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한 연구 - 상 ㅣ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1
박상륭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4년 7월 27일 읽고 쓰다
옴마니밧메훔(Hail to the jewel in the lotus! hum)
나는 언제부터인지 너무 많은 자유와는 살 수 없이 된 것이었다. 그 자유를 나는 어떻게 운용할 지를 모르게 되어버린 것이었다. 나는 결국, 고빠와 재갈을 택해 버린 것이었다. ..고삐와 재갈에 의해서라야만 나는, 고삐와 재갈을 끊어버리고 뛰쳐나간, 힘센 황소, 고아분스러이 달리는 들말의 꿈을 꿀 수 있게 된 것이다. 내가 네 발로 돌아온 형장은 그래서 드디어 그것의 의미를 획득하기 시작했다. 나는 내가 슬펐다. (119p)
유리는 죽어버린 것이다. 내게서 떠나버린 것이다. 나는 그것을 묻어주어 버렸으며, 그런 뒤 우리 사이에는 단절이 와버린 것이다. ..그러나 어쨌든 이 순간에 이르러 내가 명상해야 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내가 나를 어떤 방향으로라도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그것 뿐인 듯하기는 하다. 죽는다더라도, 살기가 싫기 때문에 죽어서는 안된다는 것을......현재로서 그러나 나는 내가 살고 싶은지 어떤 지를 모르듯이, 죽고 싶은 지 어떤 지도 모르고만 있을 뿐이다. 아마도 나는 피곤한 것이다. (491p)
죽음과 재생이라는 인간 존재의 궁극의 신비에 대한 정신적 탐색을 불교와 기독교의 종교적 담화, 그리고 연금술의 감화를 토대로 삼아 소설적 논리로 구성하고 있는 작품 (문학평론가 김명수曰)
----------------------------------------------------------
읽기는 처음으로 도전했던 것은 햇살 좋은 봄이었고, 채 몇 십페이지도 넘기지 못하고 포기하고 있다가, 한국을 떠나기에 앞서 우리말을 잘 쓰는 작가라고 칭송받는 이 사람의 글에 다시 한 번 재도전 해보고 싶었다.
한 문장이 열 줄이 넘을정도로 길고, 중간중간 어찌나 쉼표는 많아서 헷갈리는지. 게다가 수많은 한자와 모르는 단어. 국어인데도 국어가 아닌듯한. 계속 국어사전을 옆에 끼고 읽었다.
잔인함과 광폭함이 그것이 아닌듯이 가려졌고, 야함이 야함으로 나타나지도 아니하였으며, 그러나, 처참했다.
나는 줄곧, 그런 기분이었다.
내가 요즘 [파,연]의 박신양을 좋아해서 그 사람 프로필을 살펴보다가 데뷔작이 [유리]라는 걸 봤는데, 내용을 살펴보니 이 [죽음의 한 연구]를 영화화한 것같았다. 이런 1인칭 주인공시점(맞나?)같은 소설을, 게다가 이토록 난해한 소설을-중간에 주인공이 읍내 장로의 집에서 강연하는 내용은 정말 모르겠다. 타원형까지는 이해했는데 기독교와 불교의 맞물림과 그 도면은 정말....-어떻게 영상으로 옮기려 했는지..영화는 평론가들의 혹평을 받았다고 한다.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 수가 없어서. 어쨌든, 시간나면 꼭 볼거다.
죽음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다룬, 소설이라고 하는데 솔직히 그렇게 무엇을 무엇이다라고 판단할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 어려운 소설이었었다. 음미는 둘째치더라도, 읽는 것 자체가 우리말인데 이해하는 게 참 힘이 들었다.
솔직히는 잘 모르겠다. 주인공 스님이 그런 구도적인 살인을 한 것과 유리의 수도부를 사랑한 것과(?) 촛불스님과 읍내의 장로와 장로의 손녀딸.
아..어렵다.
이러면서도 박상륭의 또다른 책을 또 골랐다...에휴
그래도 분명, 매력적이기는 하다는 사실.