돋은 사람을 찾는 것만큼이나 어려울 것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작 발표가 날 때마다 화가 씨굴씨굴해진다. ‘사뿐히 즈려밟고’라든지, ‘이지러는졌으나 보름을 갓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믓이 흐리고 있다’라든지, ‘개진개진 젖은 눈은 주인의 눈과 같이 눈곱을 흘렸다’라든지, ‘아둑시니같이 눈이 어둡던’이라든지, ‘넌즛넌즈시 그 물을 대신 길어도 주었다’라든지, ‘붙배기 키’라든지, ‘돋쳐 오르는 아침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라든지, ‘바가지꽃 하이얀 지붕에 박각시 주락시 붕붕 날아오면’이라는 말을 대체 어떤 언어로 바꿔 말할 수 있단 말인가. 우리말은 너무 교교하고 풍만하고 도도해서 이국의 언어를 수용하지 않는다.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 출신 존 쿳시의 노벨문학상 수상작 『야만인을 기다리며』는 여러모로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와 닮았다. 우선 두 작품 모두 부조리를 기반으로 한다. 고도를 기다리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은 소통과 인과관계가 부재하는 부조리한 현실을 살아간다. 그런 그들이 탄생과 죽음, 살아감에 대한 실존적인 물음 앞에서 오지 않는 고도, 절대 이상향을 선망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고도’는 그들의 삶을 연명케 하는 원동력이다. 『야만인을 기다리며』의 제국의 수하들은 제국을 존속시키는 수단으로 오지 않는, 어쩌면 존재하지도 않는 야만인을 기다리다, 급기야 원정대를 보내 유목민과 어부들을 포획하여 야만인을 조작하고 그들에게 폭력을 가함으로써 변경邊境인들 위에 군림한다. 여기에 이성적인 인간은 치안판사뿐인 듯 보이지만 그 또한 암암리에, 또는 무기력을 빙자하여 제국의 영속화에 기여함으로써 부조리한 일면을 드러낸다.

소통의 부재는 치명적이고 슬프다. 고도를 기다리는 그들 모두는 같은 질문을 몇 번씩 하게 만들면서도 동문서답을 일삼는다. 야만인을 기다리는 대령과 준위에게 치안판사의 말은 은퇴를 앞둔 늙은이의 푸념이거나 야만인을 옹호하고 제국에 반하는 배신의 행각으로 읽힐 뿐이다. 더구나 치안판사가 사랑을 느끼는 유목민의 딸, 고문으로 시력을 잃은 그녀와의 소통의 어긋남은, 그것이 개인의 내밀한 욕망을 좌절케 한다는 점에서 더욱 부조리하다. 치안판사가 그녀의 일그러진 발을 씻기고 몸을 닦아주는 행위는 분명 그녀를 향한 지고한 사랑의 표현이지만, 판사에게 몸을 허하고 싶었던 그녀에게는 내침이자 원망일 수밖에 없다. 때로는 배려가 독이 되기도 한다. 사색의 시간을 지켜주려는 침묵이 외면으로 읽히기도 하고 달뜬 한기를 다독이기 위한 온기가 광포한 열을 몰고 오기도 한다. 지나친 배려는 그래서 종종 어긋나고 서럽다.

소설의 종반에, 치안판사는 역사의 바깥에서 역사의 안쪽으로, 자신의 내면으로 귀를 기울인다. ‘오염된 물이다.’, ‘이곳의 물을 마시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 흙 묻은 오른손이 입에 닿지 않도록 해야겠다.’라는 독백은 매우 상징적이다. 이것은, 사람은 왜 그렇게 하는 것이 자신의 물질적 이익에 부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의의 편에, 진실의 편에 서려고 하는가? 그것은 바로 우리가 정의에 대한, 진실에 대한 개념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이다, 라는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 스스로를 향한 해답과 연결된다. 정의와 진실에 대한 개념을 갖고 태어났음에도 정의와 진실을 짓뭉개고 그것에게 실소를 보내는 이들이 도처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아이러니지만 말이다.

고도는 오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존재의 시원과 현실을 외면한 채 고도를 기다릴 것이다. 야만인은 오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처음부터 부재했으므로. 야만인의 형상을 구축하여, 가상의 위협으로 공포에 빠진 변경인들로 하여금 자신들을 의지하게 만들었던, 제국의 존속을 위해 부재를 실재로 왜곡했던 제국인들은 사라졌다. 그렇다면 부조리도 사라진 것인가? 이제 그들의 적은 야만인도, 제국인도 아닌 추위와 배고픔이 가져온 죽음의 공포다. 하지만 존 쿳시는 그곳에 무연한 희망을 부여한다. 눈이 나리는 광장에서 눈사람을 만들며 하늑이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절망을 본다면 그것이야말로 지독한 부조리가 아니고 무엇이랴.

잘 다듬어진 이야기와 노는 일은 언제나 기껍지만 우리 문학이 제 대접 받지 못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시악(마음속에서 공연히 생기는 심술)하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4-07-06 19: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녀물고기 2004-07-07 0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귓말
#1.
에이, 그렇게 짱짱한 칭찬은 잘난척쟁이의 건강에 해롭다고요. 정말, 말이 주는 매혹만큼 아득하고 깊은 소설을 일군의 젊은 글쟁이들에게서 만날 수 있다면 좋을 텐데 말이지요. 아쉽.. 님께서 쓰시압!

#2.
배려가 서러울 때가 있더란 말이지요. 그것 때문에 한참동안이나 해찰을 떨었더니 머리가 다 얼얼하지 뭐여요. 참말 뭐든 지나치면 화근이여요. 배려만큼의 거리,라는 말에 심하게 동감합니다. 울적함이 전이되어요. 다행히 비는 그쳤지만요...

선인장 2004-07-07 0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 그치고, 밖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 것도 같은데, 사무실 안의 공기는 고요하기만 합니다.
울적함이 전이된다지만, 그 울적함의 근원은 바로 이곳인 걸요...
저는 이미 한참 전부터, 감정의 허방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습니다. 한 시간이면 끝날 일을 몇 시간째 붙잡고 있으니... 점점 두통이 몰려와요...
장마철 감상은 치명적이에요. 비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고 몇 날 떠날 생각을 않으니...
이런 날, 심수봉을 조심하세요. 그녀의 목소리는 쥐약이에요...

마녀물고기 2004-07-07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비 그치고 바람도 서늘한데 마음 한구석, 후텁지근함을 몰아낼 수 없습니다. 선인장님 밝은 목소리에서 그늘을 보았다고 하면 주제 넘은 이야기일까요? 침잠된 것을 밖으로 토해내지 못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타자와 대면했을 때 우격다짐으로 밝음을 연출하는 것을 종종 봅니다. 선인장님도 그리 보였어요 제겐. 그래서 아프고 그래서 더 살갑게 느껴졌나 봅니다.
여전히 늦은 시간, 사무실에 오롯이 앉으셨군요. 어여 마치셔야할 텐데요.
그래도 장마가 있어 다행이지 뭐예요. 책임 전가할 그 무엇도 없이 허방에 빠진 기분이라면 엿같잖아요. 우린 왜 이 모양인지 모르겠어요. 쥐약 먹고 즉사라도 할까요?

드팀전 2004-07-07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말의 아름다움엔 가끔 번쩍 번쩍 놀랍니다.
하지만 번역할 수 없는 또는 번역해도 맛이 살 수없는 외국어도 수없이 많겠지요.결국 문체의 내밀한 맛은 모국어를 쓰는 자들의 특권일겁니다.다른말로 하면 아름다운 문체로는 우리문학이 세계에서 인정받기 난망하다는 거겠죠.결국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그리고 보편성인데......앞으로 잘되길 기대합니다.

2004-07-07 1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녀물고기 2004-07-07 1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유님//우리말 정말 아름답지요. 이런 살풋한 어감들을 자랑하지 못하는 게 속 상하다가도, 외국어에 젬병인 주제에 우리말만 그럴 것이라는 단정을 하다니, 의심을 품기도 합니다. 하지만 외국어에 능숙하다 해도 이국어의 참맛을 알아내기란 쉽지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태생적,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일 테니 말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말처럼 다채로운 어감이 주는 풍요로움을 만끽할 수 있는 언어는 없지 싶어요. 통찰, 보편성, 참으로 끄덕. 그런데 잘 되길 기대하신다니 무슨 말씀이시니까.

귓말//난독증은 제 오랜 지병이기도 합니다. 난독증에 오독증까지 곁들여 뽄새가 가관이 아닙지요. 님의 난독증은 겨울날 살풋 나리는 첫눈처럼 금세 스러지는 것이지 싶습니다. 늘 책 곁에서 사시는 모습이 얼마나 보기 좋은데요. 제 글이 가끔 읽기 어려운 건, 마음 담긴 미문이어서가 아니라 제대로 쓰지 못하기 때문이여요. 흑.. 찬사는 슬퍼요.

2004-07-07 11: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녀물고기 2004-07-07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귓말//아이 참, 흥분하시는 게 전 좋은 걸요. -.-
반가운 게 많은 사람 속살은 어떨 지 궁금합니다. 봄볕 같을까나요. 햇김치 먹고 싶네요. 아뵤오- 조금만 퍼 주셔요. 행복하시고요. 헤..

2004-07-07 1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녀물고기 2004-07-07 1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귓말//그림에 떡 주신단 거군요. 오흑..

2004-07-07 12:1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