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성서 아포크리파 : 신약시대 - 초대교회에서 읽었던 원초적 성서
이동진 엮어옮김 / 해누리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성서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성서만을 정독하여 다독하는 것이 정말 성서를 이해하는데 지름길이 되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다시금 던져 본다.

성서가 현재 개신교에서 하나의 정경으로서 역할을 하기까지는 1000년이 넘는 시간의 작업이 있었다. 시간의 작업을 간과한채 성서만을 읽어 성서 이해에 도달하는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생각된다. 성서의 본문을 좀더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변 상황만이 아니고, 함께 형성되어졌지만 정경 선발과정에서 탈락된 문서를 읽는것은 중요하다.

우선은 정경이라고 언급되는 성서가 형성되어진 구문의 의미들을 비교 대조하여 보면서, 성서의 내용이 의미하는 바를 보다 확실히 이끌어 낼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의 문서들을 통해서 정경의 관점이 보다 명확해 진다.

그런 의미에서 이동진 편역의 "제2의 성서 아포크리파-신약"은 성서 해석에 좋은 주춧돌이 되어진다. 특별히 개신교 신자들로서는 보기 힘든 영지주의자들의 문서와 천주교의 마리아 숭배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 문서등이 들어 있다는 점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하지만 구약에 비해 형성된 시기가 짧은 신약-외경은 다소 내용들이 구약 성서의 구조와 내용을 그대로 따라 했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 750페이지에 이르는 내용에 비해서는 솔직히 정신을 자극할만한 내용이 구약에 비해서는 적다.

하지만, 천천히 읽다보면 정경의 문헌들이 어떤 기준을 채택되었는지를 알게 해줄 정도로 재미난 내용들도 들어있다. 도마 복음, 바울 행전, 바울 계시록등은 상상력을 자극하기에 충분한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수와 제국 - 하느님 나라와 신세계 무질서
리차드 A. 호슬리 지음, 김준우 옮김 /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어판으로 번역 되어진 사진만 본다면 이 책이 다분히 미국의 제국주의 형태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의 비판 서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에필로그까지 이 책은 철저하게 로마와 예수에 대한 관계를 이야기한다. 그것에 대한 저자의 이유는 로마의 복사본이라 할수 있는 미국에 대한 연구보다 로마와 예수에 대한 관계를 밝히는 것이 보다 미국 제국주의를 이해하는데 좋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것 같다.

우선 책 내용 자체는 사회주의적인 복음에 대한 내용이라고 간단히 언급할수 있겠다. 예수가 행했던 기적과 치유, 선지자적인 발언들은 로마 제국을 겨냥한 말이라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예수의 신성을 다루거나 근본주의자들이 이야기하는 십자가와 부활의 구원사적이면서 신의 급격한 개입의 종말론을 기대한다는 것은 어렵다. 더욱이 이 책의 내용 자체가 워낙 narative하게 구성되다 보니, 읽다가 조금 지루한 점이 많다. 책이 정확한 핵심을 설명하다보니 전체적인 관계 구조를 설명하는 것에 많이 치중이 되었다는 것이 원인이 된것 같다.

이러한 덕분에 읽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지만, 끝나고 나면 왠지 책의 내용이 가볍다는 생각마저 지울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한계시록 어떻게 읽을 것인가
이필찬 지음 / 성서유니온선교회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적으로 말하자면 나는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자이다. 그래서인지, 무천년주의의 요한 계시록 이해를 접한다는 것은 다소 새로운 면이 많이 있었다.

이 책은 다소 어려운 책에 속하는 부류의 책이다. 저자의 몇 년 동안의 흐름이 반영 되어져 있는 만큼 일반 평신도들이 접근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물론 요한 계시록에 대한 이해가 전무하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 일수도 있겠지만, 내용상의 어려움이 크다는 것 역시도 한 가지 이유이다.

특히 신화와 역사적인 접근법을 충분히 반영했다는 점이 보수 개신교 신자들을 낯설게 하는 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명쾌한 논리만큼이나, 여러번 반복 해서 읽었을 때는, 저자의 중요한 생각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서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한계시록의 신학
송영목 지음 / 성광문화사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저자의 특정한 요한 계시록의 신학 저서라고 보기에는 힘들다. 우선은 책 구성 자체가 보여 주듯이, 요한 계시록의 신학의 흐름과 진행 상황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하기에 요한 계시록의 신학을 들어 가기에 앞서서, 다양한 해석사의 조류와 방법론의 차이를 알아두는 개론서 정도로 적당하리라고 본다. 이 책이 쓰여진 목적 자체도 해당 학교의 신학생들의 요한 계시록 수업을 위한 교재를 위한 책이 아닐까 싶다.

저자 개인의 특별한 통찰력이나, 요한 계시록의 조직적이며 역사적인 심도 있는 이해를 원한다면 다소 고려해 보아야 할 책이지만, 요한 계시록 신학 입문서로는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회록 세계기독교고전
성 어거스틴 지음, 김종웅 옮김 / 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영원과 찰나의 기로 가운데서 인간은 무엇을 추구해야 할것인가? 인간은 영원을 추구하지만, 영원하신 하나님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만나기 전까지는 어떠한 평안도 기쁨도 찾아 볼수가 없다. 그러한 인간에게 남은 것은 자기 합리화와 논리를 세우는 것만이 자신의 존재를 살리게 하거나, 그러한 실존의 위기로부터 도피하여 음주가무에 몸을 맡기는 것이 유일한 수단이어라.

그러나 어거스틴의 이 모든 것이 실패할 것임을 자신의 삶을 통하여 이야기 한다. 하나님을 떠난 인간의 지성도 불만족스러운 쾌락만을 제공하는 내외적인 쾌락들은 인간성을 파괴할 뿐인것이다.

어거스틴은 그 모든 것이 영원이신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죄사함과 은총의 섭리를 통하여 이 모든 그 모든 것이 해결 되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