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인 화성인 우주인 - 움베르토 에코가 들려주는 이야기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운찬 옮김 / 웅진주니어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에코의 글은 재미있는 듯하면서도 재미없기도 하다. 그냥 멍청하게 생각하고 있다가는 무슨 말인지도 모르게 휙 지나가버린다. 생각해보면 재미가 쏠쏠한데, 그냥 지나고 나면 그런가보다 하는 식이다.
동화에서도 역시 그런 모습이 배어 있다. 초등학교 1학년짜리 아들한테 읽어보라고 던져 주었더니 금방 다읽었다.
그래, 무엇이 가장 재미있던? 하고 물어보았다.
몰라..라는 대답이 나왔다.
재미없니? 하고 물었더니,
다 재미있어 라는 대답...
흠...
하긴 아토모가 부서질 때 중성자가 나와서 뭐 어떻게 된다던데, 하고 혼자 중얼거릴 때부터 약간 불안하기는 했다. 화성에 진짜로 물이 있나? 없다는 것 같았는데..할 때 생각했다. 음 어려운 문제군. 이게 러시아 글자야? 등등, 주변적인 것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역시 개가 우주에 나간 적이 있다던데 사실인가보군..하는 식이었다. 애초에 초등학교 1학년에게는 어려웠을까? 하지만 재미있다고 하지 않는가? 난 더 물어보지 않기로 했다.
대신 내가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세번째 이야기의 일부분을 옮겨 보겠다.
지구인이 우주에 어떤 난쟁이 별에 문명을 전파하러 갔다. 지구를 보여주며 자랑을 신나게 하려는 찰나
" 저것은 무엇입니까? 길 위에 길게 늘어서 있는 쇠로 만든 상자 같은 것들 말이에요."
"자동차라랍니다. 가장 멋진 발명품이지요.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아주 빨리 갈 때 이용합니다..."
"그런데 왜 움직이지 않아요?"
우주 탐험가가 당황해서 " 에, 보다시피, 자동차가 너무 많아서 종종 교통이 막히기도 하지요..."
" 그러면 길가에 누워 있는 다친 사람들은 뭡니까?"
"교통이 막히지 않을 때 너무 서둘러 달리다가 다친 사람들입니다. 아시겠지만, 이따금 사고가 나지요..."
"알겠어요. 저 상자들은 너무 많을 때는 앞으로 가지 못하고, 앞으로 갈 때는 사람들이 다치는군요. 안됐군요. 안됐어...."
에코다운 말이지 않은가?
참, 그림이 제법 재미있다. 그림에는 문외한이라 잘 그린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재미있는 착상인 것은 확실하다. 화가가 스스로 상징의 창조라고 했다는 데 그럴 듯하기도 하다. 우리 아이도 우주선을 신문지로, 글자로 표현한 것을 재미있다고 하는 걸 보니 아주 어려운 그림 같지는 않다.
전체적으로 충분히 즐길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