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치핀 -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존재
세스 고딘 지음, 윤영삼 옮김 / 라이스메이커 / 201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래의 글은 조영미의 브런치에 올린 글입니다.

 

https://brunch.co.kr/@youngmicholaf5/74

사람은 누구나 적어도 한 번은 천재였던 적이 있다. 누구나 한 번은 어려운 상황을 헤쳐 나올 수 있는 날개를 찾고 발명하고 창조했다.

예술은, 적어도 내가 정의한 예술은, 자신의 인간성을 활용하여 다른 사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의도적인 행동이다.

-      세스 고딘의 린치핀 中

내가 천재였던 적은 없었다. 나에게 천재성은 앞으로도 오지 않을 거라 해도 상관없다. 왜냐하면,

나는 적어도 어려운 상황을 헤쳐 나올 수 있는 날개가 있으니.

그 날개는 나를 멀리멀리 좋은 데로 데려가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그 날개는 나를 더 멀리 가지 않고 내 자리를 지키게 해 주었다.

그 날개는 바로 글쓰기였다.

한 때 글쓰기를 거창하게 생각한 적이 있었다. 사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 글쓰기에는 뭔가 특별함이 있어야 하고, 사람들의 주목을 끌어야 하고,

그런데

글쓰기는 나를 다른 사람으로 만들어 주지 않았다.

그래서 포기했다.

너무 지루했다. 한참 뒤, 내가 쓴 글들을 보았다. 이상하고 웃기는 글을 보면서 내가 진짜 이상하고 웃긴 사람처럼 보이기도 했다. 웃겼다. 내 글이, 글을 쓰는 내가, 진짜 웃겼다.

그래서 또 다시 썼다.

이상한 사람이었고 지금도 이상한 사람인데 그래도 뭔가를 쓰려고 애썼던 내가 애틋하고 기특하고 그랬다. 무엇보다도 에너지가 느껴졌다.

글쓰기는 그저,

나를 나로 살게 해 주었다.

나를 나로 사는 데에도 힘이 쓰인다. 가만히 있는다고 되는 게 아니었다.

나를 나로 살게 하려면, 나를 인간답게 만들어야 하는데,

인간답다는 건 어제보다 조금 나은 오늘을 보내려고 애쓰는 일이다.

그래서 글쓰기를 했다.

평범함이란, 좋은 물건이 되려고 했으나 실패한 것을 가리킬 뿐이다. – 46

가만히 있으면 평범해진다. 그것은 인간답지 못하다. 그래서 나는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무도 받아들이지 않는 예술은 미완성 작품일 뿐이고 온전한 예술이 되지는 못한다. – 148

일기가 아닌 보이는 글쓰기로 이 공간을 오가는 님들과 소통을 하게 되었다. 이 길을 오가는 님들 모두 예술을 추구하는 이들이라고 믿는다. 그분들에게 배우는 게 참 많다. 덕분에 나도 예술의 일부분을 엿보게 되었다.

보랏빛 소가 가치 있는 제품에 대한 은유였다면, ‘린치핀은 가치 있는 사람에 대한 은유다. 누구나 찾아서 곁에 두고 싶어하는 꼭 필요한 사람이다.  – 22

삼십 대에 막 들어섰을 때였다. 노력만 하면, 내가 뭔가가 될 줄 알 때였다. 내가 정한 뭔가는 내 자리에서 짱 먹는 일이었다. 사회생활은 발끝으로 축구공 오래 차기 같은 것도 아니라서 다리가 길다고, 연습을 많이 했다고 해서 짱을 먹을 수 있는 게 아니었다. 그때 내가 읽은 책은 보랏빛 소가 온다였다. 그 신선함은 이루 말할 데가 없었다. 새로운 일을 꾸준히 찾아가는 힘을 보라소로부터 받았다. 지금 그 힘을 린치핀으로 다져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잠시 넷플릭스를 꺼두고 오랜만에 종이책을 넘겨보며, 조심스럽게 날개를 펼쳐본다. 그래, 오늘도 잘 살아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